부모글 보이기/감추기 AD BLOCK 해제 요청 이 글에는 광고가 많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adblock을 해제하셔도 글을 읽는데 그다지 부담이 없으니 해제를 부탁드립니다. 포탈 사이트의 보고서 주소를 도메인 명으로 적용 예전에, 말씀드렸지만 저 같은 경우에는 테스트를 위한 TFS 시스템을 외부에서도 접근할 수 있도록 https://www.sysnet.pe.kr 로 구성해 두고 있습니다. 참고로, 이와 관련된 토픽들은 다음의 URL로 참고할 수 있습니다. HTTPS 를 통한 Team Server 접근 ; https://www.sysnet.pe.kr/2/0/269 자, 그런데 위와 같은 설정만으로는 부족한 부분이 있는데요. 바로, 다음과 같이 TFS Portal 사이트를 "도메인" 주소를 통해서 접근하는 경우에 레포트 관련한 정보들이 정상적으로 보여지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물론, 링크 주소를 확인해 보면 당연한 결과임을 알 수 있습니다. 포탈 주소 ; https://www.sysnet.pe.kr:8090/sites/DevInstaller/default.aspx 보고서 주소 ; http://win2003base/ReportServer?%2fDevInstaller%2fRemaining+Work&rc%3aToolBar=false&rs%3aCommand=Render 당연히 해결을 해야겠지요. ^^ 이 부분은 TfsIntegration DB 와는 무관하고 TFS-AppTier 측의 레지스트리키를 수정해 주어야 합니다.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VisualStudio\8.0\TeamFoundation\ReportServer 이전 Key 값 : http://WIN2003BASE 새로운 Key 값 : https://www.sysnet.pe.kr:8090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다음 글] 오류 유형: 28. TF10217, TF53010, TF14105 오류[이전 글] .NET Framework: 83. 라이브러리에 다국어 리소스 추가 방법 [최초 등록일: 2/21/2007] [최종 수정일: 11/10/2019]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982정성태1/22/201126841개발 환경 구성: 100. SharePoint 2010 - iPad 친화적인 게시판 만들기 (사용자 지정 목록) [1]981정성태1/19/201123296개발 환경 구성: 99. SharePoint 2010 - 웹 애플리케이션 생성 시 고려해야 할 점. [1]980정성태1/19/201135001개발 환경 구성: 98. SharePoint 2010 - Office Web Apps 설치979정성태1/18/201127781개발 환경 구성: 97. SharePoint 2010 팀 사이트 구성978정성태1/16/201135019.NET Framework: 203. VPN 자동 연결 및 Router 설정 추가977정성태1/12/201133504개발 환경 구성: 96. SharePoint 2010 설치 [5]976정성태1/11/201156525오류 유형: 111. IIS - 500.19 오류 (0x8007000d)975정성태1/10/201130221.NET Framework: 202. CLR JIT 컴파일러가 생성한 기계어 코드 확인하는 방법 [3]1974정성태1/8/201129410.NET Framework: 201. 윈폼 TreeView - Bold 폰트 설정 후 텍스트가 잘리는 문제 [1]1973정성태1/7/201128504.NET Framework: 200. IIS Metabase와 ServerManager 개체 활용1972정성태1/7/201126671개발 환경 구성: 95. SQL Server 2008 R2 이하 버전 정보 확인971정성태1/5/201136305.NET Framework: 199. .NET 코드 - Named Pipe 닷넷 서버와 VC++ 클라이언트 제작 [2]1970정성태1/4/201136748.NET Framework: 198. 윈도우 응용 프로그램에 Facebook 로그인 연동 [1]1969정성태12/31/201042837VC++: 45. Winsock 2 Layered Service Provider - Visual Studio 2010용 프로젝트 [1]1968정성태12/30/201029101개발 환경 구성: 94. 개발자가 선택할 수 있는 윈도우에서의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기술 [2]967정성태12/27/201030999.NET Framework: 197. .NET 코드 - 단일 Process 실행1966정성태12/26/201028543.NET Framework: 196. .NET 코드 - 창 흔드는 효과1965정성태12/25/201030308개발 환경 구성: 93. MSBuild를 이용한 닷넷 응용프로그램의 다중 어셈블리 출력 빌드1964정성태12/21/2010146032개발 환경 구성: 92. 윈도우 서버 환경에서, 최대 생성 가능한 소켓(socket) 연결 수는 얼마일까? [14]963정성태12/13/201030597개발 환경 구성: 91. MSBuild를 이용한 닷넷 응용프로그램의 플랫폼(x86/x64)별 빌드 [2]1962정성태12/10/201025321오류 유형: 110. GAC 등록 - Failure adding assembly to the cache: Invalid file or assembly name.961정성태12/10/2010102857개발 환경 구성: 90. 닷넷에서 접근해보는 PostgreSQL DB [5]960정성태12/8/201047987.NET Framework: 195. .NET에서 코어(Core) 관련 CPU 정보 알아내는 방법1959정성태12/8/201034298.NET Framework: 194. Facebook 연동 - API Error Description: Invalid OAuth 2.0 Access Token958정성태12/7/201031684개발 환경 구성: 89. 배치(batch) 파일에서 또 다른 배치 파일을 동기 방식으로 실행 및 반환값 얻기 [2]957정성태12/6/201034253디버깅 기술: 31. Windbg - Visual Studio 디버그 상태에서 종료해 버리는 응용 프로그램 [3]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