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28. TF10217, TF53010, TF14105 오류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7804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TF10217, TF53010, TF14105 오류


"정확히" 어떤 경우에 이런 오류가 나는지는 아직 검증을 해보진 않았습니다. 변경 상황으로 볼때, 특정 사용자 계정을 TFS로부터 삭제한 후, 해당 사용자 계정으로 check-in 된 changeset이 존재할 때 나타나는 것으로 보입니다.

어쨌든, 테스트 환경이 유동적이다 보니 사용자 계정도 임의로 삭제해 보곤 하는데요. 그러는 중에, 정상적으로 등록된 사용자 계정으로 특정 프로젝트(또는 파일)에 대해서 지난 chank-in 기록을 살펴 보려고 시도를 하면(예를 들어, "View History")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tfs_view_history_error_1.png
"
TF10217: Team Foundation was unable to complete your request due to 
an unexprected error. For more details, see the event log on the Team Foundation Server.
"

"TF10217" 오류 코드 만으로는 그다지 영양가 있는 해결책을 찾을 수 없어서 TFS App-tier가 설치된 컴퓨터의 이벤트 로그를 확인해 보니 다음과 같은 오류 항목이 있었습니다.

이벤트 형식:	오류
이벤트 원본:	TFS Version Control
이벤트 범주:	없음
이벤트 ID:	3000
날짜:		2007-01-29
시간:		오전 11:15:51
사용자:		N/A
컴퓨터:	 TestPC
설명:
TF53010: An unexpected condition has occurred in a Team Foundation component. 
The information contained here should be made available to your site administrative staff.

Technical Information (for the administrative staff):
Date (UTC): 2007-01-29 오전 2:15:51
Machine: TestPC
Application Domain: /LM/W3SVC/4/Root/VersionControl-2-128145054612471881
Assembly: Microsoft.TeamFoundation.Common, Version=8.0.0.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b03f5f7f11d50a3a; v2.0.50727

Process Details:
  Process Name: w3wp
  Process Id: 432
  Thread Id: 988
  Account name: TESTDOMAIN\TestUser

Detailed Message: TF14105:
 An exception occurred in the Team Foundation Source Control System.

Web Request Details
    Url: http://dxtfs:8080/VersionControl/v1.0/repository.asmx [method: POST]
    User Agent: Team Foundation (devenv.exe, 8.0.50727.762)
    Headers: Cont...[중간생략]...X-VersionControl-Instance=e68ac739-ed23-476e-a704-f8d2f5ba0569
    Path: /VersionControl/v1.0/repository.asmx
    Local Request: False
    Host Address: 192.168.2.51
    User: TESTDOMAIN\TestUser [authentication type: NTLM]

Exception Message: Object reference not set to an instance of an object. (type NullReferenceException)

Exception Stack Trace:    
	at Microsoft.TeamFoundation.VersionControl.Server.Changeset.lookupDisplayNames()
  at Microsoft.TeamFoundation.VersionControl.Server.Item.QueryItemHistory(IPrincipal userPrincipal, 
    String user, ItemSpec itemSpec, Workspace localWorkspace, VersionSpec versionItem, VersionSpec versionFrom, 
    VersionSpec versionTo, Int32 maxCount, Boolean includeFiles, Boolean generateDownloadUrls, Boolean slotMode)
  at Microsoft.TeamFoundation.VersionControl.Server.Repository.QueryHistory(String workspaceName, 
    String workspaceOwner, ItemSpec itemSpec, VersionSpec versionItem, String user, VersionSpec versionFrom,
    VersionSpec versionTo, Int32 maxCount, Boolean includeFiles, Boolean generateDownloadUrls, Boolean slotMode)

자세한 정보는 http://go.microsoft.com/fwlink/events.asp에 있는 도움말 및 지원 센터를 참조하십시오.

요즘 ^^ 마이크로소프트의 이벤트로 로그가 상당히 자세하다는 것을 실감할 수 있습니다. ^^ 위의 결과로 구글 검색을 해보니 다음과 같은 토픽이 눈에 띄었습니다.

View History Errors 
; http://forums.microsoft.com/MSDN/ShowPost.aspx?PostID=808057&SiteID=1

위의 토픽에서 알려준데로, TFS DB-tier 의 "SQL Server Management Studio" 환경에서 "TfsVersionControl" DB를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쿼리를 실행해 보면,

select * from tbl_Changeset a
where not exists (
	select * from tbl_Identity b
	where b.IdentityId = a.OwnerId
)

아래와 같은 식으로 출력 결과가 나올 것입니다.

tfs_view_history_error_2.png

보시는 것처럼 OwnerId == 18 인 것으로 나오는데요. 바로 이것에 해당하는 사용자 계정이 삭제되었기 때문에 "Microsoft.TeamFoundation.VersionControl.Server.Changeset.lookupDisplayNames" 메서드에서 실패가 나는 것으로 보입니다. 실제로 "tbl_Identity" 테이블에서 "IdentityId" 필드값이 18 번인 것을 찾아보면 없습니다.

해결 방법은 "View History Errors"에서 일러주는 데로 18번 값을 갖는 레코드를 임시로 하나 넣어주는 방법이 있습니다.

BEGIN TRAN
DECLARE @deletedUniqueUserId INT
DECLARE @authKey VARBINARY(85)
DECLARE @base VARBINARY(85)

SET @base = 0xFFEEEEEE
SET @authKey = @base + CAST (NEWID() AS VARBINARY(85))

SELECT @deletedUniqueUserId = CounterValue
FROM tbl_Counter WITH (UPDLOCK)
WHERE CounterName = 'UniqueUserId'

SET IDENTITY_INSERT dbo.tbl_Identity ON

INSERT INTO dbo.tbl_Identity(IdentityId, AuthenticationKey, AuthenticationType, DisplayName, IsGroupIdentity, UniqueUserId, CreationDate)
VALUES (18, @authKey, 1, 'LCC\Unknown', 0, @deletedUniqueUserId, GETUTCDATE())

UPDATE tbl_Counter
SET CounterValue = CounterValue + 1
WHERE CounterName = 'UniqueUserId'

SET IDENTITY_INSERT dbo.tbl_Identity OFF
COMMIT TRAN

[내용추가: 2007-02-25]
해당 changeset 레코드를 삭제하는 방법은,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기 때문에 내용에서 삭제했습니다.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2/26/2007]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828정성태2/26/201930177개발 환경 구성: 429. Component Services 관리자의 RuntimeBroker 설정이 2개 있는 경우 [8]
11827정성태2/26/201922222오류 유형: 521. Visual Studio - Could not start the 'rsync' command on the remote host, please install it using your system package manager.
11826정성태2/26/201922662오류 유형: 520. 우분투에 .NET Core SDK 설치 시 패키지 의존성 오류
11825정성태2/25/201929171개발 환경 구성: 428. Visual Studio 2019 - CMake를 이용한 리눅스 빌드 환경 설정 [1]
11824정성태2/25/201923142오류 유형: 519. The SNMP Service encountered an error while accessing the registry key 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SNMP\Parameters\TrapConfiguration. [1]
11823정성태2/21/201923452오류 유형: 518. IIS 관리 콘솔이 뜨지 않는 문제
11822정성태2/20/201923636오류 유형: 517. docker에 설치한 MongoDB 서버로 연결이 안 되는 경우
11821정성태2/20/201924402오류 유형: 516. Visual Studio 2019 - This extension uses deprecated APIs and is at risk of not functioning in a future VS update. [1]
11820정성태2/20/201927626오류 유형: 515. 윈도우 10 1809 업데이트 후 "User Profiles Service" 1534 경고 발생
11819정성태2/20/201926527Windows: 158. 컴퓨터와 사용자의 SID(security identifier) 확인 방법
11818정성태2/20/201924228VS.NET IDE: 131. Visual Studio 2019 Preview의 닷넷 프로젝트 빌드가 20초 이상 걸리는 경우 [2]
11817정성태2/17/201919946오류 유형: 514. WinDbg Preview 실행 오류 - Error : DbgX.dll : WindowsDebugger.WindowsDebuggerException: Could not load dbgeng.dll
11816정성태2/17/201924650Windows: 157. 윈도우 스토어 앱(Microsoft Store App)을 명령행에서 직접 실행하는 방법
11815정성태2/14/201922902오류 유형: 513. Visual Studio 2019 - VSIX 설치 시 "The extension cannot be installed to this product due to prerequisites that cannot be resolved." 오류 발생
11814정성태2/12/201920406오류 유형: 512. VM(가상 머신)의 NT 서비스들이 자동 시작되지 않는 문제
11813정성태2/12/201921196.NET Framework: 809. C# - ("Save File Dialog" 등의) 대화 창에 확장 속성을 보이는 방법
11812정성태2/11/201918803오류 유형: 511. Windows Server 2003 VM 부팅 후 로그인 시점에 0xC0000005 BSOD 발생
11811정성태2/11/201926071오류 유형: 510. 서버 운영체제에 NVIDIA GeForce Experience 실행 시 wlanapi.dll 누락 문제
11810정성태2/11/201921411.NET Framework: 808. .NET Profiler - GAC 모듈에서 GAC 비-등록 모듈을 참조하는 경우의 문제
11809정성태2/11/201925171.NET Framework: 807. ClrMD를 이용해 메모리 덤프 파일로부터 특정 인스턴스를 참조하고 있는 소유자 확인
11808정성태2/8/201926861디버깅 기술: 123. windbg - 닷넷 응용 프로그램의 메모리 누수 분석
11807정성태1/29/201924390Windows: 156. 가상 디스크의 용량을 복구 파티션으로 인해 늘리지 못하는 경우 [4]
11806정성태1/29/201922288디버깅 기술: 122. windbg - 덤프 파일로부터 PID와 환경 변수 등의 정보를 구하는 방법
11805정성태1/28/201926317.NET Framework: 806. C# - int []와 object []의 차이로 이해하는 제네릭의 필요성 [4]파일 다운로드1
11804정성태1/24/201923991Windows: 155. diskpart - remove letter 이후 재부팅 시 다시 드라이브 문자가 할당되는 경우
11803정성태1/10/201922954디버깅 기술: 121. windbg - 닷넷 Finalizer 스레드가 멈춰있는 현상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