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Windows: 23. 롱혼 서버 코어 버전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2979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Longhorn Server Core


그동안, 소식으로만 접했었던 "Longhorn Server Core" 버전이 이번 2월 CTP 버전부터 공개되었습니다. "Core" 버전에 관한 구체적인 정보는 다음의 토픽들을 참고하시거나 웹에서 검색하면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Five Things to Know About Longhorn Server Core
; http://www.computerworld.com/action/article.do?command=viewArticleBasic&articleId=9008878&pageNumber=2

Server Core: Windows Without Windows 
; http://redmondmag.com/features/article.asp?EditorialsID=640

저 같은 경우에는, 언제나처럼... ^^ Virtual Server 2005에 설치를 해보았습니다. 설치하는 도중, 일반 "롱혼 서버" 버전으로 설치할 것인지, 아니면 "Core" 버전을 설치할 것인지를 묻는 대화창이 나옵니다. 아래의 화면에서 보는 것처럼 "SERVERENTERPRISECORE"를 선택하면 "Core" 버전의 롱혼 서버가 설치되어집니다.

[그림 1: 롱혼 서버 설치 화면]
lh_feb_ctp_install_1.png

일단, CTP 버전이기 때문에 "Enterprise" 버전만 공개되었지만 전체적인 라인업은 다음과 같은 버전이 될 거라고 합니다.

ServerStandard, ServerStandardCore, 
ServerEnterprise, ServerEnterpriseCore, 
ServerDatacenter, ServerDatacenterCore

각각의 버전에 대해서 동일하게 "Core" 버전을 제공해 주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다음의 화면은 실제로 "코어" 버전을 설치 완료한 이후의 화면입니다.

lh_feb_ctp_install_2.png

GUI 프로그램들 중에서 "작업 관리자"와 "메모장"이 제공되고 있습니다. 메모장의 경우에는 원래 "대화창" 리소스를 필요로 하게 되는 "Save As" 기능이 제거되었다고 하던데, 위의 화면에서 보시는 것처럼 2월 CTP 버전에서는 허용이 되어 있습니다. 그 외에는 "윈도우즈 GUI" 요소가 최소화되었기 때문에 일반 윈도우즈에서 볼 수 있는 윈도우즈 응용 프로그램은 모두 제외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Internet Explorer, Outlook Express, Calculator, Windows Paint, Wordpad, Windows Messenger, Media Player와 같은 기본 응용 프로그램들은 코어 버전에는 설치되지 않습니다.

음... 이제 대강 느낌이 오시죠? ^^ 그렇습니다. "롱혼 코어" 버전은 "윈도우즈 운영체제"가 특정 서버 역할을 할 수 있기 위한 최소한의 기능만을 담고 있는 제품입니다. 물론, 사용자는 "코어" 버전에 원하는 서버 역할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파일 서버, 도메인 컨트롤러, DNS 서버, DHCP 서버" 역할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향후에 좀 더 많은 서버 기능이 추가될 거라고 하는데, 그 부분은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웹 서버" 역할이 추가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서버 역할"과는 별도로, Cluster 서버, NLB, Unix subsystem, 롱혼에서 새롭게 소개되는 Windows Backup, Multipath I/O, Removable Storage Management, BitLocker drive encryption, SNMP 등의 기능은 일반 버전과 동일하게 제공된다고 합니다. 또한, 비록 명령어 창만이 제공되긴 해도 코어 버전 역시 "원격 데스크톱 관리" 기능도 포함한다고 합니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이 있다면 ".NET Framework"이 현재 버전에서는 제공되지 않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NET Framework" 자체가 "Core화"된 버전이 없기 때문인데, 아마도 이 부분은 향후에 제공될 수도 있지 않을까 예상해 봅니다. 어찌되었든, 이로 인해 명령어 창의 개선 버전인 PowerShell을 사용할 수가 없습니다. (실제로, 현재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v2.0.50727" 폴더가 비어 있는 체로 제공되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저 같은 경우에는 Virtual Server로 설치했기 때문에 원래부터 "Clean Install" 단계를 밟아서 문제가 안되었지만, "코어" 버전은 오직 "Clean Install"만을 지원한다고 합니다.

그러고 보면... 드디어 "윈도우즈 서버"가 제대로 최적화되기 시작한 것 같습니다. 이로 인해 얻을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가 있다면... 보다 경량화된 윈도우즈 코어 버전으로 인해, 호스트 운영체제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성능을 내는 Virtual PC / Virtual Server 환경에서 각광을 받지 않을까 예상해 봅니다. 게다가, "파워 관리자"들은 나름대로의 실력을 바탕으로 좀 더 최적화된 서버 관리를 할 수 있게 될 것이고.




아직은 CTP 버전이라서, 내부적으로 어느 정도는 최적화되지 않은 빌드를 포함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현재의 메모리 사용량 등을 평가하는 것은 다소 무리가 있어 보입니다. 그래도 "전체 롱혼 서버" 버전과 "코어" 버전이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 Virtual Server에 설치된 기준으로 디스크 용량과 메모리 점유에 대한 비교를 해보는 것도 재미있을 듯 싶어서 시도를 해봤습니다.

환경은 [그림 1]에서 소개한 2가지 버전을 각각 설치한 후, "Virtual Machine Addition"만을 설치한 상태에서, 서로 재부팅을 한 후 최초의 화면에서 작업 관리자를 띄운 것을 기준으로 했습니다. 각각의 메모리는 384MB를 할당한 상태입니다.

풀   버전 : 메모리 소비 - 209MB, VHD 디스크 용량 - 5,979,828 KB
코어 버전 : 메모리 소비 - 167MB, VHD 디스크 용량 - 2,792,362 KB

보시는 것처럼, 메모리 용량은 기대했던 것만큼 많은 차이는 내지 않았습니다. 40MB 정도야 ... 요즘에는 그다지 중요한 수치는 아니죠. 하지만 VHD 디스크 용량은 거의 3GB 가까운 용량이 절약되었습니다.

"코어 버전"이라... 어떻게 최종 릴리즈가 될지는 알 수 없지만, 일단은 기대가 되는군요. ^^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3/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08-02-27 04시22분
Windows Server 2008 ServerCore에서 IP와 공유 폴더 셋팅하기
; http://blog.naver.com/process3/20047835727
kevin25
2023-01-10 10시02분
정성태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237정성태6/20/202017772.NET Framework: 912. 리눅스 환경의 .NET Core에서 "test".IndexOf("\0")가 0을 반환
12236정성태6/19/202018527오류 유형: 621. .NET Standard 대상으로 빌드 시 dynamic 예약어에서 컴파일 오류 - error CS0656: Missing compiler required member 'Microsoft.CSharp.RuntimeBinder.CSharpArgumentInfo.Create'
12235정성태6/19/202017625오류 유형: 620. Windows 10 - Inaccessible boot device 블루 스크린
12234정성태6/19/202017015개발 환경 구성: 494. NuGet - nuspec의 패키지 스키마 버전(네임스페이스) 업데이트 방법
12233정성태6/19/202017609오류 유형: 619. SQL 서버 - The transaction log for database '...' is full due to 'LOG_BACKUP'. - 두 번째 이야기
12232정성태6/19/202016233오류 유형: 618. SharePoint - StoreBusyRetryLater 오류
12231정성태6/15/202019520.NET Framework: 911. Console/Service Application을 위한 SynchronizationContext - AsyncContext
12230정성태6/15/202018368오류 유형: 617. IMetaDataImport::GetMethodProps가 반환하는 IL 코드 주소(RVA) 문제
12229정성태6/13/202020277.NET Framework: 910. USB/IP PROJECT를 이용해 C#으로 USB Keyboard + Mouse 가상 장치 만들기 [1]
12228정성태6/12/202019604.NET Framework: 909. C# - Source Generator를 적용한 XmlCodeGenerator파일 다운로드1
12227정성태6/12/202023541오류 유형: 616. Visual Studio의 느린 업데이트 속도에 대한 원인 분석 [5]
12226정성태6/11/202021613개발 환경 구성: 493. OpenVPN의 네트워크 구성 [4]파일 다운로드1
12225정성태6/11/202019548개발 환경 구성: 492. 윈도우에 OpenVPN 설치 - 클라이언트 측 구성
12224정성태6/11/202028250개발 환경 구성: 491. 윈도우에 OpenVPN 설치 - 서버 측 구성 [1]
12223정성태6/9/202023976.NET Framework: 908. C# - Source Generator 소개 [10]파일 다운로드2
12222정성태6/3/202017446VS.NET IDE: 146. error information: "CryptQueryObject" (-2147024893/0x80070003)
12221정성태6/3/202017220Windows: 170. 비어 있지 않은 디렉터리로 symbolic link(junction) 연결하는 방법
12220정성태6/3/202020995.NET Framework: 907. C# DLL로부터 TLB 및 C/C++ 헤더 파일(TLH)을 생성하는 방법
12219정성태6/1/202019820.NET Framework: 906. C# - lock (this), lock (typeof(...))를 사용하면 안 되는 이유파일 다운로드1
12218정성태5/27/202019161.NET Framework: 905. C# - DirectX 게임 클라이언트 실행 중 키보드 입력을 감지하는 방법 [3]
12217정성태5/24/202017254오류 유형: 615. Transaction count after EXECUTE indicates a mismatching number of BEGIN and COMMIT statements. Previous count = 0, current count = 1.
12216정성태5/15/202020802.NET Framework: 904. USB/IP PROJECT를 이용해 C#으로 USB Keyboard 가상 장치 만들기 [14]파일 다운로드1
12215정성태5/12/202026762개발 환경 구성: 490. C# - (Wireshark의) USBPcap을 이용한 USB 패킷 모니터링 [10]파일 다운로드1
12214정성태5/5/202018444개발 환경 구성: 489. 정식 인증서가 있는 경우 Device Driver 서명하는 방법 (2) - UEFI/SecureBoot [1]
12213정성태5/3/202019567개발 환경 구성: 488. (User-mode 코드로 가상 USB 장치를 만들 수 있는) USB/IP PROJECT 소개
12212정성태5/1/202016777개발 환경 구성: 487. UEFI / Secure Boot 상태인지 확인하는 방법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