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디버깅 기술: 11.1. (Managed) Main Method에 Break Point 걸기 - 내용 보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1361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부모글 보이기/감추기

(시리즈 글이 9개 있습니다.)
디버깅 기술: 11. (Managed) Main Method에 Break Point 걸기
; https://www.sysnet.pe.kr/2/0/469

디버깅 기술: 11.1. (Managed) Main Method에 Break Point 걸기 - 내용 보강
; https://www.sysnet.pe.kr/2/0/470

디버깅 기술: 35. windbg - 분석 예: 시작하자마자 비정상 종료하는 프로세스 - NullReferenceException
; https://www.sysnet.pe.kr/2/0/996

디버깅 기술: 37. .NET 4.0 응용 프로그램의 Main 함수에 BreakPoint 걸기
; https://www.sysnet.pe.kr/2/0/1021

디버깅 기술: 59. NT 서비스가 시작하자마자 디버거를 연결시키는 방법 (1)
; https://www.sysnet.pe.kr/2/0/1586

디버깅 기술: 60. NT 서비스가 시작하자마자 디버거를 연결시키는 방법 (2)
; https://www.sysnet.pe.kr/2/0/1587

디버깅 기술: 61. NT 서비스 시작 단계에서 닷넷 메서드에 BP를 걸어 디버깅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598

디버깅 기술: 100. windbg - .NET 4.0 응용 프로그램의 Main 메서드에 Breakpoint 걸기
; https://www.sysnet.pe.kr/2/0/11322

디버깅 기술: 125. WinDbg로 EXE의 EntryPoint에서 BP 거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859






"(Managed) Main Method에 Break Point 걸기"에서 적힌 내용의 오류 및 추가 내용을 적어 보겠습니다. 내용 자체도 약간 수정되었지만, 그것도 다소 유용할 듯 싶어서 그냥 따로 분리해서 이렇게 써봅니다.




우선, 제가 이전의 토픽에서 결정적인 실수를 한 것이 있다면, "Workspace" 관련 설정으로 인해 이전에 설정해 둔 값들에 영향을 받아서 sxe 기능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았던 것이었습니다. "File" / "Delete Workspaces..." 메뉴로 모든 설정을 지운 다음에 다시 했더니 정상적으로 동작을 했습니다. 하나씩 짚어볼까요? ^^

1. "sxe clrn"의 기능
일단, "NTSD and SOS basics" 글을 제외하고는 제대로 된 문서조차도 찾을 수 없습니다. 사실 그 문서의 내용을 가지고 지레짐작했었는데, 지금은 도대체 어떤 기능을 하는 것인지 모르는 상황까지 왔습니다. 혹시 아시는 분 있으시면 ^^ 조언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2. 상이한 WinDbg 동작
이 부분에서 상당히 혼동스럽더군요. "Delete Workspaces..."로 초기화 된 상태에서 진행해도 컴퓨터마다 차이가 났습니다. 예를 들어, 처음 "Open Executable..." 메뉴로 exe 프로세스를 로드하는 경우에, Windows 2003의 경우에는 x86/x64 상관없이 처음 "first chance exception"이 발생할 때 프로그램 실행이 멈춘 반면, Vista에서는 "ntdll!RtlUserThreadStart"에서 멈추었습니다. 즉, 이런 점들을 감안하시고, 제가 보여드리는 예를 여러분들의 환경에서 꼭 동일하게 나와야 한다고 기준을 잡으시면 안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어쩌면 같은 Vista 버전임에도 불구하고 동작 화면이 다소 다를 수도 있을 테니. (참고로, 기본적으로는 Vista x86에서의 테스트 화면을 보여드릴 것입니다.)

아마도 이 부분은 "Event Filters" 설정에 따라서 다른 것 같은데,,, ^^; 왜 동일한 setup 파일로 설치하는 데 컴퓨터마다 다른 지에 대해서는 이해할 수가 없습니다. 어쨌든, 아래는 실제로 처음 로드 이후의 화면을 테스트 해본 것입니다.

====== Windows 2003 SP1 for x86

CommandLine: C:\temp\DumpTest\ConsoleApplication1\bin\Debug\ConsoleApplication1.exe
Symbol search path is: SRV*c:\Symbol\OSSymbols*http://msdl.microsoft.com/download/symbols;SRV*c:\Symbol\ProductSymbols;c:\Windows\system32;.
Executable search path is: 
ModLoad: 00400000 00408000   ConsoleApplication1.exe
ModLoad: 7c940000 7ca19000   ntdll.dll
ModLoad: 79000000 79045000   C:\WINDOWS\system32\mscoree.dll
ModLoad: 7c800000 7c93e000   C:\WINDOWS\system32\KERNEL32.dll
(ab4.14c): Break instruction exception - code 80000003 (first chance)
eax=7ca00000 ebx=7ffde000 ecx=00000001 edx=00000002 esi=7c9c9e14 edi=00141f38
eip=7c962583 esp=0012fb70 ebp=0012fcb4 iopl=0         nv up ei pl nz na po nc
cs=001b  ss=0023  ds=0023  es=0023  fs=003b  gs=0000             efl=00000202
ntdll!DbgBreakPoint:
7c962583 cc              int     3


====== Windows 2003 SP1 for x64

CommandLine: C:\temp\DumpTest\ConsoleApplication1\bin\Debug\ConsoleApplication1.exe
Symbol search path is: SRV*\\localhost\d$\Symbol\OSSymbols*http://msdl.microsoft.com/download/symbols;SRV*\\localhost\d$\Symbol\ProductSymbols;d:\Windows\system32;.
Executable search path is: 
ModLoad: 00000000`00400000 00000000`00408000   ConsoleApplication1.exe
ModLoad: 00000000`78ec0000 00000000`78ff9000   ntdll.dll
ModLoad: 00000642`7ee60000 00000642`7eed4000   D:\WINDOWS\system32\mscoree.dll
ModLoad: 00000000`77d40000 00000000`77eb3000   D:\WINDOWS\system32\KERNEL32.dll
(5e18.5928): Break instruction exception - code 80000003 (first chance)
ntdll!DbgBreakPoint:
00000000`78ef3320 cc              int     3


====== Windows Vista 영문 버전 for x86

CommandLine: D:\temp\DumpTest\ConsoleApplication1\bin\Debug\ConsoleApplication1.exe
Symbol search path is: SRV*\\localhost\d$\Symbol\OSSymbols*http://msdl.microsoft.com/download/symbols;SRV*\\localhost\d$\Symbol\ProductSymbols;C:\Windows\system32;.
Executable search path is: 
ModLoad: 00920000 00928000   ConsoleApplication1.exe
ModLoad: 77c40000 77d5e000   ntdll.dll
eax=009226fe ebx=7ffd5000 ecx=00000000 edx=00000000 esi=00000000 edi=00000000
eip=77ca0f18 esp=001efdb8 ebp=00000000 iopl=0         nv up ei pl nz na po nc
cs=001b  ss=0023  ds=0023  es=0023  fs=003b  gs=0000             efl=00000200
ntdll!RtlUserThreadStart:
77ca0f18 89442404        mov     dword ptr [esp+4],eax ss:0023:001efdbc=00000000

3. "g" 명령
(Vista 버전에서는) 기본적으로, 처음 실행 파일을 지정하고 나서 멈춘 이후부터는 "g" 명령 한번에 "DLL" 로드 하나가 이뤄집니다. 아래는 처음 "ConsoleApplication1.exe"를 로드한 이후 "g" 명령을 실행한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최초 실행 파일(ConsoleApplication1.exe)이 올라온 후, 그 뒤를 이어 바로 CLR Startup Shim 모듈(mscoree.dll)이 올라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Microsoft (R) Windows Debugger  Version 6.6.0007.5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CommandLine: D:\temp\DumpTest\ConsoleApplication1\bin\Debug\ConsoleApplication1.exe
Symbol search path is: SRV*\\localhost\d$\Symbol\OSSymbols*http://msdl.microsoft.com/download/symbols;SRV*\\localhost\d$\Symbol\ProductSymbols;C:\Windows\system32;.
Executable search path is: 
ModLoad: 01360000 01368000   ConsoleApplication1.exe
ModLoad: 77c40000 77d5e000   ntdll.dll
eax=013626fe ebx=7ffde000 ecx=00000000 edx=00000000 esi=00000000 edi=00000000
eip=77ca0f18 esp=0028fa50 ebp=00000000 iopl=0         nv up ei pl nz na po nc
cs=001b  ss=0023  ds=0023  es=0023  fs=003b  gs=0000             efl=00000200
ntdll!RtlUserThreadStart:
77ca0f18 89442404        mov     dword ptr [esp+4],eax ss:0023:0028fa54=00000000
0:000> g
ModLoad: 79000000 79045000   C:\Windows\system32\mscoree.dll
eax=77c886c2 ebx=00000000 ecx=0028eae0 edx=000000ac esi=7ffdf000 edi=20000000
eip=77ca0f34 esp=0028edf0 ebp=0028ee34 iopl=0         nv up ei pl zr na pe nc
cs=001b  ss=0023  ds=0023  es=0023  fs=003b  gs=0000             efl=00000246
ntdll!KiFastSystemCallRet:
77ca0f34 c3              ret
0:000> g
ModLoad: 76720000 767f8000   C:\Windows\system32\KERNEL32.dll
eax=0028ec04 ebx=00000000 ecx=0000000c edx=0028ec58 esi=7ffdf000 edi=20000000
eip=77ca0f34 esp=0028ead8 ebp=0028eb1c iopl=0         nv up ei pl zr na pe nc
cs=001b  ss=0023  ds=0023  es=0023  fs=003b  gs=0000             efl=00000246
ntdll!KiFastSystemCallRet:
77ca0f34 c3              ret

4. Vista, x64에서는 "sxe ld mscorwks"가 안된다?
이전 토픽에서 그렇게 말씀드렸는데, "Delete Workspaces"로 환경 초기화 후에는 잘 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5. sos.dll 로드 방법
이전 토픽에서, sos.dll 로드하는 방법을 설명드리지 않았지만, 예전에 소개해 드린 "WinDBG를 이용한 미니덤프 파일 분석"에서 약간 자세하게 써놓았습니다.

그때와 비교해서 "6.6.7.5" 버전에서는 기본적으로 sos.dll이 로드되어 있어서 별로 신경 쓸 것이 없는데, 이것도 환경에 따라 로드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이런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명령을 통해서 현재 로드된 "mscorwks.dll" 버전에 따라서 그에 적합한 sos.dll 버전을 로드할 수 있습니다.

.loadby sos mscorwks


".loadby"는 현재 프로세스에 "mscorwks.dll"이 로드된 이후에나 가능하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물론, ".load sos"라고 하면 "mscorwks.dll" 로드 여부에 상관없이 sos 확장 DLL을 로드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6. Main 함수에 BP 설정
Main 함수에 BP를 거는 것에 대해 다시 명령어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가능한 환경을 동일하게 설정하기 위해 "File" / "Delete Workspaces..." 명령어로 환경을 초기화했다고 가정합니다.)


  1. "windbg.exe ConsoleApplication1.exe" 명령 실행
  2. "bp mscorwks!ClassLoader::RunMain" 실행
  3. "mscorwks!ClassLoader::RunMain"까지 "g" 명령을 통해서 실행
  4. "bc *"로 현재 걸린 BP를 모두 삭제
  5. "!bpmd ConsoleApplication1 ConsoleApplication1.Program.Main"으로 새로운 BP 설정
  6. "g" 명령어로 실행하면, "ConsoleApplication1!ConsoleApplication1.Program.Main"에서 실행 중지.

혹시, 위의 "c" 단계에서 "g" 명령을 실행 했는데도, "mscorwks!ClassLoader::RunMain"에서 중지가 안 되고, 새로운 DLL들이 로드될 때마다 실행이 중지되는 수도 있을 텐데요. 그런 분들은 "Debug" / "Event Filters..." 메뉴로 가서, "Load module" 항목을 "output" - "not handled"로 수정해 주시면 DLL 로드 때마다 실행이 중지되는 경우가 없어지게 되니 참고하십시오.



최종 실습 결과를 아래에 실었으니 참고하십시오.

Microsoft (R) Windows Debugger  Version 6.6.0007.5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CommandLine: D:\temp\DumpTest\ConsoleApplication1\bin\Debug\ConsoleApplication1.exe
Symbol search path is: SRV*\\localhost\d$\Symbol\OSSymbols*http://msdl.microsoft.com/download/symbols;SRV*\\localhost\d$\Symbol\ProductSymbols;C:\Windows\system32;.
Executable search path is: 
ModLoad: 00920000 00928000   ConsoleApplication1.exe
ModLoad: 77c40000 77d5e000   ntdll.dll
eax=009226fe ebx=7ffd6000 ecx=00000000 edx=00000000 esi=00000000 edi=00000000
eip=77ca0f18 esp=002cf990 ebp=00000000 iopl=0         nv up ei pl nz na po nc
cs=001b  ss=0023  ds=0023  es=0023  fs=003b  gs=0000             efl=00000200
ntdll!RtlUserThreadStart:
77ca0f18 89442404        mov     dword ptr [esp+4],eax ss:0023:002cf994=00000000
0:000> bp mscorwks!ClassLoader::RunMain
Bp expression 'mscorwks!ClassLoader::RunMain' could not be resolved, adding deferred bp
0:000> g
ModLoad: 79000000 79045000   C:\Windows\system32\mscoree.dll
eax=77c886c2 ebx=00000000 ecx=002cea20 edx=000000ac esi=7ffdf000 edi=20000000
eip=77ca0f34 esp=002ced30 ebp=002ced74 iopl=0         nv up ei pl zr na pe nc
cs=001b  ss=0023  ds=0023  es=0023  fs=003b  gs=0000             efl=00000246
ntdll!KiFastSystemCallRet:
77ca0f34 c3              ret
0:000> g 
ModLoad: 76720000 767f8000   C:\Windows\system32\KERNEL32.dll
(112c.169c): Break instruction exception - code 80000003 (first chance)
eax=00000000 ebx=00000000 ecx=002cf4a0 edx=77ca0f34 esi=fffffffe edi=77d05d14
eip=77c82ea8 esp=002cf4b8 ebp=002cf4e8 iopl=0         nv up ei pl zr na pe nc
cs=001b  ss=0023  ds=0023  es=0023  fs=003b  gs=0000             efl=00000246
ntdll!DbgBreakPoint: // 여기에서 "kernel32.dll"을 로드하고 멈춰서, "Load module" 항목을 "output" - "not handled" 으로 수정.
77c82ea8 cc              int     3
0:000> g // 이제는 "mscorwks!ClassLoader::RunMain" 까지 진행
ModLoad: 77b80000 77c3f000   C:\Windows\system32\ADVAPI32.dll
...[중간 생략]...
ModLoad: 790c0000 79bde000   C:\Windows\assembly\NativeImages_v2.0.50727_32\mscorlib\7fe79782947b85d961fd55cb5e02a129\mscorlib.ni.dll
Breakpoint 0 hit
eax=002cf19c ebx=00000000 ecx=f350130c edx=80000001 esi=00192fe8 edi=00000000
eip=79ef3c78 esp=002cf164 ebp=002cf1b4 iopl=0         nv up ei pl nz na pe nc
cs=001b  ss=0023  ds=0023  es=0023  fs=003b  gs=0000             efl=00000206
mscorwks!ClassLoader::RunMain:
79ef3c78 55              push    ebp
0:000> !bpmd ConsoleApplication1 ConsoleApplication1.Program.Main
Found 1 methods...
MethodDesc = 00192fe8
Adding pending breakpoints...
0:000> g
ModLoad: 79060000 790b3000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v2.0.50727\mscorjit.dll
ModLoad: 73cb0000 73cb8000   ClassLibrary1.dll
ModLoad: 00aa0000 00aa8000   ClassLibrary1.dll
ModLoad: 73cb0000 73cb8000   D:\temp\DumpTest\ConsoleApplication1\bin\Debug\ClassLibrary1.dll
(112c.169c): CLR notification exception - code e0444143 (first chance)
JITTED ConsoleApplication1!ConsoleApplication1.Program.Main()
Setting breakpoint: bp 00AC0070 [ConsoleApplication1.Program.Main()]
Breakpoint 1 hit
eax=00192fe8 ebx=002cee2c ecx=00000003 edx=00000000 esi=004e5108 edi=00000000
eip=00ac0070 esp=002cee04 ebp=002cee10 iopl=0         nv up ei pl nz ac pe nc
cs=001b  ss=0023  ds=0023  es=0023  fs=003b  gs=0000             efl=00000216
00ac0070 57              push    edi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9/28/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530정성태11/5/201327459기타: 38. 오픈소스로 풀린 하드 디스크 관리 도구 - WindowSMART
1529정성태11/5/201323349오류 유형: 192. SQL 서버 - The transaction log for database '...' is full due to 'LOG_BACKUP'.
1528정성태11/5/201328943디버깅 기술: 58. windbg 분석 사례 - WPF 응용 프로그램의 UI가 반응하지 않는 문제 [5]
1527정성태11/4/201326557VC++: 72. error MIDL2311 - mktyplib compatability mode 컴파일 오류
1526정성태11/3/201323263디버깅 기술: 57. C# - double 값에 대한 windbg 확인
1525정성태11/2/201329658.NET Framework: 391. C# - EXE/DLL로부터 추출한 이미지/아이콘의 배경색 투명 처리 [8]
1524정성태11/2/201330494기타: 37. 프로그램에 보여지는 리소스(예: 아이콘) 추출하는 방법 [1]
1523정성태11/2/201326857VS.NET IDE: 81. Visual Studio 확장 도구 AttachToW3WP - w3wp.exe에 대한 디버거 연결을 자동화하는 도구 [2]
1522정성태11/1/201323442VS.NET IDE: 80. IIS 8.0/8.5 - Global.asax.cs처럼 초기에 실행되는 코드에 Breakpoint를 잡는 방법
1521정성태11/1/201329304VS.NET IDE: 79. IIS 7.5 - Global.asax.cs처럼 초기에 실행되는 코드에 Breakpoint를 잡는 방법
1520정성태10/31/201323713오류 유형: 191. Visual Studio 2010 - 웹 애플리케이션 생성 시 "The project type is not supported by this installation." 오류 발생 해결
1519정성태10/31/201349234기타: 36. SYSTEM 또는 TrustedInstaller 소유로 되어 있는 폴더/파일을 삭제하는 방법 [5]
1518정성태10/30/201326890VS.NET IDE: 78. Visual Studio 확장으로 XmlCodeGenerator 제작하는 방법
1517정성태10/28/201326462디버깅 기술: 56. 덤프 파일에 핸들/스레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1]
1516정성태10/28/201331791.NET Framework: 390. FolderBrowserDialog보다 더 쓸만한 대화창이 필요하다면? [1]
1515정성태10/24/201334467VS.NET IDE: 77. Visual Studio 확장(VSIX) 만드는 방법 [5]
1514정성태10/24/201367804개발 환경 구성: 202. Internet Explorer 11을 7, 8, 9, 10 버전으로 인식시키는 방법 [9]파일 다운로드1
1513정성태10/23/201324357개발 환경 구성: 201. Azure Blob Storage의 DNS 경로를 사용자 DNS로 바꾸는 방법 [1]
1512정성태10/18/201327576개발 환경 구성: 200. IIS AppPool의 실행 계정을 변경하는 방법
1511정성태10/12/201325718.NET Framework: 389. The 3n + 1 problem의 C#/Java 버전 풀이 [2]
1510정성태10/8/201326615오류 유형: 190. 윈도우 서버 2012 R2 설치 후 인텔 NIC으로 인한 WMI 오류 발생
1509정성태10/8/201331791오류 유형: 189. Windows Server 8.1/2012 R2 - IME 비정상 종료 현상 [1]
1508정성태10/4/201326864.NET Framework: 388. 일반 닷넷 프로젝트에서 WinRT API를 호출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507정성태9/30/201324725오류 유형: 188. The key 'LocalizedPerfCounter' does not exist in the appSettings configuration section.
1506정성태9/30/201326903오류 유형: 187. Parameter "basePath" cannot be a relative path
1505정성태9/26/201375389기타: 35. Microsoft Office 2007 인증 생략하는 방법 [10]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