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4개 있습니다.)

비스타 x64 버전에서 서명되지 않은 드라이버 사용


이미 소식을 접하신 분들이 계실텐데요... Vista x64 버전에서는 "서명되지 않은 드라이버"를 사용할 수 없도록 강제화되었습니다. 개인적으로도 바람직한 선택이라고 여기고는 있지만, 기존에 있는 프로그램들을 그대로 사용하는 지금의 시기에서는 그러한 제약이 달갑지 않은 것이 사실입니다. 최대한 기존 실행 프로그램들에 대한 호환을 위해서는 부득이 "서명되지 않은 드라이버"를 로드해야 경우도 있을 테니, 이번에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제가 알고 있는 방법으로는 3가지가 정도가 있는 것 같습니다.

1. 부팅시 F8 키로 시작 옵션 선택
가령 예를 들어서, "서명되지 않은 드라이버"와 연관된 프로그램이 어쩌다가 실행되어지는 프로그램이라면 그냥 간단하게, Vista 시작시에 "F8" 키를 눌러서 "Disable Driver Signature Enforcement"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그 한번의 부팅에 대해서는 드라이버 서명 확인 작업을 하지 않게 됩니다. 물론, "언제나" 실행되어지는 경우라면 사정이 달라지죠? 매번 귀찮게 F8 키를 누르고 실행하는 것은 불편한 일인데다, 행여 실수로 그 과정을 지나치게 되면 다시 운영 체제를 재시작해야 하므로 ... 여간 귀찮은 작업이 아닐 수 없습니다.

2. BCDEdit.exe를 이용한 부팅 정보 수정
위의 1번에서 다뤘던 것과는 달리, 부팅 정보 자체를 수정해서 드라이버 서명을 검사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 bcdedit.exe 파일에 의해서 제공이 되어집니다.

bcdedit -set loadoptions DDISABLE_INTEGRITY_CHECKS
; http://forum.rightmark.org/post.cgi?id=post:6:942:27

간단하지요. ^^ 물론, 위와 같이 설정해 준 다음에는 재부팅을 해줘야 합니다.

3. 사용자가 해당 시스템 파일에 대해서 서명
이 부분은 사실 개인적으로 테스트를 해보았는데 잘 되지 않아서 설명을 확실하게 드릴 수는 없습니다. 만약 이 글을 읽는 분 중에서 제가 쓴 내용이 틀리는 경우 지적을 좀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드라이버 개발자들이 개발 과정에서 테스트 인증서를 사용하여 개발하는 것을 허용하고 있는데, 바로 그런 상황을 이용하여 드라이버 서명을 명시적으로 해줄 수가 있습니다. 대략 다음과 같은 순서로 여러분들이 사용하게될 드라이버에 대해 서명을 해줄수가 있겠습니다.

  1. 테스트 인증서 생성
  2. 드라이버 파일을 테스트 인증서로 서명

테스트 인증서는 "makecert.exe"를 이용해서 생성할 수 있습니다. makecert.exe 파일은 Platform SDK 또는 VS.NET을 설치하면 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VS.NET 2005의 경우에는 다음의 폴더에서 제공됩니다.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 8\SDK\v2.0\Bin

makecert를 이용한 방법 이외에도, 인증서 서비스를 구동하고 있는 경우에는 "https://.../certsrv/certrqma.asp"로 제공되는 인증서 요청 페이지에서 "Type of Certificate Needed" 항목의 값을 "Code Signing Certificate"로 선택해서 인증서를 얻어낼 수도 있습니다. 이에 관해서는 다음의 토픽을 참고하십시오.

서비스를 위한 인증서 설치
; https://www.sysnet.pe.kr/2/0/429

인증서를 구했으니, 이제 해당 드라이버 파일을 서명해 주시면 됩니다. 이를 위해서 SignTool.exe가 제공되는 데, 이 프로그램 역시 Platform SDK 또는 VS.NET을 설치한 경우에 makecert.exe와 동일한 경로에서 구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PFX 파일을 이용한 실행 옵션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signtool sign /f [PFX 파일] /p [암호] /v [대상 드라이버 파일명]

보통 인증서 파일을 "CER"로 받았을 텐데, 이 경우에 "내보내기" 등의 방법을 통해서 "PFX" 파일로 변환해 줍니다.이에 대해서는 다음의 토픽을 참고하십시오.

인증서 관리 - 내보내기/가져오기
; https://www.sysnet.pe.kr/2/0/392

실제로 실행해 보면 다음과 같은 식으로 출력이 되어집니다.

C:\test>signtool sign /f test.pfx /p test /v RTCore64.sys
The following certificate was selected:
    Issued to: CodeSign
    Issued by: w32.sysnet.pe.kr
    Expires:   2008-03-12  12:41:11
    SHA1 hash: 17D9F72DD6B1E4DA7FFD500484F84031D6842A32

Done Adding Additional Store

Attempting to sign: RTCore64.sys
Successfully signed: RTCore64.sys

Number of files successfully Signed: 1
Number of warnings: 0
Number of errors: 0 

그런데, 위와 같이 해줬는데... ^^; 처음에 말씀드렸듯이 드라이버 파일이 여전히 로드가 안되었습니다. 음... 어떤 것을 틀린 걸까요? ^^

일단, 오늘은 "BCDEdit"로 하는 방법을 알게 된 것으로 만족해야 겠습니다.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2/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07-03-27 06시32분
[Loner] 테스트 인증서는 RootCA 라고 하는 임시 테스트 CA로 부터 발급 받은 것으로 생성되고
RootCA가 신뢰할 수 있는 인증기관에 포함되어 있지 않아서 그런것 아닐까요?
저는 테스트를 할 때는 SimpleIsBest.NET Root CA라고 하는 self-signed 인증서를 만들고
이 인증서를 LocalMachine의 "신뢰할 수 있는 인증기관"에 등록해 둡니다.
그리고 이 CA로 부터 발급하는 테스트 인증서를 makecert.exe로 만들 수 있습니다.
(-i?? 의 발급 기관을 명시하는 옵션 사용)
이러한 경우 대부분 Windows 가 정상적인 인증서로 취급해 줍니다.
이 인증서로 서명을 하면 Vista에서 권한 상승시 정상적인 인증서로 취급되지요.
[guest]
2007-03-28 08시11분
예... 제가 테스트 과정 중에 실수를 했을 수도 있지만... 일단은 "신뢰할 수 있는 인증 기관"에 등록해 두었습니다. 그리고 저는 가능한 테스트 인증서는 사용하지 않고, sysnet 에서 구동시키고 있는 인증서 서비스에서 받아서 사용합니다. 물론, sysnet 인증서가 "신뢰할 수 있는 인증 기관"에 등록되어져 있고요. ^^ 그 부분은 시간 나면, 다시 한번 테스트 해보겠습니다. ^^
kevin25
2008-04-14 09시16분
EasyBCD - GUI 기반 손쉬운 부팅 정보 편집기
; http://www.serverinfo.pe.kr/Tools/UsefulTools.aspx?Seq=66
kevin25
2009-07-20 09시28분
64비트 드라이버 서명에 필수적인 교차 인증서(Cross-Certificate)
; http://www.pyrasis.com/blog/entry/64BitDriverSigningCrossCertificate

Baltimore CyberTrust, Equifax Secure, GTE CyberTrust, GlobalSign, GeoTrust, VeriSign 업체로부터의 인증서만 지원한다고 하는군요. ^^


더 이상 교차 인증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kevin25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NoWriterDateCnt.TitleFile(s)
622정성태12/1/200831135오류 유형: 63. WPF - XamlParseException 대응 방법 [2]
621정성태11/30/200823351Team Foundation Server: 27. TeamBuild + VDPROJ 셋업 프로젝트 [1]
620정성태11/30/200822170디버깅 기술: 21. 올바른 이벤트 예외 정보 출력
619정성태11/30/200822236디버깅 기술: 20. 예외 처리를 방해하는 WPF Modal 대화창파일 다운로드1
618정성태11/29/200822809.NET Framework: 113. 이벤트에 속한 이벤트 핸들러 확인파일 다운로드1
617정성태11/26/200828307.NET Framework: 112. How to Interop DISPPARAMS [2]파일 다운로드2
616정성태11/26/200822094디버깅 기술: 19. C++/CLI - F11 디버깅 시의 변수 초기화파일 다운로드1
615정성태11/9/200831791.NET Framework: 111. WPF - Window, UserControl 클래스 상속 [1]
614정성태11/9/200831707.NET Framework: 110. WPF - 전역 예외 처리 [4]파일 다운로드1
613정성태11/8/200821337.NET Framework: 109. WPF - SystemColors 색상표파일 다운로드1
612정성태11/1/200826564.NET Framework: 108. WPF + WCF 환경에서는 DataContract를 권장 [1]
611정성태10/31/200820973오류 유형: 62. WPF - Visual Studio 2008 비정상 종료
610정성태10/24/200823164Team Foundation Server: 26. TFS 2008 SP1 + SQL Server 2008 설치
609정성태10/24/200826928.NET Framework: 107. WPF - RadioButton 데이터 바인딩 해제 현상파일 다운로드2
608정성태10/23/200821652오류 유형: 61. TFS 연결 오류: TF31003, TF30331 오류
607정성태10/18/200819491Windows: 32. 자동 실행 경로에 ".." 가 포함된 경우
606정성태10/18/200821508.NET Framework: 106. WCF - 다중 서비스 호스트파일 다운로드1
605정성태10/18/200824957.NET Framework: 105. WPF - 닫기 버튼을 없애려면.
604정성태10/18/200825500오류 유형: 60. System.Management.ManagementException - Generic failure [1]
602정성태10/15/200827421오류 유형: 59. WPF - XAML 로딩 시 Visual Studio 비정상 종료 [1]
600정성태10/9/200832144디버깅 기술: 18. TFS Team Build + Source Server = 소스 코드 디버깅 [3]
603정성태10/15/200824034    답변글 디버깅 기술: 18.1. 소스 서버 구성, 그 외의 이야기
599정성태10/5/200830006디버깅 기술: 17. TFS Team Build + Symbol Server [1]
598정성태10/3/200819995VS.NET IDE: 57. VS.NET 2008 - 다중 프로젝트에서 단일 SNK를 사용하는 방법
597정성태10/2/200818650Team Foundation Server: 25. VSTS 2008의 Build Explorer
596정성태10/2/200825392오류 유형: 58. WPF : 드롭다운 유형의 ComboBox가 펼쳐지지 않는 문제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