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32. VS.NET 2005 - x64 환경에서의 mixed 디버깅 환경 구성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0137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VS.NET 2005 - x64 환경에서의 mixed 디버깅 환경 구성


sos.dll을 사용하다 보니 이런 문제도 만나게 되는군요. ^^

해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VS.NET 2005의 "Immediate Window"에서 "SOS.dll"을 로드하기 위해서는 프로젝트 속성창의 "Debug" 탭에서 "Enable unmanaged code debugging" 옵션을 설정해 주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load sos.dll
관리 전용 디버깅이 설정되어있는 동안은 SOS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SOS를 로드하려면 프로젝트 속성에서 관리되지 않는 디버깅을 사용하도록 설정하십시오.

SOS not available while Managed only debugging.  
To load SOS, enable unmanaged debugging in your project properties.

그리고, 반드시 실행이 정지된 상태(Break Point가 걸린)에서만 가능합니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또한 다음과 같이 오류가 발생합니다.

.load sos.dll
The expression cannot be evaluated while in run mode. 




그래서, 결국 "Enable unmanaged code debugging" 옵션을 켜고 디버깅 모드로 진입하려고 시도해 보게 되는데요. 만약 "Windows XP/2003 for x64" 운영체제 위에서 작업하고 계시다면, 다음과 같은 오류 메시지 창을 만나게 됩니다.

vsnet2005_mixed_debug_x64_1.png

"
Error while trying to run project: Unable to start program '...'.
The debugger does not support debugging managed and native code at the same time 
"

애석하게도, 현재로서는 64bit 모드인 경우에는 혼합 디버깅 방식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만약, 굳이 해야 한다고 하면, 프로젝트 속성 창의 "빌드" 탭에서 "Platform target" 설정을 "Any CPU"가 아닌 "x86"으로 설정하셔야 합니다.

(Orcas Beta1에서도 동일한 오류가 발생하는군요.)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5/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810정성태8/27/202115486.NET Framework: 1107. .NET Core/5+에서 동적 컴파일한 C# 코드를 (Breakpoint도 활용하며) 디버깅하는 방법 - #line 지시자파일 다운로드1
12809정성태8/26/202115446.NET Framework: 1106. .NET Core/5+에서 C# 코드를 동적으로 컴파일/사용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808정성태8/25/202117090오류 유형: 758. go: ...: missing go.sum entry; to add it: go mod download ...
12807정성태8/25/202117871.NET Framework: 1105. C# 10 - (9) 비동기 메서드가 사용할 AsyncMethodBuilder 선택 가능파일 다운로드1
12806정성태8/24/202114418개발 환경 구성: 601. PyCharm - 다중 프로세스 디버깅 방법
12805정성태8/24/202116127.NET Framework: 1104. C# 10 - (8) 분해 구문에서 기존 변수의 재사용 가능파일 다운로드1
12804정성태8/24/202116291.NET Framework: 1103. C# 10 - (7) Source Generator V2 APIs
12803정성태8/23/202116804개발 환경 구성: 600. pip cache 디렉터리 옮기는 방법
12802정성태8/23/202117224.NET Framework: 1102. .NET Conf Mini 21.08 - WinUI 3 따라해 보기 [1]
12801정성태8/23/202116803.NET Framework: 1101. C# 10 - (6) record class 타입의 ToString 메서드를 sealed 처리 허용파일 다운로드1
12800정성태8/22/202117184개발 환경 구성: 599. PyCharm - (반대로) 원격 프로세스가 PyCharm에 디버그 연결하는 방법
12799정성태8/22/202117465.NET Framework: 1100. C# 10 - (5) 속성 패턴의 개선파일 다운로드1
12798정성태8/21/202118815개발 환경 구성: 598. PyCharm - 원격 프로세스를 디버그하는 방법
12797정성태8/21/202116190Windows: 197. TCP의 MSS(Maximum Segment Size) 크기는 고정된 것일까요?
12796정성태8/21/202117182.NET Framework: 1099. C# 10 - (4) 상수 문자열에 포맷 식 사용 가능파일 다운로드1
12795정성태8/20/202117505.NET Framework: 1098. .NET 6에 포함된 신규 BCL API - 스레드 관련
12794정성태8/20/202116880스크립트: 23. 파이썬 - WSGI를 만족하는 최소한의 구현 코드 및 PyCharm에서의 디버깅 방법 [1]
12793정성태8/20/202117675.NET Framework: 1097. C# 10 - (3) 개선된 변수 초기화 판정파일 다운로드1
12792정성태8/19/202118773.NET Framework: 1096. C# 10 - (2) 전역 네임스페이스 선언파일 다운로드1
12791정성태8/19/202115597.NET Framework: 1095. C# COM 개체를 C++에서 사용하는 예제 [3]파일 다운로드1
12790정성태8/18/202119544.NET Framework: 1094. C# 10 - (1) 구조체를 생성하는 record struct파일 다운로드1
12789정성태8/18/202118199개발 환경 구성: 597. PyCharm - 윈도우 환경에서 WSL을 이용해 파이썬 앱 개발/디버깅하는 방법
12788정성태8/17/202115745.NET Framework: 1093. C# - 인터페이스의 메서드가 다형성을 제공할까요? (virtual일까요?)파일 다운로드1
12787정성태8/17/202116123.NET Framework: 1092. (책 내용 수정) "4.5.1.4 인터페이스"의 "인터페이스와 다형성"
12786정성태8/16/202118056.NET Framework: 1091. C# - Python range 함수 구현 (2) INumber<T>를 이용한 개선 [1]파일 다운로드1
12785정성태8/16/202116515.NET Framework: 1090. .NET 6 Preview 7에 추가된 숫자 형식에 대한 제네릭 연산 지원 [1]파일 다운로드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