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글 보이기/감추기 AD BLOCK 해제 요청 이 글에는 광고가 많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adblock을 해제하셔도 글을 읽는데 그다지 부담이 없으니 해제를 부탁드립니다. http://toastytech.com/guis/index.html 위의 사이트에 들어간 후, 좌측에 Windows 링크를 클릭하면 WinME 계열의 발전사를 보실 수 있고, WindowsNT 링크를 클릭하면 Windows 2003 계열의 발전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재미있네요. ^^ [다음 글] 기타: 5. 53만 원대 Second PC 마련. ^^[이전 글] VS.NET IDE: 7. 한글 OS에서 Internet Explorer 6.0 with SP1의 UI 언어 바꾸는 방법 [최초 등록일: 3/2/2004] [최종 수정일: 6/25/2021]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3-01-01 12시06분 Windows 3.1 simulator in JS; http://www.michaelv.org/ 정성태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525정성태2/1/202116466개발 환경 구성: 531. Azure Devops - 파이프라인 실행 시 빌드 이벤트를 생략하는 방법12524정성태1/31/202116628개발 환경 구성: 530. 기존 github 프로젝트를 Azure Devops의 빌드 Pipeline에 연결하는 방법 [1]12523정성태1/31/202119077개발 환경 구성: 529. 기존 github 프로젝트를 Azure Devops의 Board에 연결하는 방법12522정성태1/31/202121362개발 환경 구성: 528. 오라클 클라우드의 리눅스 VM - 9000 MTU Jumbo Frame 테스트12521정성태1/31/202119065개발 환경 구성: 527. 이더넷(Ethernet) 환경의 TCP 통신에서 MSS(Maximum Segment Size) 확인 [1]12520정성태1/30/202118309개발 환경 구성: 526. 오라클 클라우드의 VM에 ping ICMP 여는 방법12519정성태1/30/202117650개발 환경 구성: 525. 오라클 클라우드의 VM을 외부에서 접근하기 위해 포트 여는 방법12518정성태1/30/202136014Linux: 37. Ubuntu에 Wireshark 설치 [2]12517정성태1/30/202123024Linux: 36. 윈도우 클라이언트에서 X2Go를 이용한 원격 리눅스의 GUI 접속 - 우분투 20.0412516정성태1/29/202119518Windows: 188. Windows - TCP default template 설정 방법12515정성태1/28/202121829웹: 41. Microsoft Edge - localhost에 대해 http 접근 시 무조건 https로 바뀌는 문제 [3]12514정성태1/28/202122187.NET Framework: 1021. C# - 일렉트론 닷넷(Electron.NET) 소개 [1]112513정성태1/28/202117712오류 유형: 698. electronize - User Profile 디렉터리에 공백 문자가 있는 경우 빌드가 실패하는 문제 [1]12512정성태1/28/202119694오류 유형: 697. The program can't start because VCRUNTIME140.dll is missing from your computer. Try reinstalling the program to fix this problem.12511정성태1/27/202119191Windows: 187. Windows - 도스 시절의 8.3 경로를 알아내는 방법12510정성태1/27/202120307.NET Framework: 1020. .NET Core Kestrel 호스팅 - Razor 지원 추가 [1]112509정성태1/27/202118684개발 환경 구성: 524. Jupyter Notebook에서 C#(F#, PowerShell) 언어 사용을 위한 환경 구성 [3]12508정성태1/27/202119331개발 환경 구성: 523. Jupyter Notebook - Slide 플레이 버튼이 없는 경우12507정성태1/26/202119877VS.NET IDE: 157. Visual Studio - Syntax Visualizer 메뉴가 없는 경우12506정성태1/25/202122524.NET Framework: 1019. Microsoft.Tye 기본 사용법 소개 [1]12505정성태1/23/202118138.NET Framework: 1018. .NET Core Kestrel 호스팅 - Web API 추가 [1]112504정성태1/23/202121329.NET Framework: 1017. .NET 5에서의 네트워크 라이브러리 개선 (2) - HTTP/2, HTTP/3 관련 [1]12503정성태1/21/202120032오류 유형: 696. C# - HttpClient: Requesting HTTP version 2.0 with version policy RequestVersionExact while HTTP/2 is not enabled.12502정성태1/21/202120571.NET Framework: 1016. .NET Core HttpClient의 HTTP/2 지원112501정성태1/21/202119195.NET Framework: 1015. .NET 5부터 HTTP/1.1, 2.0 선택을 위한 HttpVersionPolicy 동작 방식112500정성태1/21/202120603.NET Framework: 1014. ASP.NET Core(Kestrel)의 HTTP/2 지원 여부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