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Orcas - ComUtil로 인한 증분(/INCREMENTAL) 링크 옵션 사용 제한


예제 소스를 먼저 풀어보는 것이 좋겠지요.
다음과 같은 Win32 Console Application 소스를 간단하게 만들어 본 후 빌드를 해보십시오.

#include "stdafx.h"
#include "MyTest.h"
#include "comutil.h"

#pragma comment( lib, "comsuppwd.lib" )
//#pragma comment( lib, "comsuppw.lib" )
int _tmain(int argc, _TCHAR* argv[])
{
  char *pStr = "TEST"; 
  BSTR bstrText = _com_util::ConvertStringToBSTR(pStr);

  return 0;
}

빌드로 인한 "Output" 창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Build started: Project: UseComUtil, Configuration: Debug Win32 ------
1>Compiling...
1>stdafx.cpp
1>Compiling...
1>UseComUtil.cpp
1>Compiling manifest to resources...
1>Microsoft (R) Windows (R) Resource Compiler Version 6.0.5724.0
1>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1>Linking...
1>comsuppwd.lib(comutil.obj) : MSIL .netmodule or module compiled with /GL found; restarting link with /LTCG; add /LTCG to the link command line to improve linker performance
1>LINK : warning LNK4075: ignoring '/INCREMENTAL' due to '/LTCG' specification

1>Generating code
1>Finished generating code
1>Embedding manifest...
1>Microsoft (R) Windows (R) Resource Compiler Version 6.0.5724.0
1>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1>comsuppwd.lib(comutil.obj) : MSIL .netmodule or module compiled with /GL found; restarting link with /LTCG; add /LTCG to the link command line to improve linker performance
1>LINK : warning LNK4075: ignoring '/INCREMENTAL' due to '/LTCG' specification

1>Generating code
1>Finished generating code
1>Build log was saved at "file://d:\temp\uacTest\UseComUtil\UseComUtil\Debug\BuildLog.htm"
1>UseComUtil - 0 error(s), 2 warning(s)
========== Build: 1 succeeded, 0 failed, 0 up-to-date, 0 skipped ==========

보시는 것처럼, comsuppwd.lib 라이브러리가 "/GL (Whole Program Optimization)" 옵션으로 빌드되어 있어서, 그 영향으로 인해 전체적인 링크가 다시 "/LTCG (Link-time Code Generation)"과 함께 수행되어버렸습니다.

증분링크(/INCREMENTAL - Link Incrementally)가 무시되어 "/LTCG"로 빌드되었으니, 링크 과정의 시간 손실은 물론이고 디버깅 시에 코드를 수정하는 것이 가능했던 "EnC (Edit and Continue)" 기능마저 사용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실제로, 위와 동일한 코드를 VS.NET 2005에서 하게 되면 증분 링크 옵션이 정상적으로 동작합니다.)

제 생각에는, Microsoft가 comsuppwd.lib에 대해서 빌드를 잘못한 것이 아닌가 예상해 봅니다. 디버그 버전인 "comsuppwd.lib"는 "/GL" 옵션을 제거했어야 하고, 릴리스 버전인 "/comsuppw.lib"에만 "/GL" 옵션을 주었어야 하죠. 아니면, "comsuppw(d).lib" 쪽에 C++/CLI 코드가 함께 있는 것이 아닌가 싶기도 하고.

다음 베타 버전,,, 적어도 RTM 버전에서는 이 문제가 수정되겠지요. ^^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16/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0정성태11/14/200516453.NET Framework: 28. VS.NET 2005 / SQL Server 2005 베타 버전 재설치 또는 업그레이드 [1]
111정성태3/7/200515328    답변글 VS.NET IDE: 28.1. [추가] SQL 2005 / VS.NET 2005 2005-02 CTP 버전이 올라왔네요. [1]
112정성태11/14/200516563        답변글 VS.NET IDE: 28.2. [추가] VS.NET 2005 2005-02 CTP 버전에서 달라진 점 ( VC++ )
127정성태3/29/200514617        답변글 VS.NET IDE: 28.4. [추가] SQL 2005 2005-02 CTP 버전에서 달라진 점
123정성태3/25/200518540    답변글 .NET Framework: 28.3. Uninstalling software without using Add Remove Programs...
108정성태3/4/200517993.NET Framework: 27. 시스템 이벤트 로그에 쌓이는 {00020906-0000-0000-C000-000000000046} 보안에러
107정성태3/1/200518189COM 개체 관련: 15. COM: Control 유형인 경우, IObjectWithSite 를 구현해도 SetSite/GetSite 가 호출이 안됨
106정성태2/28/200517502COM 개체 관련: 14. 탐색기 "처럼" 파일 열기
105정성태2/28/200516573.NET Framework: 26. VS.NET 2005 : 설치 프로젝트 - .NET Framework 설치 강제화
139정성태11/14/200514764    답변글 .NET Framework: 26.1. ^^ 역시, 배려가 되어 있네요. 제가 못 찾은 것이었습니다.
104정성태2/27/200517443VS.NET IDE: 23. MSI 설치 중에 GetLocalTime / GetSystemTime API 사용
132정성태3/30/200517063    답변글 VS.NET IDE: 23.1. [추가]: MSI 설치 동작 원리
102정성태2/16/200519718.NET Framework: 25. Verify that you are a member of the 'Debugger Users' group on the server. [2]
101정성태2/15/200517448.NET Framework: 24. WMI Win32_NTLogEvent 관리 이벤트를 Windows 2000 에서는 "Access Denied" 가 발생하는 문제파일 다운로드1
100정성태2/15/200523547VS.NET IDE: 22. 방화벽 환경에서의 WMI 연결을 위한 포트 설정 [2]
99정성태2/15/200521541COM 개체 관련: 13. 비동기 Drag & Drop 구현 : IAsyncOperation
103정성태2/23/200517762    답변글 COM 개체 관련: 13.1. [관련 자료] 그외 Drag & Drop 링크파일 다운로드1
97정성태2/14/200520723VS.NET IDE: 21. 설치된 Platform SDK 버전확인 방법
96정성태2/14/200522746기타: 9. http://www.google.com/webhp?complete=1&hl=en 검색에 관해서.
95정성태2/14/200532079VS.NET IDE: 20. Win32 특권 정리 [1]
94정성태1/29/200523374VC++: 13. VS.NET 2005 VC++ 컴파일러 에러 : cannot instantiate abstract class
93정성태1/29/200519259VS.NET IDE: 19. 혹시 VS.NET 2005 Beta2(2004/12 CTP Team System 버전)이 다운이 자주 되나요? [2]
92정성태1/29/200518085.NET Framework: 23. Unmanaged 환경에서 Managed DLL에 정의된 메서드 호출 시 오류 확인하는 방법
91정성태11/14/200518703VC++: 12. VS.NET 2005 VC++ Debug: Expression: ( (state != ST_INVALID ) )
90정성태1/27/200519505.NET Framework: 22. Debug: The underlying connection was closed: Unable to connect to the remote server.
89정성태1/26/200523996VC++: 11. Delay Loaded DLL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