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글 보이기/감추기 VPC에서의 Vista 네트워킹 문제 오늘 우연히... 영문 버전의 Vista가 설치된 테스트용 VPC를 구동시킬 일이 있었습니다. 아니... 그런데 이게 웬일입니까? ^^; 웹 서핑이 안되는 것입니다. 네트워크 설정에 가보았더니 아래 화면과 같이 "Unidentified network"이라는 부가 메시지가 씌여져 있었습니다. NAP(Network Access Protection)으로 인한 것 같다는 짐작은 해보지만, 이 문제를 두고 곰곰이 생각할 겨를이 없어서 그냥 해결책(!)만 찾아내고 말았습니다. 해당 Vista의 네트워크 설정이 "DHCP 사용"으로 설정되어 있던 것을 "고정 IP" 할당으로 해주니 그와 같은 문제가 사라졌습니다. 혹시... 이 문제에 대해 깊은 식견을 가지신 분이 계시다면 풀이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AD BLOCK 해제 요청 이 글에는 광고가 많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adblock을 해제하셔도 글을 읽는데 그다지 부담이 없으니 해제를 부탁드립니다. http://support.microsoft.com/kb/928233/ko 위에 사이트 가면 친절히 설명히 되어 있습니다. [다음 글] 오류 유형: 24. VPC에서의 Vista 네트워킹 문제[이전 글] 개발 환경 구성: 21. 서버 측 SoapExtension을 클라이언트에 알리고 싶다 [최초 등록일: 6/24/2007] [최종 수정일: 6/25/2007]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375정성태10/25/200624398 .NET Framework: 75.1. 개인 발행 카드에 대한 Microsoft 예제 실습(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376정성태10/27/200624059 .NET Framework: 75.2. "Windows CardSpace"와 "인증서 서비스"의 만남(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377정성태10/26/200623691 .NET Framework: 75.3. Managed Card 발행에 대한 Microsoft 예제 실습 (1) - CardWriter (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385정성태11/6/200626313 .NET Framework: 75.4. Managed Card 발행에 대한 Microsoft 예제 실습 (2) - STS 구현 (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7]387정성태11/2/200627112 .NET Framework: 75.5. Windows CardSpace와 SYSNET 사이트의 만남 (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1]397정성태11/11/200624638 .NET Framework: 75.6. CardWriter.csproj와 함께 알아보는 인증서 식별 방법(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398정성태11/12/200623127 .NET Framework: 75.7. 카드에 암호 거는 방법(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399정성태11/12/200625416 .NET Framework: 75.8. 인증서/스마트 카드에 기반한 Managed Card - STS 구현(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5]369정성태10/22/200620932오류 유형: 15. 자동 업데이트 실패367정성태10/22/200636682Windows: 3. IIS 7.0 다중 바인딩 설정하는 방법 [1]365정성태10/21/200620443Windows: 2. 서버(build 5600)에 IIS 7.0 서비스와 .NET 3.0 설치 방법359정성태10/17/200616520오류 유형: 14. VS.NET 빌드 오류 - FxCopCmd.exe returned error code 65.358정성태10/17/200621685오류 유형: 13. WSE 3.0 서비스 관련 WSE101 오류 / Destination Unreachable357정성태12/1/200623948.NET Framework: 74. WCF 이야기 [4]378정성태10/28/200628782 .NET Framework: 74.1. WCF와 WSE 3.0의 활용 [4]1379정성태11/3/200627714 .NET Framework: 74.2. WCF로 구현하는 .NET Remoting [4]1380정성태10/28/200626620 .NET Framework: 74.3. 웹 서비스와 닷넷 리모팅으로써의 WCF 구현1381정성태10/28/200629000 .NET Framework: 74.4. WCF 서비스 참조 추가 메뉴 [2]382정성태10/28/200635080 .NET Framework: 74.5. WCF 서비스를 IIS에서 호스팅하는 방법1383정성태10/28/200629895 .NET Framework: 74.6. IIS 6.0: 다중 Endpoint 제공1384정성태10/28/200626746 .NET Framework: 74.7. IIS 7.0: 다중 Endpoint 제공389정성태11/11/200629616 .NET Framework: 74.8. WCF에 SSL 적용 (1) - Httpcfg.exe 도구를 이용한 SSL 설정390정성태11/6/200626728 .NET Framework: 74.9. WCF에 SSL 적용 (2) - 서비스 제작1356정성태10/7/200622292COM 개체 관련: 19. COM의 Apartment를 이해해 보자. [8]386light10/30/200617257 COM 개체 관련: 19.1. [답변]: COM 객체를 글로벌마샬으로 만든후, 사용한다.355정성태10/9/200624986개발 환경 구성: 19. Internet_Zone 하위에 새로운 코드 그룹을 추가하는 예제 [4]2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