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40. error PRJ0050: Failed to register output.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3355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Windows Vista에서의 레지스트리 쓰기 오류


VC++ COM 프로젝트에서, 빌드 후에 마지막 등록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오류 메시지가 발생하였습니다.

1>Finished generating code
1>comsuppwd.lib(comutil.obj) : warning LNK4049: locally defined symbol _free imported
1>comsuppwd.lib(comutil.obj) : warning LNK4049: locally defined symbol _malloc imported
1>Registering output...
1>Project : error PRJ0050: Failed to register output. 
      Please try to register the component from a command prompt with elevated permissions.
1>Build log was saved at "file://d:\...\debug\BuildLog.htm"
1>TestProject - 1 error(s), 2 warning(s)

수작업으로 regsvr32.exe를 통해서 등록을 시도하면 다음과 같은 오류 창이 나왔습니다.

cpp_activex_reg_problem_1.png

"
The module "......" was loaded but the
call to DllRegisterServer failed with error code 
0x80070005.

For more information about this problem, search
online using the error code as a search term.
"

등록 과정의 오류를 피하기 위해 아예 Orcas를 "Run as administrator"로 실행시켰는데도 여전히 위와 같은 오류가 나와서 당혹스러웠습니다.

뭐... ^^; 별수 없지요.

"Divide & Conquer"!

그렇게 하나씩 원인 추적을 하다 보니 결국 문제가 된 것이 RGS 파일에 있던 다음과 같은 내용이었습니다.

HKEY_CLASSES_ROOT\CLSID

NoRemove '{..........-.....-.....-.....-.............}' = s ''
{
  ForceRemove 'MyData' = s ''
  {
  }   
}

위와 같이 기존 등록된 COM 개체에 제가 사용할 부가적인 데이터를 기록해 보려 했는데 이를 변경하는 권한이 부족했던 것입니다.

순간, 아차 싶더군요.

"Program Files" 폴더에 있는 파일들을 변경하지 못하는 것에 대한 제약이, "레지스트리"의 일부 키에도 그대로 적용되는 것을 미처 고려하지 못했던 것이지요. 어쨌든, "TrustedInstaller"에게만 "Full Control"이 있었고, 그 외의 사용자(심지어 관리자까지도.)들은 읽기 권한만 있었습니다.

... 비스타 이전에는 오직 "관리자" 계정이기만 하면 무적이었는데. ^^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10/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06정성태2/28/200519459COM 개체 관련: 14. 탐색기 "처럼" 파일 열기
105정성태2/28/200518413.NET Framework: 26. VS.NET 2005 : 설치 프로젝트 - .NET Framework 설치 강제화
139정성태11/14/200516695    답변글 .NET Framework: 26.1. ^^ 역시, 배려가 되어 있네요. 제가 못 찾은 것이었습니다.
104정성태2/27/200519332VS.NET IDE: 23. MSI 설치 중에 GetLocalTime / GetSystemTime API 사용
132정성태3/30/200518995    답변글 VS.NET IDE: 23.1. [추가]: MSI 설치 동작 원리
102정성태2/16/200521776.NET Framework: 25. Verify that you are a member of the 'Debugger Users' group on the server. [2]
101정성태2/15/200519564.NET Framework: 24. WMI Win32_NTLogEvent 관리 이벤트를 Windows 2000 에서는 "Access Denied" 가 발생하는 문제파일 다운로드1
100정성태2/15/200525844VS.NET IDE: 22. 방화벽 환경에서의 WMI 연결을 위한 포트 설정 [2]
99정성태2/15/200523925COM 개체 관련: 13. 비동기 Drag & Drop 구현 : IAsyncOperation
103정성태2/23/200519944    답변글 COM 개체 관련: 13.1. [관련 자료] 그외 Drag & Drop 링크파일 다운로드1
97정성태2/14/200522654VS.NET IDE: 21. 설치된 Platform SDK 버전확인 방법
96정성태2/14/200524656기타: 9. http://www.google.com/webhp?complete=1&hl=en 검색에 관해서.
95정성태2/14/200534086VS.NET IDE: 20. Win32 특권 정리 [1]
94정성태1/29/200525343VC++: 13. VS.NET 2005 VC++ 컴파일러 에러 : cannot instantiate abstract class
93정성태1/29/200521188VS.NET IDE: 19. 혹시 VS.NET 2005 Beta2(2004/12 CTP Team System 버전)이 다운이 자주 되나요? [2]
92정성태1/29/200519825.NET Framework: 23. Unmanaged 환경에서 Managed DLL에 정의된 메서드 호출 시 오류 확인하는 방법
91정성태11/14/200520468VC++: 12. VS.NET 2005 VC++ Debug: Expression: ( (state != ST_INVALID ) )
90정성태1/27/200521459.NET Framework: 22. Debug: The underlying connection was closed: Unable to connect to the remote server.
89정성태1/26/200525983VC++: 11. Delay Loaded DLL
87정성태1/23/200519544VS.NET IDE: 18. VS.NET 2005 Beta 1 - VC++ 프로젝트에서 Connection Point 구현시 버그
88정성태1/23/200519028    답변글 VS.NET IDE: 18.1. VS.NET 2003 : VC++ 프로젝트에서 Connection Point 추가시에도 버그
86정성태1/23/200524953.NET Framework: 21. Code Snippet - Enum과 관련된 다양한 형변환 [1]
85정성태1/23/200523153스크립트: 4. Windows 2003에서 BHO(Browser Helper Objects) 동작 안하는 현상 [1]
83정성태1/18/200528288.NET Framework: 20. System.AccessViolationException 예외가 발생한 한 예.
82정성태1/3/200521802VS.NET IDE: 17. Windows 운영 - 특정 사용자 또는 그룹에 대해서 파일 공유 접근 금지
79정성태1/20/200529516기타: 8. DELL Latitude D800 노트북 컴퓨터의 PC Beep 소음(!) 문제.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