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43. System.ComponentModel.LicenseException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8745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System.ComponentModel.LicenseException


미리 말씀드리자면, 이번 오류의 직접적인 해답은 찾지를 못했습니다. 제 컴퓨터에서만 발생하는 것을 보면, x64 버전의 Vista 환경 때문인 것 같기도 하고, 또는 Orcas 베타 버전을 함께 설치해서 발생하는 것 같기도 합니다.

아무튼, ChartFX 컨트롤을 사용하는 시점부터, 빌드 시에 licenses.licx 파일 때문에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을 했습니다.

------ Rebuild All started: Project: RealTimeCharts, Configuration: Release Any CPU ------
Properties\licenses.licx(10): 
error LC0004: Exception occurred creating type 
'ChartFX.WinForms.Chart, ChartFX.WinForms, Version=7.0.2664.18481,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a1878e2052c08dce' 
System.ComponentModel.LicenseException: 
Couldn't get Design Time license for 'ChartFX.WinForms.Chart'
Done building project "RealTimeCharts.csproj" -- FAILED.

좀 더 자세한 빌드 오류 정보를 얻기 위해, 아래와 같이 MSBuild 옵션을 조정했습니다.

lc_compile_error_1.png

그런 후, 빌드를 했더니 다음과 같은 명령행 정보를 알 수 있었습니다.

  Task "LC"
    Command: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 8\SDK\v2.0\bin\LC.exe 
    /target:RealTimeCharts.exe 
    /complist:Properties\licenses.licx 
    /outdir:obj\Debug\ 
    /i:"C:\Program Files (x86)\Chart FX for Visual Studio 2005\bin\ChartFX.WinForms.Adornments.dll" 
    /i:"C:\Program Files (x86)\Chart FX for Visual Studio 2005\bin\ChartFX.WinForms.Base.dll" 
    /i:"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 8\Common7\IDE\PublicAssemblies\ChartFX.WinForms.dll" 
    /i:C:\Windows\Microsoft.NET\Framework\v2.0.50727\System.Data.dll 
    /i:C:\Windows\Microsoft.NET\Framework\v2.0.50727\System.Deployment.dll 
    /i:C:\Windows\Microsoft.NET\Framework\v2.0.50727\System.Design.dll 
    /i:C:\Windows\Microsoft.NET\Framework\v2.0.50727\System.dll 
    /i:C:\Windows\Microsoft.NET\Framework\v2.0.50727\System.Drawing.dll 
    /i:C:\Windows\Microsoft.NET\Framework\v2.0.50727\System.Management.dll 
    /i:C:\Windows\Microsoft.NET\Framework\v2.0.50727\System.Windows.Forms.dll 
    /i:C:\Windows\Microsoft.NET\Framework\v2.0.50727\System.Xml.dll 
    The "LC" task is using "LC.exe" from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 8\SDK\v2.0\bin\LC.exe".
      
    Microsoft (R) .NET License Compiler 
    [Microsoft .Net Framework, Version 2.0.50727.1318]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Processing complist 'Properties\licenses.licx'...
    Properties\licenses.licx(1): 
    error LC0004: Exception occurred creating type 'ChartFX.WinForms.Chart, ChartFX.WinForms, 
    Version=7.0.2664.18481,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a1878e2052c08dce' 
    System.ComponentModel.LicenseException: 
      Couldn't get Design Time license for 'ChartFX.WinForms.Chart'
       at System.ComponentModel.LicenseManager.CreateWithContext(Type type, LicenseContext creationContext, Object[] args)
       at System.Tools.LicenseCompiler.Main(String[] args)
    The command exited with code -1.
  Done executing task "LC" -- FAILED.
Done building target "CompileLicxFiles" in project "RealTimeCharts.csproj" -- FAILED.

System.ComponentModel.LicenseException 예외를 설정해서 오류 내용을 살펴보면, ChartFX 생성자에서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허허... 이것 참. 도대체 생성자에서 발생하면 어떡하라는 것인지.

Infragistics와는 달리, ChartFX는 소스 코드 공개는 고사하고 obfuscator 도구를 사용해서 IL 코드를 분석하기 어렵게 만들어 놓았습니다. 덕분에 시간내서 굳이 분석하고 싶은 마음마져 ^^; "고사"되어 버리더군요.

그럼, 이걸 어쩔까 생각하다가,,, 그냥 라이선스 파일에 대한 빌드 과정을 없애기로 했습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MSBuild 파일을 열어서,

VS.NET 2005 :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v2.0.50727\Microsoft.Common.targets
Orcas Beta1 :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v3.5.20404\Microsoft.Common.targets
VS.NET 2008 :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v3.5\Microsoft.Common.targets

아래의 LC Task 부분을 주석 처리해 버렸습니다.

<Target
    Name="CompileLicxFiles"
    Condition="'@(_LicxFile)'!=''"
    DependsOnTargets="$(CompileLicxFilesDependsOn)"
    Inputs="$(MSBuildAllProjects);@(_LicxFile);@(ReferencePath);@(ReferenceDependencyPaths)"
    Outputs="$(IntermediateOutputPath)$(TargetFileName).licenses">

    <!--LC
        Sources="@(_LicxFile)"
        LicenseTarget="$(TargetFileName)"
        OutputDirectory="$(IntermediateOutputPath)"
        OutputLicense="$(IntermediateOutputPath)$(TargetFileName).licenses"
        ReferencedAssemblies="@(ReferencePath);@(ReferenceDependencyPaths)"
        ToolPath="$(LCToolPath)">

        <Output TaskParameter="OutputLicense" ItemName="CompiledLicenseFile"/>
        <Output TaskParameter="OutputLicense" ItemName="FileWrites"/>

    </LC-->
</Target>

어차피, 빌드 서버의 바이너리가 배포될 것이었기 때문에 제 노트북 PC의 빌드는 아무래도 좋았기 때문에.

그나저나... 이런 문제는 제발 발생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공수 산정하기도 어려운...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0/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08-03-21 05시23분
64비트 OS에서의 ChartFX 라이선스 문제
; http://www.sysnet.pe.kr/2/0/537
kevin25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913정성태1/11/202216574.NET Framework: 1133. C# - byte * (바이트 포인터)를 FileStream으로 쓰는 방법 [1]
12912정성태1/11/202216539개발 환경 구성: 623. ffmpeg.exe를 사용해 비디오 파일의 이미지를 PGM(Portable Gray Map) 파일 포맷으로 출력하는 방법 [1]
12911정성태1/11/202213038VS.NET IDE: 171. 비주얼 스튜디오 - 더 이상 만들 수 없는 "ASP.NET Core 3.1 Web Application (.NET Framework)" 프로젝트
12910정성태1/10/202213747제니퍼 .NET: 30. 제니퍼 닷넷 적용 사례 (8) - CPU high와 DB 쿼리 성능에 문제가 함께 있는 사이트
12909정성태1/10/202215098오류 유형: 782. Visual Studio 2022 설치 시 "Couldn't install Microsoft.VisualCpp.Redist.14.Latest"
12908정성태1/10/202212409.NET Framework: 1132. C# - ref/out 매개변수의 IL 코드 처리
12907정성태1/9/202213984오류 유형: 781. (youtube-dl.exe) 실행 시 "This app can't run on your PC" / "Access is denied." 오류 발생
12906정성태1/9/202215268.NET Framework: 1131. C# - 네임스페이스까지 동일한 타입을 2개의 DLL에서 제공하는 경우 충돌을 우회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905정성태1/8/202214483오류 유형: 780. Could not load file or assembly 'Microsoft.VisualStudio.TextTemplating.VSHost.15.0, Version=16.0.0.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b03f5f7f11d50a3a' or one of its dependencies.
12904정성태1/8/202216469개발 환경 구성: 623. Visual Studio 2022 빌드 환경을 위한 github Actions 설정 [1]
12903정성태1/7/202215430.NET Framework: 1130. C# - ELEMENT_TYPE_INTERNAL 유형의 사용 예
12902정성태1/7/202215153오류 유형: 779. SQL 서버 로그인 에러 - provider: Shared Memory Provider, error: 0 - No process is on the other end of the pipe.
12901정성태1/5/202215552오류 유형: 778. C# - .NET 5+에서 warning CA1416: This call site is reachable on all platforms. '...' is only supported on: 'windows' 경고 발생
12900정성태1/5/202217446개발 환경 구성: 622. vcpkg로 ffmpeg를 빌드하는 경우 생성될 구성 요소 제어하는 방법
12899정성태1/3/202216919개발 환경 구성: 621. windbg에서 python 스크립트 실행하는 방법 - pykd (2)
12898정성태1/2/202217660.NET Framework: 1129.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인코딩 예제(encode_video.c) [1]파일 다운로드1
12897정성태1/2/202215561.NET Framework: 1128. C# - 화면 캡처한 이미지를 ffmpeg(FFmpeg.AutoGen)로 동영상 처리 [4]파일 다운로드1
12896정성태1/1/202220788.NET Framework: 1127. C# - FFmpeg.AutoGen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기본 프로젝트 구성파일 다운로드1
12895정성태12/31/202117663.NET Framework: 1126. C# - snagit처럼 화면 캡처를 연속으로 수행해 동영상 제작 [1]파일 다운로드1
12894정성태12/30/202115695.NET Framework: 1125. C# - DefaultObjectPool<T>의 IDisposable 개체에 대한 풀링 문제 [3]파일 다운로드1
12893정성태12/27/202117447.NET Framework: 1124. C# - .NET Platform Extension의 ObjectPool<T> 사용법 소개파일 다운로드1
12892정성태12/26/202114271기타: 83. unsigned 형의 이전 값이 최댓값을 넘어 0을 지난 경우, 값의 차이를 계산하는 방법
12891정성태12/23/202114951스크립트: 38. 파이썬 - uwsgi의 --master 옵션
12890정성태12/23/202115210VC++: 152. Golang - (문자가 아닌) 바이트 위치를 반환하는 strings.IndexRune 함수
12889정성태12/22/202118008.NET Framework: 1123. C# - (SharpDX + DXGI) 화면 캡처한 이미지를 빠르게 JPG로 변환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888정성태12/21/202115160.NET Framework: 1122. C# - ImageCodecInfo 사용 시 System.Drawing.Image와 System.Drawing.Bitmap에 따른 Save 성능 차이파일 다운로드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