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VC++: 8. BSTR 메모리 할당 및 해제(MSDN Library 발췌)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8467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Visual C++ 개념: 기능 추가  

BSTR의 메모리 할당 및 해제

BSTR을 만들고 COM 개체 간에 전달할 때는 BSTR에서 사용하는 메모리 처리에 주의하여 메모리 누수를 방지해야 합니다. BSTR이 인터페이스 내부에 있을 경우 사용한 메모리는 반드시 해제해야 합니다. 그러나 BSTR이 인터페이스 외부로 전달되는 경우에는 받는 개체에서 메모리를 관리합니다.

BSTR에 대해 메모리를 할당하고 할당된 메모리를 해제하는 일반적인 규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 BSTR 인수가 필요한 함수를 호출할 때는 호출하기 전에 BSTR에 대한 메모리를 할당한 후 나중에 해제합니다. 다음 코드에서는 이러한 예를 보여 줍니다.
    HRESULT IWebBrowser2::put_StatusText( BSTR bstr );
    
    // shows using the Win32 function 
    // to allocate memory for the string: 
    BSTR bstrStatus = ::SysAllocString( L"Some text" );
    if (bstrStatus == NULL)
       return E_OUTOFMEMORY;
    
    pBrowser->put_StatusText( bstrStatus );
    // Free the string:
    ::SysFreeString( bstrStatus );
    //...
  • BSTR을 반환하는 함수를 호출할 때는 문자열을 직접 해제해야 합니다. 다음 코드에서는 이러한 예를 보여 줍니다.
    HRESULT IWebBrowser2::get_StatusText( BSTR FAR* pbstr ); 
    //...
    BSTR bstrStatus;
    pBrowser->get_StatusText( &bstrStatus );
    
    // shows using the Win32 function 
    // to freee the memory for the string: 
    ::SysFreeString( bstrStatus );
  • BSTR을 반환하는 함수를 구현할 때는 문자열을 할당만 하고 해제하지는 않습니다. 해당 함수를 받는 개체에서 메모리를 해제합니다. 다음 코드에서는 이러한 예를 보여 줍니다.
    // Example shows using MFC's 
    // CString::AllocSysString
    
    //...
    HRESULT CMyClass::get_StatusText( BSTR * pbstr )
    {
    
       try
       {
          //m_str is a CString in your class
          *pbstr = m_str.AllocSysString( );
          }
       catch (...)
       {
          return E_OUTOFMEMORY;
       }
    
    // The client is now responsible for freeing pbstr.
    return( S_OK );
    }
    //...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4/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5-03-26 08시30분
What are the thread safety requirements of HSTRING and BSTR?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250312-00/?p=110960

BSTR의 경우 Write에 해당하는 Sys­Re­Alloc­String이 있으므로 Sys­Get­String­Len 등의 Read 관련 함수를 스레드에 걸쳐 사용하는 것은 주의해야 함.

반면 HSTRING은 immutable이라 Write 동작이 없으므로 thread-safe.
정성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940정성태6/1/20254601C/C++: 188. C++의 32비트 + Release 어셈블리 코드를 .NET으로 포팅할 때 주의할 점파일 다운로드1
13939정성태5/29/20255380오류 유형: 958. NVIDIA Triton Inference Server - version `GLIBCXX_3.4.32' not found (required by /opt/tritonserver/backends/python/triton_python_backend_stub)
13938정성태5/29/20253748개발 환경 구성: 747. 파이썬 - WSL/docker에 구성한 Triton 예제 개발 환경
13937정성태5/24/20254069개발 환경 구성: 746. Windows + WSL2 환경에서 (tensorflow 등의) NVIDIA GPU 인식
13936정성태5/23/20253748개발 환경 구성: 745. Linux / WSL 환경에 Miniconda 설치하기
13935정성태5/20/20253341오류 유형: 957. 파이썬 - pip 사용 시 "ImportError: cannot import name 'html5lib' from 'pip._vendor'" 오류
13934정성태5/20/20254590스크립트: 77. 파이썬 - 'urllib.request' 모듈의 명시적/암시적 로딩 차이
13933정성태5/19/20253426오류 유형: 956. Visual Studio 2022가 17.12 버전부터 업데이트 되지 않는다면?
13932정성태5/18/20254504스크립트: 76. 파이썬 - Version 문자열 다루기(semver 패키지)
13931정성태5/17/20254893스크립트: 75. 파이썬 - Cython 기본 예제 및 컴파일
13930정성태5/17/20254022개발 환경 구성: 744. 파이썬 - Windows embeddable package 환경에서 외부 패키지 사용하는 방법(ex: UFO² 환경 구성)
13929정성태5/16/20254190오류 유형: 955. 파이썬 - "Windows embeddable package" REPL 환경에서 "NameError: name 'exit' is not defined"
13928정성태5/15/20254125오류 유형: 954. UFO² - "'Invalid URL (POST /v1/chat/completions/chat/completions)'"
13927정성태5/15/20254402오류 유형: 953. OpenAI - The API request of HOST_AGENT failed: OpenAI API request exceeded rate limit: Error code: 429
13926정성태5/14/20255320개발 환경 구성: 743. LLM과 윈도우의 만남 - Desktop AgentOS UFO² 기본 환경 구성
13925정성태5/12/20255238닷넷: 2333. C# - (Console 유형의 프로젝트에서) Clipboard 연동파일 다운로드1
13924정성태5/8/20254612닷넷: 2332. C# - (JetBrains Omea Reader 대상으로) 런타임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2]파일 다운로드1
13923정성태5/5/20253452스크립트: 74. 파이썬 - C# - Python.NET의 RunSimpleScript, Exec, Eval 차이점파일 다운로드1
13922정성태5/3/20254842스크립트: 73. 파이썬 - Windows embeddable package 버전에서 tkinter 환경 구성
13921정성태5/3/20255146오류 유형: 952. 듀얼 채널 메모리 정렬을 지키지 않은 컴퓨터의 Windows 비정상 종료 현상(Blue Screen) [2]
13920정성태5/3/20255637오류 유형: 951. Typed DataSet 생성 중 "Failed to open a connection to the database" 오류
13919정성태5/2/20254548VS.NET IDE: 201. C# - Typed DataSet(XSD)를 위한 연결 문자열 암호화 [1]파일 다운로드1
13918정성태5/2/20255770VS.NET IDE: 200. C# - app.config 파일의 출력을 Configuration(Debug/Release)에 따라 제어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917정성태4/30/20254154VS.NET IDE: 199. Directory.Build.props에 정의한 속성에 대해 Condition 제약으로 값을 변경하는 방법
13916정성태4/23/20253795디버깅 기술: 221. WinDbg 분석 사례 - ASP.NET HttpCookieCollection을 다중 스레드에서 사용할 경우 무한 루프 현상 - 두 번째 이야기
13915정성태4/13/20255768닷넷: 2331. C# -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NET 9)파일 다운로드1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