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46. VS.NET 2008 - ASP.NET 디버깅 : Strong name validation failed.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5303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VS.NET 2008 - ASP.NET 디버깅 : Strong name validation failed.


VS.NET 2008에서 ASP.NET 응용 프로그램을 생성한 다음, "F5 디버깅"을 시작했는데 다음과 같은 오류 화면이 나왔습니다.

aspnet_debug_error_strong_name_validation_1.png

오호... 다행히도 웹을 검색해 보니, 아주 많은 분들이 ^^ 시행착오를 설명해 주시네요. 그중에서 저는 다음의 토픽을 보고 해결을 했습니다.

Strong Name Validation failed when Debugging ASP.NET on IIS7
; http://www.west-wind.com/weblog/posts/139869.aspx

해결 방법은, 위의 토픽에서 실어 놓은 다음의 그림이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림: Windows 인증 모드를 활성화]

aspnet_debug_error_strong_name_validation_2.png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0/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587정성태3/27/20242043오류 유형: 900. Windows Update 오류 - 8024402C, 80070643
13586정성태3/27/20242830Windows: 263. Windows - 복구 파티션(Recovery Partition) 용량을 늘리는 방법
13585정성태3/26/20242216Windows: 262. PerformanceCounter의 InstanceName에 pid를 추가한 "Process V2"
13584정성태3/26/20242169개발 환경 구성: 708. Unity3D - C# Windows Forms / WPF Application에 통합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583정성태3/25/20242130Windows: 261. CPU Utilization이 100% 넘는 경우를 성능 카운터로 확인하는 방법
13582정성태3/19/20242299Windows: 260. CPU 사용률을 나타내는 2가지 수치 - 사용량(Usage)과 활용률(Utilization)파일 다운로드1
13581정성태3/18/20242354개발 환경 구성: 707. 빌드한 Unity3D 프로그램을 C++ Windows Application에 통합하는 방법
13580정성태3/15/20241858닷넷: 2231. C# - ReceiveTimeout, SendTimeout이 적용되지 않는 Socket await 비동기 호출파일 다운로드1
13579정성태3/13/20242084오류 유형: 899. HTTP Error 500.32 - ANCM Failed to Load dll
13578정성태3/11/20242349닷넷: 2230. C# - 덮어쓰기 가능한 환형 큐 (Circular queue)파일 다운로드1
13577정성태3/9/20242624닷넷: 2229. C# - 닷넷을 위한 난독화 도구 소개 (예: ConfuserEx)
13576정성태3/8/20242044닷넷: 2228. .NET Profiler - IMetaDataEmit2::DefineMethodSpec 사용법
13575정성태3/7/20242259닷넷: 2227. 최신 C# 문법을 .NET Framework 프로젝트에 쓸 수 있을까요?
13574정성태3/6/20242126닷넷: 2226. C# - "Docker Desktop for Windows" Container 환경에서의 IPv6 DualMode 소켓
13573정성태3/5/20242042닷넷: 2225. Windbg - dumasync로 분석하는 async/await 호출
13572정성태3/4/20242294닷넷: 2224. C# - WPF의 Dispatcher Queue로 알아보는 await 호출의 hang 현상파일 다운로드1
13571정성태3/1/20242306닷넷: 2223. C# - await 호출과 WPF의 Dispatcher Queue 동작 확인파일 다운로드1
13570정성태2/29/20242237닷넷: 2222. C# - WPF의 Dispatcher Queue 동작 확인파일 다운로드1
13569정성태2/28/20242174닷넷: 2221. C# - LoadContext, LoadFromContext 그리고 GAC파일 다운로드1
13568정성태2/27/20242261닷넷: 2220. C# - .NET Framework 프로세스의 LoaderOptimization 설정을 확인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567정성태2/27/20242215오류 유형: 898. .NET Framework 3.5 이하에서 mscoree.tlb 참조 시 System.BadImageFormatException파일 다운로드1
13566정성태2/27/20242303오류 유형: 897. Windows 7 SDK 설치 시 ".NET Development" 옵션이 비활성으로 선택이 안 되는 경우
13565정성태2/23/20242162닷넷: 2219. .NET CLR2 보안 모델에서의 개별 System.Security.Permissions 제어
13564정성태2/22/20242518Windows: 259. Hyper-V Generation 1 유형의 VM을 Generation 2 유형으로 바꾸는 방법
13563정성태2/21/20242562디버깅 기술: 196. windbg - async/await 비동기인 경우 메모리 덤프 분석의 어려움
13562정성태2/21/20242499오류 유형: 896. ASP.NET - .NET Framework 기본 예제에서 System.Web에 대한 System.IO.FileNotFoundException 예외 발생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