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95. WCF에서의 DataTable 사용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6071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WCF에서의 DataTable 사용


우선, 다음의 토픽을 읽어보십시오.

[WCF]데이터 보내기1
; http://blog.naver.com/unbimanse?Redirect=Log&logNo=30008913599

예전에 소개해 드렸던, "BUG: 웹 서비스에서 DataTable 사용하기"에서는 ASMX 웹 서비스에서 어떻게 DataTable을 사용하는지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이런 방식도 WCF에서는 통하지 않는다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자... 이제 세월이 또 지났군요. ^^
어느새 VS.NET 2008이 나왔고, 서비스 프록시 클래스를 생성할 때, 참조된 어셈블리에 있는 데이터 타입을 활용하도록 svcutil.exe가 개선이 되었습니다. (엄밀히, 이 기능은 VS.NET 2008에서 개선되었다기보다는 "svcutil.exe" 프로그램이 개선되었다고 봐야죠. Microsoft SDK 6.0A 버전에는 개선된 기능을 담고 있는 svcutil.exe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럼... DataTable에 대한 지원이, 좀 나아졌을까요?

확인을 위해서 기왕 테스트 하는 김에 TypedDataset / Untyped Dataset과 함께 DataTable을 함께 다뤄봤습니다.

일단, "Untyped"인 경우에는 부가적인 작업이 필요 없지만, TypedDataset을 테스트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DataSet1.xsd"를 만들었습니다.

vsnet2008_wcf_support_datatable_1.png

그리고 다음과 같은 간단한 DataTable 구성 함수를 만들고,

private DataTable GetTestDataTable()
{
  DataTable table = new DataTable();
  table.Columns.Add("CustomerID", typeof(string));
  table.Columns.Add("Age", typeof(int));

  DataRow row = table.NewRow();
  row["CustomerID"] = "myName";
  row["Age"] = 16;

  table.Rows.Add(row);

  return table;
}

private TestLib.DataSet1.TableRootDataTable GetTestCustomDataTable()
{
  TestLib.DataSet1.TableRootDataTable table = new TestLib.DataSet1.TableRootDataTable();

  TestLib.DataSet1.TableRootRow row = table.NewTableRootRow();
  row.CustomerID = "Customer001";
  table.Rows.Add(row);

  return table;
}

위의 함수를 이용해서 다음과 같이 간단한 Operation을 구성했습니다. (ServiceContract 인터페이스는 생략)

[OperationBehavior]
public DataSet GetDataSet()
{
  DataSet ds = new DataSet("TestTable");
  ds.Tables.Add(GetTestDataTable());
  return ds;
}

[OperationBehavior]
public DataTable GetDataTable()
{
  return GetTestDataTable();
}

[OperationBehavior]
public DataSet1 GetCustomDataSet()
{
  DataSet1 ds = new DataSet1();
  ds.TableRoot.Merge(GetTestCustomDataTable());
  return ds;
}

[OperationBehavior]
public TestLib.DataSet1.TableRootDataTable GetCustomDataTable()
{
  return GetTestCustomDataTable();
}

이제 서비스를 시작하고, 클라이언트 측에서 "서비스 참조"를 해봅니다. 우선, 궁금한 것은 Operation에 대한 함수 Signature가 어떻게 되었는지인데요. 오호... 훌륭하게 다음과 같이 생성되어 있습니다.

=== Reference.cs ===
public System.Data.DataTable GetDataTable() {
    return base.Channel.GetDataTable();
}

public System.Data.DataSet GetDataSet() {
    return base.Channel.GetDataSet();
}

public TestLib.DataSet1 GetCustomDataSet() {
    return base.Channel.GetCustomDataSet();
}

public TestLib.DataSet1.TableRootDataTable GetCustomDataTable() {
    return base.Channel.GetCustomDataTable();
}

짐작하시겠지만, 이렇게 코드가 생성된 데에는 "Reuse types in referenced assemblies"의 힘이 큽니다. ^^




정말 값들이 제대로 들어가 있는지 클라이언트에서도 확인을 해볼까요?

간단하게, 테이블 데이터 출력 함수를 아래와 같이 만들고,

private void OutputDataTable(DataTable dt)
{
  Debug.WriteLine("=== Table Name : " + dt.TableName + " ==== "); 
  foreach (DataRow row in dt.Rows)
  {
    Debug.WriteLine(row.Field("CustomerID"));
  }
}

private void OutputDataSet(DataSet ds)
{
  foreach (DataTable dt in ds.Tables)
  {
    OutputDataTable(dt);
  }
}

서비스 함수 호출을 다음과 같이 했습니다.

DataSet ds = svc.GetDataSet();
OutputDataSet(ds);

DataTable dt = svc.GetDataTable();
OutputDataTable(dt);

DataSet1 cds = svc.GetCustomDataSet();
OutputDataSet(cds);

TestLib.DataSet1.TableRootDataTable cdt = svc.GetCustomDataTable();
OutputDataTable(cdt);

결과는... 어찌되었을까요? ^^ 두말할 것도 없이 잘 나왔겠지요.

Debug Output 실행 결과:

=== Table Name : TestTable ==== 
myName
=== Table Name : TestTable ==== 
myName
=== Table Name : TableRoot ==== 
Customer001
=== Table Name : TableRoot ==== 
Customer001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10/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020정성태4/18/201128488오류 유형: 117. Failed to find runtime DLL (mscorwks.dll), 0x80004005
1019정성태4/17/201129119디버깅 기술: 36. Visual Studio의 .NET Disassembly 창의 call 호출에 사용되는 주소의 의미는? [1]파일 다운로드1
1018정성태4/16/201132780오류 유형: 116. 윈도우 업데이트 오류 - 0x8020000E
1017정성태4/14/201127575개발 환경 구성: 115. MSBuild - x86/x64, .NET 2/4, debug/release 빌드에 대한 배치 처리파일 다운로드1
1016정성태4/13/201143586개발 환경 구성: 114. Windows Thin PC 설치 [2]
1015정성태4/9/201128953.NET Framework: 209. AutoReset, ManualReset, Monitor.Wait의 차이파일 다운로드1
1014정성태4/7/2011106402오류 유형: 115. ORA-12516: TNS:listener could not find available handler with matching protocol stack [2]
1013정성태4/7/201124221Team Foundation Server: 45. SharePoint 2010 + TFS 2010 환경에서 ProcessGuidance.html 파일 다운로드 문제
1012정성태4/6/201132964.NET Framework: 208. WCF - 접속된 클라이언트의 IP 주소 알아내는 방법 [1]
1011정성태3/31/201135312오류 유형: 114. 인증서 갱신 오류 - The request contains no certificate template information.
1010정성태3/30/201126092개발 환경 구성: 113. 응용 프로그램 디자인 스케치 도구 - SketchFlow [4]
1009정성태3/29/201138403개발 환경 구성: 112. Visual Studio 2010 - .NET Framework 소스 코드 디버깅 [4]
1008정성태3/27/201130778.NET Framework: 207. C# - Right operand가 음수인 Shift 연산 결과 [2]
1007정성태3/16/201131616개발 환경 구성: 111. Excel - XML 파일 연동 [5]파일 다운로드1
1006정성태3/15/201125387.NET Framework: 206. XML/XSD - 외래키처럼 참조 제한 거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005정성태3/11/201135244개발 환경 구성: 110. 엑셀 매크로 함수 관련 오류 [2]
1004정성태3/3/201124434개발 환경 구성: 109. SharePoint Health Analyzer 디스크 부족 경고 제어
1003정성태3/3/201125473오류 유형: 113. SQL Server - DB Attach 시 Parameter name: nColIndex 오류 발생
1002정성태3/2/201123882Team Foundation Server: 44. TFS 설치 후, Team Portal의 Dashboard를 빠르게 확인하는 방법
1001정성태3/2/201127870Team Foundation Server: 43. TFS 2010 + SharePoint 2010 설치
1000정성태3/1/201132843오류 유형: 112. Remote FX RDP 연결 시 오류 유형 2가지 [5]
999정성태2/28/201146368개발 환경 구성: 108. RemoteFX - Windows 7 가상 머신에서 DirectX 9c 환경을 제공 [5]
998정성태2/27/201120071Team Foundation Server: 42. TFS Application-Tier만 재설치
996정성태2/12/201137528디버깅 기술: 35. windbg - 분석 예: 시작하자마자 비정상 종료하는 프로세스 - NullReferenceException
995정성태2/11/201156101.NET Framework: 205. 코드(C#)를 통한 풀 덤프 만드는 방법 [4]
994정성태2/10/201135994디버깅 기술: 34. Windbg - ERROR: Unable to load DLL mscordacwks_x86_x86_2.0.50727.4200.dll, Win32 error 0n2 [1]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