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Team Foundation Server: 23. TFS 2005에서 TFS 2008로 마이그레이션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6348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TFS 2008로 마이그레이션


그동안, 시간이 없어서 못 하던 작업을 오늘에서야 해보았습니다. 작업 순서를 알기 위해, 웹에서 검색해 보니 아래와 같은 토픽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Tips for upgrading from TFS2005 to TFS2008
; http://ozgrant.com/2007/11/24/tips-for-upgrading-from-tfs2005-to-tfs2008/




우선, 저는 위의 내용과 상관없이 선행 작업을 해야 할 것이 있었습니다. 기본적으로 TFS는 설치 시에 "컴퓨터 명"을 기준으로 URL이 구성이 되는데, 저는 외부에서도 접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런 구성을 모두 DNS로 바꿔 놓았고, 이 과정에서 보안을 위해서 통신 프로토콜을 HTTPS로 바꿨기 때문입니다.

사실, 마이그레이션 작업에서 URL을 바꾼 것이 얼마나 영향을 줄지는 알 수는 없었습니다. 하지만, 아래에서 언급이 되지만, 우선 마이그레이션이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현재 TFS 구성에 오류가 있는지 체크를 하기 위한 "Practices Analyzer"가 정상적으로 시스템을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DNS로 바꾼 URL 값들을 다시 임시로 "컴퓨터 명"으로 구성해야 했습니다. 하지만, 프로토콜은 바꾸고 싶지 않았기 때문에 "www.sysnet.pe.kr" 식별자를 가진 인증서를 원래의 PC 명인 "singletfs"로 다시 재발급 받아서 IIS에서 모두 교체했습니다. 즉, 다음과 같은 작업들이 이뤄졌습니다.

  • 기본 웹 사이트, SharePoint 중앙 관리, Team Foundation Server 사이트에 할당된 기존 SSL 인증서를 "singletfs" 인증서로 교체.
  • DNS로 된 URL 설정을 다시 "컴퓨터 명"으로 된 URL 설정으로 변경. [참고: TFS 설정 - 주소를 도메인으로 변경]

이후의 내용은 "Tips for upgrading from TFS2005 to TFS2008" 토픽에서 소개된 내용을 바탕으로 진행된 것입니다.

0. Visual Studio 2005 Team Foundation Server Quiescence GDR 설치
; 아마도 이 패치가 적용 안 된 TFS 서버가 많을 것입니다. 마이그레이션을 진행하기 전 반드시 설치해 두어야 합니다.
; http://go.microsoft.com/fwlink/?LinkId=79225

1. TFSSERVICE and TFSREPORTS service accounts & passwords
; TFS 설치 시에 사용했던 계정에 대한 암호를 알아둡니다. 마이그레이션 설치 시에 해당 계정 정보를 입력하기 때문입니다.

2. SMTP server address & from address
; 사실 이 부분은 크게 중요하진 않을 듯하기 때문에 그냥 진행해도 되겠습니다.

3. PowerShell 1.0 설치
; http://www.microsoft.com/windowsserver2003/technologies/management/powershell/download.mspx

4. TFS Power Tools 설치 (Practices Analyzer 실행)
; http://msdn2.microsoft.com/en-us/teamsystem/aa718351.aspx
; 마이그레이션 작업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Practices Analyzer를 실행시켜서 현재 TFS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문제를 검증합니다. 설치 후에는 다음과 같이 "시작" 메뉴를 통해서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

tfs_up_from2005_to2008_2.png

저 같은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일례로 아래 그림의 오류는 "VS80-KB919156-v2-X86.exe" 패치를 하지 않았다는 내용이어서 패치를 해주어 해결을 했습니다.

tfs_up_from2005_to2008_1.png

그 외에는 DNS/컴퓨터명 변경에 문제가 있어 발생했던 WSS 문제가 있었을 뿐, 결국 아래와 같이 VPC로 인해 발생한 CPU 문제만 남았습니다.

tfs_up_from2005_to2008_3.png




자, 이제 모든 준비를 마치고, 기쁜 마음으로 마이그레이션 작업에 들어갔습니다. VS.NET 2008 ISO 파일을 가상 CD-ROM으로 연결하고 setup.exe를 실행시켰는데... 결과는?

한글 TFS에는 영문 TFS가 설치될 수 없다는 오류 메시지가 나왔습니다. ^^;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9/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08-02-21 06시46분
Upgrade: TFS 2005 with Domain account to Orcas with Network Service
; (broken) http://blogs.msdn.com/sudhir/archive/2007/05/31/upgrade-tfs-2005-with-domain-a-c-to-orcas-with-network-service.aspx
kevin25
2008-03-18 12시40분
TFS 2008로 마이그레이션 (2)
; http://www.sysnet.pe.kr/2/0/569
kevin25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631정성태5/5/202110171사물인터넷: 60. ThingSpeak 사물인터넷 플랫폼에 ESP8266 NodeMCU v1 + 조도 센서 장비 연동파일 다운로드1
12630정성태5/5/202110521사물인터넷: 59. NodeMCU v1 ESP8266 보드의 A0 핀 사용법 - CdS Cell(GL3526) 조도 센서 연동파일 다운로드1
12629정성태5/5/202112297.NET Framework: 1057. C# - CoAP 서버 및 클라이언트 제작 (UDP 소켓 통신) [1]파일 다운로드1
12628정성태5/4/202110230Linux: 39. Eclipse 원격 디버깅 - Cannot run program "gdb": Launching failed
12627정성태5/4/202110866Linux: 38. 라즈베리 파이 제로 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Eclipse C/C++ 윈도우 환경 설정
12626정성태5/3/202110842.NET Framework: 1056. C# - Thread.Suspend 호출 시 응용 프로그램 hang 현상 (2)파일 다운로드1
12625정성태5/3/20219723오류 유형: 714. error CS5001: Program does not contain a static 'Main' method suitable for an entry point
12624정성태5/2/202113655.NET Framework: 1055. C# - struct/class가 스택/힙에 할당되는 사례 정리 [10]파일 다운로드1
12623정성태5/2/202110279.NET Framework: 1054. C# 9 최상위 문에 STAThread 사용 [1]파일 다운로드1
12622정성태5/2/20216966오류 유형: 713. XSD 파일을 포함한 프로젝트 - The type or namespace name 'TypedTableBase<>' does not exist in the namespace 'System.Data'
12621정성태5/1/202110814.NET Framework: 1053. C# - 특정 레지스트리 변경 시 알림을 받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620정성태4/29/202112698.NET Framework: 1052. C# - 왜 구조체는 16 바이트의 크기가 적합한가? [1]파일 다운로드1
12619정성태4/28/202113174.NET Framework: 1051. C# - 구조체의 크기가 16바이트가 넘어가면 힙에 할당된다? [2]파일 다운로드1
12618정성태4/27/202111665사물인터넷: 58. NodeMCU v1 ESP8266 CP2102 Module을 이용한 WiFi UDP 통신 [1]파일 다운로드1
12617정성태4/26/20219516.NET Framework: 1050. C# - ETW EventListener의 Keywords별 EventId에 따른 필터링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616정성태4/26/20219385.NET Framework: 1049. C# - ETW EventListener를 상속받았을 때 초기화 순서파일 다운로드1
12615정성태4/26/20217327오류 유형: 712. Microsoft Live 로그인 - 계정을 선택하는(Pick an account) 화면에서 진행이 안 되는 문제
12614정성태4/24/202110172개발 환경 구성: 570. C# - Azure AD 인증을 지원하는 ASP.NET Core/5+ 웹 애플리케이션 예제 구성 [4]파일 다운로드1
12613정성태4/23/20219208.NET Framework: 1048. C# - ETW 이벤트의 Keywords에 속한 EventId 구하는 방법 (2) 관리 코드파일 다운로드1
12612정성태4/23/20219340.NET Framework: 1047. C# - ETW 이벤트의 Keywords에 속한 EventId 구하는 방법 (1) PInvoke파일 다운로드1
12611정성태4/22/20218631오류 유형: 711. 닷넷 EXE 실행 오류 - Mixed mode assembly is build against version 'v2.0.50727' of the runtime
12610정성태4/22/20218548.NET Framework: 1046. C# - 컴파일 시점에 참조할 수 없는 타입을 포함한 이벤트 핸들러를 Reflection을 이용해 구독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609정성태4/22/20219972.NET Framework: 1045. C# - 런타임 시점에 이벤트 핸들러를 만들어 Reflection을 이용해 구독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608정성태4/21/202110879.NET Framework: 1044. C# - Generic Host를 이용해 .NET 5로 리눅스 daemon 프로그램 만드는 방법 [9]파일 다운로드1
12607정성태4/21/20219290.NET Framework: 1043. C# - 실행 시점에 동적으로 Delegate 타입을 만드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606정성태4/21/202113531.NET Framework: 1042. C# - enum 값을 int로 암시적(implicit) 형변환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