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COM 개체 관련: 11. 내가 생각해 보는 COM의 현재 위치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0764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다음은 제가 "microsoft.public.kr.asp.qna"에 썼던 답변입니다.
그냥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

아... 저도 microsoft.public.kr.vc.qna에 올리셨던 그 글을 읽었었는데. ^^

사실. COM의 현재 위치가 상당히 애매해서 그런 경우가 나온 것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NET의 영향으로 인해. .NET만 아니었다면, 지금 정도에서는 아마도 꽤 훌륭한
COM 관련 서적들이 쏟아져 나오지 않았을까 예측해 봅니다. (.NET 처음 나올 때
제 입에서 이런 말이 나오더군요. "COM으로 이제 먹고 살 만 하니까... 우쒸"
^^ )

COM의 특징이라면...
1. 이진 호환성을 제공한다.
2. 모듈화된 UI 컨트롤을 만들 수 있다.
정도일 텐데요. 이진 호환성은 소스 수준에서의 상속까지 지원하는 .NET과
비교조차 할 수 없고, UI 컨트롤 역시 .NET에서는 아주 쉽게 만들어 버릴 수
있게 되었습니다.

더구나 적용 환경이 클라이언트와 서버라는 측면을 고려할 때, 이미 서버는 .NET
런타임 배포에 제한이 없는 데다 .NET Base Class Library를 기본 사용하는
ASP.NET이 더욱 강점을 발휘하게 되어 COM이 더욱 위축되었습니다.
클라이언트는... 이 부분 역시 기업의 Intranet 환경에서는 .NET 런타임을
배포해야 하는 불편을 충분히 커버할 수 있는 뛰어난 "개발 생산성"으로 인해
COM이 역시 사라지고 있습니다.

이제 COM이 설 자리는 Web 사이트의 광대역 WAN 사용자들에 대한 배포이거나
독립 실행형 파일일 텐데... 따지고 보면 그 영역이 크다고 볼수는 없습니다.

정리해 보면... 써먹을 만한 영역도 협소한데다.... "쉽지도 않은" COM을 붙잡고
전문가가 될 만한 사람이 그리 많지 않은 것은 당연하다는 결론이죠. 더구나
책이라면... 더욱 할 말이 없습니다. 요즘 "개발자"들을 상대로 하는 출판 시장이
어렵다는 소리를 듣곤 합니다. 그런 상황에서 그 개발자 중에서도 "소수"
개발자들을 위한 책을 출판한다는 것은 출판사 측에서도 그리 달갑지 않은 것이고
그런 책을 쓰는 수고로움을 견뎌줄... 시간을 포함해 많은 희생을 감당해 주실
분이 없는 것이지요. 아시죠...? 책을 한 권 탈고하는 어려움.

참... 정말 개인적으로 꼭 내보고 싶은 책이 있습니다. Internet Explorer에서의
COM 기법을 정리한 책인데... 예전에 Devpia에서 내준다고 하셨는데,,, 제가
한창 닷넷 엑스퍼트 회사에서 닷넷으로 버벅대고 있던 시절이라 포기를
했었습니다. 아마도... "남대련" 님은 그 책을 사주시겠지요. ^^

------- 마지막으로... .NET에서도 특정 주제와 관련해서 COM 지식이 있는 경우
더욱 깊은 이해를 할 수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 정도를 위해서
닷넷과 함께 COM을 같이 익히실 만한 여유를 가진 분은 많지 않겠지요.
문제는... "시간" ^^

--
======= (c) .NETXpert ==========
url : http://www.dotnetxpert.com
eml : kevin@dotnetxpert.com
msn: kevin025@magicn.com

MCSD.NET, MVP[VC++]
==============================

"남가일몽" <terrors96@hotmail.com> wrote in message
news:u30ZkJTqEHA.536@TK2MSFTNGP09.phx.gbl...
>
> microsoft.public.kr.vc.qna에 올렷던 질문인데요.
>
>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고견 듣고 싶습니다.
>
> 밑에서 부터 읽으시고요.
>
> com을 사용하는 경우가 웹개발에서 더많지 않나해서 여기 올려 봅니다.
>
>
> 음.. 반응 냉담하군요. ㅋㅋ
>
> 국내서가 개허접이란 말이 좀 심하기는 심했나 보네요.
>
> 지금 시중에서 구매 할수 있는 COM관련 기본서가 한 2~3권 있는거 같은데
>
> 그게 부족하다는 애기를 하고 싶은 거였는 데 동의를 안하시는 것 같네요.
>
> 개인적으로는 써비님으로 부터 도움 받은 경험도 있고 해서,
>
> 써비님이 해주신 말씀 가슴 깊게 새기겠습니다. 만약 책을 낸다면 정말 잘써야
> 겠죠.
>
>
http://www.yes24.com/Category/FTCategoryMore01.aspx?CategoryNumber=001001003005004&FetchSize=20&ElemNo=13&ElemSeq=1&ParamSortTp=DISP_PRIR
>
>
http://kangcom.com/book/category/step_01.asp?orderby=5&fst_code=06&snd_code=251%20&trd_code=&bkt=&cate=
>
> 위의 결과는 참 흥미롭죠?
>
> 아직도 김상형의 api정복이 뿐만아니라 고전적인 주제들 이 제일 잘 팔리는것을
> 보면 말입니다.
>
> ATL로 COM을 제작 하는 사람이 워낙 소수이다 보니 아마도 책은 많이는
안팔릴꺼
> 같습니다. (사실 이것도 잘모릅니다.
>
> 저도 com으로 전문적으로 개발을 안하다 보니...)
>
> COM에 관해 깊이가 계신 다른 개발자들의 의견도 좀 구하고 싶네요.
>
> ^^
>
>
> "남대련" <terrors96@hotmail.com> wrote in message
> news:eFzgoLQqEHA.3592@TK2MSFTNGP14.phx.gbl...
> > 저를 소개 하자면, 각종 클라이언트 개발만^^ 3.5년 정도한 허접한
프로그래머
> > 입니다.
> >
> > 이번에 회사도 때려치우고, 마지막 학기를 다니는 중이라 좀 시간이
있는데요.
> >
> > 그동안 가끔씩 저를 괴롭현던 COM이란 넘을 정복하고자 하는데, 시간도 좀
> > 있고해서
> >
> > 공부가 잘되면 COM관련 기본서를 하나 써볼까 생각중입니다.
> >
> > 이와 관련해서 몇가지 질문을 드리고자 합니다. 여기서 오래 활동하신
전문가의
> > 고견을
> >
> > 듣고자 하오니 많은 호응 부탁 드립니다.
> >
> > 1. 요세 말많은 .net component니 .net service니 하는 새로운
enterprise개발
> > 방법론과 비교
> > 해 볼때 COM이라는 주제가 너무 legacy하게 느껴지는데요. 이시점에 이런
> > 기본서가 필요할까요?(돈이야 않되는것은 확실한데, 사람들이 가치 있게
> > 느낄까요?)
> >
> > 2. 사실 지금껏 국내서는 정말 개 허접이더군요 ^^. 유명하다는 책또한 그냥
> > 묶어 논것이지 그걸가지고 학습을 한다는 것이 불가능해 보이더군요. 심지어
> > 유명한 모 선생님이 쓰신책도donbox책을 그냥 일부분 베낀데도 있고, 정말
> > 책쓰기 싫었나 봅니다. 그러면서 책은 왜 자꾸 내는건지..쩝. 그래서 하는
> > 말인데요 어디 똘똘한 영서 있으면 좀 부탁드립니다.(저는 COM
Workshop이라는
> > 책이 참 좋더군요), 비서들 갈켜주시면 정말 도움이 될듯한데, 그리고 관련
> > 자료들을 어디 가면 쉽게 구할수 있는지. msdn도 살펴 봤는데, 그 내용으로
> > 상세히 이해한다는 것은 너무 힘들고, 그렇다고 com specification을 보자니

> > 어렵고, 어디 쉬운책 없을까요? (특히 마샬링과, 어파트먼트쪽)아 그리고
> > com관련 국내 카페나 포럼이 좋은데가 있는지?
> >
> > 3. 그리고 enterprise 개발로 전향하고 싶은데 어떤것들을 공부해야 하는지.
> > 웹프로그래밍은 기본이겠죠?
> >
> >
> > 음 그리고, 이건 뉴스그룹에 관한 질문인데요. 기사들이 일정시간 지나면
> > 서버에서 없어지는거 같은데, 어디가면 다 모아놓은곳이 있나요? 그리고 가장
> > 활발히 개발에 관해서 활동적인 뉴스그룹은 어딘지도...
> >
> > 질문이 너무 많았네요.
> >
> > 좋은하루 보내시고요. 고견 부탁드립니다.
> >
>
>
>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4/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0949정성태4/28/201619957.NET Framework: 575. SharedDomain과 JIT 컴파일파일 다운로드1
10948정성태4/28/201623915.NET Framework: 574. .NET - 눈으로 확인하는 SharedDomain의 동작 방식 [3]파일 다운로드1
10947정성태4/27/201621800.NET Framework: 573. .NET CLR4 보안 모델 - 4. CLR4 보안 모델에서의 조건부 APTCA 역할파일 다운로드1
10946정성태4/26/201624591VS.NET IDE: 106. Visual Studio 2015 확장 - INI 파일을 위한 사용자 정의 포맷 기능 (Syntax Highlighting)파일 다운로드1
10945정성태4/26/201618343오류 유형: 327. VSIX 프로젝트 빌드 시 The "VsTemplatePaths" task could not be loaded from the assembly 오류 발생
10944정성태4/22/201619570디버깅 기술: 80. windbg - 풀 덤프 파일로부터 텍스트 파일의 내용을 찾는 방법
10943정성태4/22/201624421디버깅 기술: 79. windbg - 풀 덤프 파일로부터 .NET DLL을 추출/저장하는 방법 [1]
10942정성태4/19/201619749디버깅 기술: 78. windbg 사례 - .NET 예외가 발생한 시점의 오류 분석 [1]
10941정성태4/19/201619649오류 유형: 326. Error MSB8020 - The build tools for v120_xp (Platform Toolset = 'v120_xp') cannot be found.
10940정성태4/18/201622948Windows: 116. 프로세스 풀 덤프 시간을 줄여 주는 Process Reflection [3]
10939정성태4/18/201623968.NET Framework: 572. .NET APM 비동기 호출의 Begin...과 End... 조합 [3]파일 다운로드1
10938정성태4/13/201623516오류 유형: 325. 파일 삭제 시 오류 - Error 0x80070091: The directory is not empty.
10937정성태4/13/201631704Windows: 115. UEFI 모드로 윈도우 10 설치 가능한 USB 디스크 만드는 방법
10936정성태4/8/201642460Windows: 114. 삼성 센스 크로노스 7 노트북의 운영체제를 USB 디스크로 새로 설치하는 방법 [3]
10935정성태4/7/201626727웹: 32. Edge에서 Google Docs 문서 편집 시 한영 전환키가 동작 안하는 문제
10934정성태4/5/201625412디버깅 기술: 77. windbg의 콜스택 함수 인자를 쉽게 확인하는 방법 [1]
10933정성태4/5/201631047.NET Framework: 571. C# - 스레드 선호도(Thread Affinity) 지정하는 방법 [8]파일 다운로드1
10932정성태4/4/201623331VC++: 96. C/C++ 식 평가 - printf("%d %d %d\n", a, a++, a);
10931정성태3/31/201623642개발 환경 구성: 283. Hyper-V 내에 구성한 Active Directory 환경의 시간 구성 방법 [3]
10930정성태3/30/201621588.NET Framework: 570. .NET 4.5부터 추가된 CLR Profiler의 실행 시 Rejit 기능
10929정성태3/29/201631685.NET Framework: 569. ServicePointManager.DefaultConnectionLimit의 역할파일 다운로드1
10928정성태3/28/201637396.NET Framework: 568. ODP.NET의 완전한 닷넷 버전 Oracle ODP.NET, Managed Driver [2]파일 다운로드1
10927정성태3/25/201626587.NET Framework: 567. System.Net.ServicePointManager의 DefaultConnectionLimit 속성 설명
10926정성태3/24/201626159.NET Framework: 566. openssl의 PKCS#1 PEM 개인키 파일을 .NET RSACryptoServiceProvider에서 사용하는 방법 [10]파일 다운로드1
10925정성태3/24/201620443.NET Framework: 565. C# - Rabin-Miller 소수 생성 방법을 이용하여 RSACryptoServiceProvider의 개인키를 직접 채워보자 - 두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0924정성태3/22/201621127오류 유형: 324. Visual Studio에서 Azure 클라우드 서비스 생성 시 Failed to initialize the PowerShell host 에러 발생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