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Windows: 29. Windows Server 2008 설치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8467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3개 있습니다.)

Windows Server 2008 설치


무척이나 기다렸던 Windows Server 2008이 릴리스되어, 기쁜 마음으로 ^^ 설 연휴에 설치해 보고 이거저거 만져 보았는데, 그에 관한 간략한 기록을 남겨 봅니다.




1. "한글" MSN Live Messenger 설치 불가
재미있게도, 한글 MSN Live Messenger 설치 시에 윈도우즈 종류를 체크하는 부분 때문에 설치가 되질 않았습니다. 하지만, 영문 MSN Live Messenger의 경우에는 정상적으로 설치가 되었습니다. ^^

2. 터미널 서비스와 Office 제품의 라이선스 문제
테스트 머신에 가장 먼저 설치했던 제품이 Office 2007 Ultimate 제품이었습니다. 물론, 잘 동작했지요. 그런 후, TS Web Access 등의 기능을 경험해 보기 위해 터미널 서비스를 설치했더니,,, ^^; 이후로 Office 2007 관련 제품들이 전혀 설치가 되지 않았습니다. (터미널 세션뿐만 아니라, 콘솔에서조차도 실행되지 않습니다.)

알아 보니, 터미널 서비스의 경우에는 다수의 사용자가 접근해서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을 액세스하는 문제로 인해 그와 관련되어 라이선스를 다르게 가져가는 정책 때문이었습니다. 따라서, Office 2007 Ultimate 등의 제품들은 사용할 수 없으며, 대신에 "Office 2007 Enterprise" 버전을 볼륨 라이선스 키를 사용해서 설치해야만 합니다. 아래는 "MSDN 구독자 다운로드"에 적힌 설명입니다.

Using Office 2007 Within a Terminal Server Client Session
If you will require using this Office 2007 product within a Terminal Services environment, please install using the Office 2007 Suites volume license key available from the Product Keys page. Volume license keys are listed after retail product keys in a table titled Volume License Keys.




위의 설명대로, MSDN 구독자는 "제품 키" 화면에서 "Office 2007 Suites" / "VA 1.0" 유형의 키를 요청해서 오피스 설치 시에 사용하면 됩니다.

3. Virtual Server 2005 R2 SP1
엄밀히, 이 문제는 Windows Server 2008과의 문제는 아닙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테스트 시스템 구성에 "Active Directory"를 설치해 놓고 있는데, 이것이 VPC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닭이 먼저냐, 계란이 먼저냐"라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Virtual Server 2005 R2 SP1부터는 Active Directory와 보다 통합된 기능을 제공해 준다고 되어 있는데, 이 때문에 VPC에 설치된 Active Directory에 참여하고 있는 Host PC에 Virtual Server 2005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서비스 구동 시에 문제가 발생합니다. 즉, Virtual Server 서비스가 올라올 때 AD 서버를 찾게 되는 데 이것이 정상적으로 안되다 보니 서비스가 올라오지 않은 체로 계속 "Starting" 상태에만 머물러 있게 됩니다. (물론,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는 "Started"로 바뀌는데, 서비스 자체는 정상적으로 실행된 상태가 아닙니다.)

어쩔 수 없이, ^^ AD와의 기능 통합이 되기 전 버전인 "Virtual Server 2005 R2" 버전으로 내려서 설치를 했습니다.

참고로, Virtual PC 2007는 잘 설치가 되었습니다.

4. Visual Studio 2008 정상 설치
예전에 아래의 오류 유형을 소개해 드린 적이 있지요.

VS.NET 2008 설치 오류 - Error code 1602
; https://www.sysnet.pe.kr/2/0/544

댓글에, UAC를 꺼야 설치가 되었다는 내용이 있는데 Windows Server 2008에서는 어떨까 싶어서 설치를 해보았는데, UAC와 상관없이 정상적으로 설치가 되었습니다. (어쨌든, 재미있네요. ^^ setup.exe 자체가 UAC 확인창이 뜨도록 설정되어 있는데.)

5. Windows Sidebar와 Parental Controls의 부재
예정되었던 데로 "Parental Controls" 기능은 누락되어 있습니다. (사실, 서버 버전을 가지고 아이들과 같이 쓰실 분들은 없겠지만.) 또한, Windows Sidebar도 없습니다. 혹시나 있는데도 제가 방법을 몰라서 설치하지 못하고 있는 지도 모르지만. ^^; 어찌 보면 굳이 누락시킬 것까지야 없는 기능인데. "Parental Controls"야 그렇다 쳐도 Windows Sidebar는 좀 아쉽긴 합니다.

6. 향상된 RDP(Remote Desktop Protocol) 환경
아래의 화면은 제 윈도우 비스타에서 RDP 6.0 클라이언트로 Windows Server 2008에 접속한 화면입니다.

install_win2008_server_1.png

보시는 것처럼, 일단 ClearType이 깨끗하게 지원되고, "Theme" 역시 Vista 테마를 정상적으로 지원합니다. 단지 아쉬운 것은 Aero 테마가 지원되지 않습니다. RDP로 Aero 테마가 가능하냐고 물으시는 분이 계실 텐데요. Vista에서 해당 기능이 지원되고 있습니다. 아래의 "Desktop composition" 옵션을 켜고 Vista에 원격으로 접속을 하면 RDP 세션에서도 정상적으로 Vista Aero 테마가 적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install_win2008_server_2.png

실제로, Aero까지 지원되는 Vista 원격 접속에서는 3-D 게임까지도 실행이 되어집니다. 아무튼, 실망스럽게도 Windows Server 2008에서는 그 기능을 끈 것으로 보입니다. 물론, 다중 사용자 접속 환경에서 Vista Aero 테마는 시스템에 부하를 주긴 하겠지만, 그래도 한 두 세션 정도는 가능하게 할 수도 있었을 텐데... 쩝 ^^; 아쉽습니다.

7. 재미있는 TS Web Access 기능
이 기능이, 제일 재미있는(!) 기능이 아닐까 싶습니다. 말로 설명하는 것보다 화면으로 보는 것이 가장 이해가 빠르겠지요. ^^ 일례로, 여러분들은 TS Web Access가 설치된 서버에 다음과 같이 웹 브라우저를 이용해서 접속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install_win2008_server_3.png

위와 같은 웹 화면에서 "Windows Live Messenger"를 선택하면, "웹 페이지를 방문한 PC"에 "서버에 설치되어 있는 Windows Live Messenger"가 실행이 됩니다.

install_win2008_server_4.png

만약, 접속한 클라이언트가 Vista Aero 테마 상태라면, 위와 같이 실행된 원격 프로그램도 Aero 테마가 그대로 적용된다고 합니다.

아쉽게도, 현재 위와 같은 기능을 비스타와 XP에서는 사용할 수가 없습니다. 왜냐하면, RDP 6.1부터 해당 기능들이 제공되는데 지금의 비스타와 XP에 있는 RDP 클라이언트는 버전이 6.0이기 때문입니다. 그럼... 어디서 RDP 6.1을 구할 수 있는지 궁금하실 텐데요. ^^ 다름 아닌, 비스타 SP1과 XP SP3에 포함되어 있다고 합니다. (아마도, 나중에는 독립적으로도 배포되지 않을까 예상해 보지만.)

비스타 SP1의 경우에는 일반에는 다음 달(3월) 중순에나 배포될 예정이라고 하는군요. MSDN 구독자에게는 이달 말(2월), Microsoft MVP나 그에 해당하는 특별 고객들에게는 이번 주 내(2월 중순)에 받아볼 수 있을 거라고 합니다. (영문 기준)

8. Windows Activation 에러
특이하게도, MSDN 구독자 다운로드 센터에서 구한 "Windows Server 2008"로 설치 시에는 제품키를 입력받는 과정이 없었습니다. 하지만, 역시 "활성화" 과정은 동일하게 필요했는데요.

이상하게도 해당 활성화 단계를 시작하면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Windows Activation Error

A problem occurred when Windows tried to activate.
Error Code 0x8007232B.
For a possible resolution, click More Information.
Contact your system administrator or technical support department for assistance.



처음엔 정말 DNS 이름 풀이가 안되어서 그런가 싶어서 여러 가지 DNS 서버 설정을 해보았는데도 안되었습니다. 그러다, 혹시나 싶어서 시스템 속성창의 "Change product key" 메뉴를 선택해서 명시적으로 제품키(역시 MSDN 구독자 다운로드 센터에서 구함)를 입력한 후에 다시 활성화를 시켰더니 정상적으로 되었습니다.





대강 몇 가지 살펴보았는데요. 제 테스트 PC 시스템의 한계로 인해 Hyper-V 같은 기능은 설치를 해볼 수가 없었습니다. 왜냐하면, VT(Virtualization Technology) 기능이 하드웨어 수준에서 지원(Intel의 경우에는 Intel VT, AMD의 경우에는 AMD-V)이 되어야 하는데, 제 시스템의 CPU가 "애슬론64-X2 맨체스터 3800+"인데 애석하게도 AMD-V 기능이 없는 제품입니다.

Hyper-V 때문에라도 시스템을 업그레이드 해봐야 할 텐데... ^^

어쨌든, 일단 이것으로 출발은 하였다는.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08-02-12 05시16분
Windows server 2008 Tips
; (broken) http://blogs.msdn.com/shahpiyush/archive/2008/02/12/windows-server-2008-tips.aspx
kevin25
2008-02-27 10시32분
Activation of Vista: DNS Error
; https://docs.microsoft.com/en-us/archive/blogs/zainnab/activation-of-vista-dns-error

활성화 문제가 윈도우즈 2008 서버만 그런 것이 아니었군요. ^^
kevin25
2008-02-28 05시10분
Hyper-V and Power Management
; https://docs.microsoft.com/en-us/archive/blogs/virtual_pc_guy/hyper-v-and-power-management

터미널 서비스를 설치해 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최대절전모드를 사용할 수 없게 되지요. Hyper-V도 설치하고 나면 최대절전모드가 없어진다고 합니다. 꼼수도 없다고 하는군요. ^^
kevin25
2009-03-05 12시34분
Installing Virtual Server R2 SP1 on Windows Server 2008 Beta 3
; (broken) http://blogs.technet.com/virtualization/archive/2007/07/31/installing-virtual-server-r2-sp1-on-windows-server-2008-beta-3.aspx
kevin25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502정성태9/21/201338896개발 환경 구성: 198. Visual Studio - git을 이용한 로컬 소스 컨트롤
1501정성태9/21/201345979개발 환경 구성: 197. Visual Studio를 위한 Git 환경 설정 [5]
1500정성태9/20/201344976.NET Framework: 386. C# 버전의 한글 형태소 분석기 [1]파일 다운로드1
1499정성태9/20/201321592개발 환경 구성: 196. Windows Azure - Cloud Service의 인스턴스 타입 변경하는 방법
1498정성태9/20/201327664Windows: 76. 윈도우 8.1 / 서버 2012 R2 마이그레이션 [5]
1497정성태9/20/201359913웹: 28. IE 11로 바꾼 후 발생하는 문제 정리
1496정성태9/20/201332260Windows: 75. 윈도우 8.1, 2012 R2 설치 후 원격 접속이 안 되는 문제
1495정성태9/20/201323409웹: 27. IE 11 - YBM Sisa.com에서 검색된 영단어의 발음 기호가 안 나오는 문제
1494정성태9/13/201333087.NET Framework: 385. Html Agility Pack 소개 - 웹 문서에서 텍스트만 분리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493정성태9/13/201334818.NET Framework: 384. WebClient.DownloadString 문자열 인코딩 문제
1492정성태9/13/201322238오류 유형: 186. The .NET assembly 'Microsoft.Vsa' could not be found.
1491정성태9/9/201325356.NET Framework: 383. RSAParameters의 ToXmlString과 ExportParameters의 결과 비교
1490정성태9/7/201360390기타: 34. 도서: 시작하세요! C# 프로그래밍: 기본 문법부터 실전 예제까지 [7]
1489정성태9/4/201344815오류 유형: 185. 오피스 워드 파일이 저장되지 않는 문제 [2]
1488정성태8/27/201328941.NET Framework: 382. WCF에서 DataSet을 binary encoding으로 직렬화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487정성태8/27/201331269개발 환경 구성: 195. 로컬 PC에서의 WCF 통신을 Fiddler로 보는 방법 [1]
1486정성태8/27/201328742.NET Framework: 381. SqlCommand를 이용해 Microsoft SQL 서버의 쿼리 실행 계획을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485정성태8/26/201332416.NET Framework: 380. 프로세스 스스로 풀 덤프 남기는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1484정성태8/23/201326635제니퍼 .NET: 24. 제니퍼 닷넷 적용 사례 (4) - GZIP 인코딩으로 인한 성능 하락
1483정성태8/23/201326768.NET Framework: 379. System.IO.MemoryStream, ArraySegment<T> 의 효율적인 사용법 [1]
1482정성태8/23/201320263.NET Framework: 378. Java / C# - 정수의 부호 유무에 따른 16진수 문자열 변환
1481정성태8/22/201321072오류 유형: 184. PaaS 유형(Cloud Services)의 Azure VM에 연결할 때 계정 만료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1480정성태8/22/201337735개발 환경 구성: 194. 윈도우 서버의 80 포트에 대한 port forwarding 설정 방법파일 다운로드1
1479정성태8/14/201325052오류 유형: 183. IIS - 바인딩 추가 시 Object reference not set to an instance of an object 오류 [5]
1478정성태8/14/201328399오류 유형: 182. 윈도우 정품 활성화 오류 - 0x80070426
1477정성태8/14/201327234VC++: 71. codeplex의 Project Austin - 실감나게 책장 넘기는 표현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