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55. Windowless ActiveX controls are not supported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4632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Windowless ActiveX controls are not supported


현상은 간단했습니다.

3rd-party 컨트롤을 WinForm에 올려놓았는데, 아래와 같이 EndInit 메서드 실행에서 예외가 발생하였습니다.

private void InitializeComponent()
{
  ; 생략
  ((System.ComponentModel.ISupportInitialize)(this.axXObject1)).EndInit(); // 예외 발생  
	this.ResumeLayout( false );  
}

"System.Reflection.TargetInvocationException: Unable to get the window
handle for the '<ActiveX name>' control. Windowless ActiveX controls are not
supported. ---> System.NullReferenceException: Object reference not set to
an instance of an object."

물론, 애당초 해당 컨트롤을 Windowsless 모드로 제작된 경우도 있을 수 있겠지만, 위에서 제가 사용한 컨트롤은 분명한 Windowed 컨트롤이었습니다. 오호... 이거 고민입니다. ^^;

이상한 것은, Visual Studio 2005에서는 정상적으로 동작하는데, 2008로 빌드하고 실행시키면 그와 같은 오류가 발생하였습니다.

어쩌겠습니까? 웹을 검색해 봐야지. ^^

검색을 해도... 사실 딱히 별다른 원인이 있어보이진 않았습니다. 어떤 이는 AutoScaleMode를 None으로 설정하라고 하고.

그러다, 보게 된 것. "DEP" 기능을 꺼보라는 것입니다. 휴... 어쩔 수 없군요.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심정에서 시도를 해보았습니다. 참고로, Vista에서는 boot.ini 설정이 지원되지 않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bcdedit.exe를 이용하셔야 합니다.

bcdedit.exe /set {current} nx AlwaysOff

당연히, "Run as administrator"로 띄운 명령행 대화창에서 실행시켜야 합니다.

결과는... ^^; OK입니다. DEP를 끄고 나니 정상적으로 ActiveX가 활성화되었습니다.




그 외에 다음과 같은 토픽도 있습니다. 이런 걸로 봐서는, 해당 오류가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는.

"Windowless ActiveX controls are not supported"...
and how to fix it
; http://www.petedavis.net/MySite/DynPageView.aspx?pageid=21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11/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NoWriterDateCnt.TitleFile(s)
855정성태4/24/201025146.NET Framework: 176. DataContext가 thread-safe한 것인가?
854정성태4/22/201022013오류 유형: 94. 팀 프로젝트 생성 오류 - TF218017, TF250044
853정성태4/22/201022634오류 유형: 93. TFS 2010 오류: rsProcessingAborted, rsErrorExecutingCommand
852정성태4/21/201023835Team Foundation Server: 33. 단일 서버에 Team Foundation Server 2010 설치하는 방법
851정성태4/14/201034288오류 유형: 92. Task Scheduler 오류: 2147942667 (0x8007010B)
850정성태4/7/201022905.NET Framework: 175. WCF - webHttpBinding + PUT 메서드 구현파일 다운로드1
848정성태3/30/201036519개발 환경 구성: 73. 한 대의 PC에서 여러 개의 키입력 매크로 프로그램이 가능할까? [5]파일 다운로드5
846정성태3/29/201034476VC++: 39. C++에서 싱글톤 구현하기 [8]파일 다운로드1
844정성태3/19/201021894개발 환경 구성: 72. Adobe Creative Suite 3 Master Collection - 하드 디스크로부터 설치하는 방법
843정성태3/19/201030900Windows: 50. Windows Server 2008 R2 시스템에 Windows 7 멀티 부팅하는 방법
842정성태3/17/201026526Windows: 49. VHD 파일 지원
841정성태3/16/201027144.NET Framework: 174. 작업자 프로세스(w3wp.exe)가 재시작되는 시점을 알 수 있는 방법 [1]
840정성태3/4/201020556개발 환경 구성: 71. w3wp.exe에 환경 변수 전달하는 방법 [1]
836정성태2/13/201023970VS.NET IDE: 67. Visual Studio 2010: 베타 2에서 RC 마이그레이션
835정성태1/26/201025223.NET Framework: 173. WCF - webHttpBinding + IIS 6.0 윈도우 인증 구현 예제 [3]파일 다운로드1
834정성태1/25/201025690.NET Framework: 172. WCF - webHttpBinding 윈도우 인증 구현 예제 [3]파일 다운로드1
833정성태1/25/201025062.NET Framework: 171. WCF - webHttpBinding 구현 예제 [1]파일 다운로드1
832정성태1/25/201028895.NET Framework: 170. PerformanceCounter의 RawValue/NextValue()에서 멈춤 현상
831정성태1/14/201018701개발 환경 구성: 70. WSS - check out 메뉴에서 오류나는 문제
830정성태1/10/201023160개발 환경 구성: 69. Windows Internal Database
829정성태1/7/201022620개발 환경 구성: 68. ODP.NET + OraMTS 사용
828정성태1/7/201030597개발 환경 구성: 67. 환경 변수를 이용한 다중 ODAC 버전 테스트
827정성태1/4/201022761개발 환경 구성: 66. .NET 응용 프로그램에서 64비트 Oracle Data Access Components 사용 (2)
826정성태1/3/201030189기타: 28. 2009년 인기 순위 정리
825정성태1/3/201046997개발 환경 구성: 65. .NET 응용 프로그램에서 64비트 Oracle Data Access Components 사용 [5]
823정성태1/1/201024268개발 환경 구성: 64. ODP.NET 설치 작업 없이 ASP.NET 응용 프로그램 배포파일 다운로드1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