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55. Windowless ActiveX controls are not supported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8816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Windowless ActiveX controls are not supported


현상은 간단했습니다.

3rd-party 컨트롤을 WinForm에 올려놓았는데, 아래와 같이 EndInit 메서드 실행에서 예외가 발생하였습니다.

private void InitializeComponent()
{
  ; 생략
  ((System.ComponentModel.ISupportInitialize)(this.axXObject1)).EndInit(); // 예외 발생  
	this.ResumeLayout( false );  
}

"System.Reflection.TargetInvocationException: Unable to get the window
handle for the '<ActiveX name>' control. Windowless ActiveX controls are not
supported. ---> System.NullReferenceException: Object reference not set to
an instance of an object."

물론, 애당초 해당 컨트롤을 Windowsless 모드로 제작된 경우도 있을 수 있겠지만, 위에서 제가 사용한 컨트롤은 분명한 Windowed 컨트롤이었습니다. 오호... 이거 고민입니다. ^^;

이상한 것은, Visual Studio 2005에서는 정상적으로 동작하는데, 2008로 빌드하고 실행시키면 그와 같은 오류가 발생하였습니다.

어쩌겠습니까? 웹을 검색해 봐야지. ^^

검색을 해도... 사실 딱히 별다른 원인이 있어보이진 않았습니다. 어떤 이는 AutoScaleMode를 None으로 설정하라고 하고.

그러다, 보게 된 것. "DEP" 기능을 꺼보라는 것입니다. 휴... 어쩔 수 없군요.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심정에서 시도를 해보았습니다. 참고로, Vista에서는 boot.ini 설정이 지원되지 않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bcdedit.exe를 이용하셔야 합니다.

bcdedit.exe /set {current} nx AlwaysOff

당연히, "Run as administrator"로 띄운 명령행 대화창에서 실행시켜야 합니다.

결과는... ^^; OK입니다. DEP를 끄고 나니 정상적으로 ActiveX가 활성화되었습니다.




그 외에 다음과 같은 토픽도 있습니다. 이런 걸로 봐서는, 해당 오류가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는.

"Windowless ActiveX controls are not supported"...
and how to fix it
; http://www.petedavis.net/MySite/DynPageView.aspx?pageid=21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11/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81정성태11/20/200548781.NET Framework: 54. 한글이 포함된 ANSI, UTF-8, UNICODE 텍스트 파일 읽기 [3]파일 다운로드1
197정성태12/25/200524100    답변글 .NET Framework: 54.4. [관련 문제] A 태그의 href에서의 문제.
198정성태12/27/200521692    답변글 .NET Framework: 54.5. [추가]: VS.NET으로 UTF-8 홈페이지 구성하기
179정성태11/8/200519339.NET Framework: 53. .NET Remoting: 메시지 교체
178정성태11/5/200520060기타: 11. Dual Core 장만. ^^
177정성태11/2/200519903COM 개체 관련: 17. CoGetClassObjectFromURL파일 다운로드1
176정성태3/29/200625539.NET Framework: 52. covariance? [1]파일 다운로드1
175정성태10/31/200520904.NET Framework: 51. MSXML 6.0에서 디지털 서명 기능을 제거!
180정성태11/15/200521088    답변글 VS.NET IDE: 51.1. MSXML 6.0 정식 릴리스
174정성태10/31/200522120.NET Framework: 50. app.config 예시 [1]
173정성태10/30/200520760스크립트: 5. 스크립트 호출 관계
172정성태10/25/200529378.NET Framework: 49. ASP.NET 오류 유형 : 액세스가 거부되었습니다. [2]
171정성태11/14/200531062VC++: 19. 다국어 지원: setlocale( LC_TIME, "" ) 관련 [1]
170정성태11/14/200525414VS.NET IDE: 34. Visual SourceSafe 2005: Remote Internet Access over HTTP : 80 이외의 포트를 지정
206정성태2/1/200621971    답변글 VC++: 34.1. [추가]: Internet Access Plug-in 사용 시 유의 사항
168정성태11/14/200523391VS.NET IDE: 33. IIS 6.0 AppPool 설정 - Enable rapid-fail protection
169정성태10/14/200525013    답변글 VS.NET IDE: 33.1. Enable rapid-fail protection 상황 재현 방법
166정성태11/14/200521943.NET Framework: 48. IE를 죽이는 스크립트 소스
165정성태11/14/200522660.NET Framework: 47. MOM (Microsoft Operations Manager) 2005 서버 설치 가이드
164정성태11/14/200519802.NET Framework: 46. 도메인에 속한 컴퓨터의 Local Computer Policy 변경 방법
162정성태10/3/200522396.NET Framework: 45. VS.NET 2005 IDE에서 Web App를 .NET 2.0 (x64) 머신에 배포
161정성태11/14/200525130.NET Framework: 44. IIS 관리자에서 ASP.NET 탭이 없는 경우.
159정성태9/28/200521264VS.NET IDE: 32. Virtual Server 2005 64bit SP1 Beta 테스트 [2]
163정성태10/3/200519300    답변글 VS.NET IDE: 32.1. 왜...?
158정성태11/14/200521593VS.NET IDE: 31. SQL 2005 - A connection was successfully established with the server
157정성태9/21/200521726기타: 10. SQL2000 설치 시, Invalid Product Key 오류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