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VS.NET IDE: 56. C#에서 아쉬운 __DATE__, __TIME__ 매크로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7253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C#에서 아쉬운 __DATE__, __TIME__ 매크로


C/C++ 매크로 기능을 .NET에서 구현하는 첫 번째 사례에 대해서는 다음의 토픽에서 말씀드렸지요.

XML/XSLT로 구현하는 매크로 확장
; https://www.sysnet.pe.kr/2/0/542

그래도, 모든 경우의 매크로 기능을 XML/XSLT 확장으로 처리하기에는 무리가 있긴 합니다.

고객으로부터 요청 사항이 들어왔습니다. 배포된 응용 프로그램의 정확한 팀 빌드 버전을 알고 싶다는 것인데, 물론 소스 코드가 수정이 되고 AssemblyVersion을 같이 변경해 주면 추적이 되는데도 불구하고 실제로 개발자들이 그와 같은 변경을 자주 잊어버리기 때문에, 예전의 C/C++에서 제공되던 __DATE__, __TIME__으로 주어지는 문자열을 프로그램 정보창에 띄워달라는 것이었습니다.

일면... 타당하기도 하고,,, ^^

어쨌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MSBuild 외에는 딱히 떠오르지를 않습니다. 게다가 소스 코드 파일을 직접 수정하는 것은 버전 제어 시스템과의 연계 면에서 과히 좋은 생각이 아니기 때문에 별도의 파일에 컴파일 정보를 담아 놓는 것으로 결정했습니다.

우선, 프로젝트에 "output.txt"라는 파일을 추가하고 빌드 유형을 "Embedded Resource"로 변경합니다. 그다음, "프로젝트" 파일을 메모장 등에서 편집을 합니다.

대강, 아래와 같은 내용으로 편집해 주면 됩니다.

<Target Name="BeforeBuild">
    <Exec Command="Date /T &gt; output.txt" />
    <Exec Command="Time /T &gt;&gt; output.txt" />
</Target>

아쉽게도, 기본 제공되는 MSBuild Task에는 현재 시간을 구하는 속성이 없었습니다. 물론, 현재 시간을 반환해주는 사용자 정의 Task를 만들 수도 있지만 - 경험상, 고객 사이트에 이런 설치 요소를 늘리는 것은 바람직 하지 않기 때문에 - 간단하게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도스 명령어의 "Date", "Time"을 이용했습니다.

그런데, 소스 컨트롤에 올렸더니 "Access Denied"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런 경우는 굳이 Check In/Out 정보를 남길 필요가 없기 때문에 단순히 파일 속성의 읽기 전용 속성만 풀어주는 것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Target Name="BeforeBuild">
    <Exec Command="attrib -R output.txt" />
    <Exec Command="Date /T &gt; output.txt" />
    <Exec Command="Time /T &gt;&gt; output.txt" />
    <Exec Command="attrib +R output.txt" />
</Target>

해당 프로젝트의 바이너리들이 팀 빌드를 통해서 배포된다면, 팀 빌드 버전 기록이 보여지는 것이 오히려 정상일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BuildNumber)"가 팀 빌드 시에는 제공이 되지만, 로컬 빌드에서는 없기 때문에 2가지 상황을 고려해 줘야 합니다. 결국, 아래와 같이 마무리를 하게 됩니다.

<PropertyGroup>
    <BeforeBuildDependsOn>
      RemoteTFSBuild;
      LocalProjectBuild;
    </BeforeBuildDependsOn>
</PropertyGroup>

<Target Name="BeforeBuild" DependsOnTargets="$(BeforeBuildDependsOn)" Outputs="$(TargetPath)">
</Target>

<Target Name="RemoteTFSBuild" Condition="$(BuildNumber) != ''">
    <Exec Command="attrib -R output.txt" />
    <Exec Command="echo $(BuildNumber) &gt; output.txt" />
    <Exec Command="attrib +R output.txt" />
</Target>

<Target Name="LocalProjectBuild" Condition="$(BuildNumber) == ''">
    <Exec Command="attrib -R output.txt" />
    <Exec Command="Date /T &gt; output.txt" />
    <Exec Command="Time /T &gt;&gt; output.txt" />
    <Exec Command="attrib +R output.txt" />
</Target>

이렇게 포함된 내용은 다음과 같은 코드로 가져와서 메시지 박스에 보여주면 끝.

namespace WindowsApplication1
{
    public partial class Form1 : Form
    {
        public Form1()
        {
            InitializeComponent();
        }

        private void Form1_Load(object sender, EventArgs e)
        {
            Assembly asm = this.GetType().Assembly;
            
            using (System.IO.Stream stream 
                = asm.GetManifestResourceStream("WindowsApplication1.output.txt"))
            {
                byte[] bufffer = new byte[stream.Length];
                stream.Read(bufffer, 0, (int)stream.Length);
                this.Text = Encoding.UTF8.GetString(bufffer);
            }
        }
    }
}

더 좋은 의견 있으신 분??? ^^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8/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08-06-10 03시34분
[konanya] 좋은 아이디어시네요. ^^ 잘 배우구 갑니다.
[guest]
2008-11-30 10시36분
TeamBuild ClickOnce - Auto Incrementing Your Version Information
; http://myramserialize.blogspot.com/search/label/Team%20Build
kevin25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591정성태4/9/202120917.NET Framework: 1034. C# - byte 배열을 Hex(16진수) 문자열로 고속 변환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2590정성태4/9/202117089.NET Framework: 1033. C# - .NET 4.0 이하에서 Console.IsInputRedirected 구현 [1]
12589정성태4/8/202118254.NET Framework: 1032. C# - Environment.OSVersion의 문제점 및 윈도우 운영체제의 버전을 구하는 다양한 방법 [1]
12588정성태4/7/202120028개발 환경 구성: 565. PowerShell - New-SelfSignedCertificate를 사용해 CA 인증서 생성 및 인증서 서명 방법
12587정성태4/6/202121264개발 환경 구성: 564. Windows 10 - ClickOnce 배포처럼 사용할 수 있는 MSIX 설치 파일 [1]
12586정성태4/5/202118171오류 유형: 710. Windows - Restart-Computer / shutdown 명령어 수행 시 Access is denied(E_ACCESSDENIED)
12585정성태4/5/202117163개발 환경 구성: 563. 기본 생성된 kubeconfig 파일의 내용을 새롭게 생성한 인증서로 구성하는 방법
12584정성태4/1/202118310개발 환경 구성: 562. kubeconfig 파일 없이 kubectl 옵션만으로 실행하는 방법
12583정성태3/29/202119179개발 환경 구성: 561. kubectl 수행 시 다른 k8s 클러스터로 접속하는 방법
12582정성태3/29/202118657오류 유형: 709. Visual C++ - 컴파일 에러 error C2059: syntax error: '__stdcall'
12581정성태3/28/202118600.NET Framework: 1031. WinForm/WPF에서 Console 창을 띄워 출력하는 방법 (2) - Output 디버깅 출력을 AllocConsole로 우회 [2]
12580정성태3/28/202116464오류 유형: 708. SQL Server Management Studio - Execution Timeout Expired.
12579정성태3/28/202117086오류 유형: 707. 중첩 가상화(Nested Virtualization) - The virtual machine could not be started because this platform does not support nested virtualization.
12578정성태3/27/202117487개발 환경 구성: 560. Docker Desktop for Windows 기반의 Kubernetes 구성 (2) - WSL 2 인스턴스에 kind가 구성한 k8s 서비스 위치
12577정성태3/26/202119048개발 환경 구성: 559. Docker Desktop for Windows 기반의 Kubernetes 구성 - WSL 2 인스턴스에 kind 도구로 k8s 클러스터 구성
12576정성태3/25/202117135개발 환경 구성: 558. Docker Desktop for Windows에서 DockerDesktopVM 기반의 Kubernetes 구성 (2) - k8s 서비스 위치
12575정성태3/24/202115738개발 환경 구성: 557. Docker Desktop for Windows에서 DockerDesktopVM 기반의 Kubernetes 구성 [1]
12574정성태3/23/202121330.NET Framework: 1030. C# Socket의 Close/Shutdown 동작 (동기 모드)
12573정성태3/22/202118721개발 환경 구성: 556. WSL 인스턴스 초기 설정 명령어 [1]
12572정성태3/22/202117943.NET Framework: 1029. C# - GC 호출로 인한 메모리 압축(Compaction)을 확인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571정성태3/21/202115979오류 유형: 706. WSL 2 기반으로 "Enable Kubernetes" 활성화 시 초기화 실패 [1]
12570정성태3/19/202121340개발 환경 구성: 555. openssl - CA로부터 인증받은 새로운 인증서를 생성하는 방법
12569정성태3/18/202121673개발 환경 구성: 554. WSL 인스턴스 export/import 방법 및 단축 아이콘 설정 방법
12568정성태3/18/202114985오류 유형: 705. C# 빌드 - Couldn't process file ... due to its being in the Internet or Restricted zone or having the mark of the web on the file.
12567정성태3/17/202117089개발 환경 구성: 553. Docker Desktop for Windows를 위한 k8s 대시보드 활성화 [1]
12566정성태3/17/202116964개발 환경 구성: 552. Kubernetes - kube-apiserver와 REST API 통신하는 방법 (Docker Desktop for Windows 환경)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