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11. HttpContext의 간략이해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3475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다음은 제가 "microsoft.public.kr.dotnet.asp"에 올렸던 답변 내용입니다.

-----------------------------------------------------------------------


1. 우선, asp.net의 동작 구조에 대한 이해가 있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http://msdn.microsoft.com/msdnmag/issues/02/09/httppipelines/

Context라는 것이 보통 "문맥"으로 해석이 되는데요.
가끔 그 말이 별로인 것 같으면서도 어떻게 다른 말로 해석이 좀 모호하더라고요.
어쨌든, asp.net pipeline 구조에서 "하나의 요청"이 발생해서 끝날 때까지
"하나의 문맥"이 따라다닌다고 보시면 됩니다.
때로는 그 요청에 대해서 유일한 일종의 "저장소"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global.asax에서 BeginRequest 이벤트에서 들어오는 모든 Http
요청 중에 IP가 "192"로 시작하는 것이 있다면 이후의 aspx.cs 안에 있는 페이지
개체에서 별도의 처리를 하고 싶은 경우....

------ global.asax -------
BeginRequest()
{
   if ( Request.ServerVariables[ "클라이언트_주소_쿼리하는_변수명" ].Find(
"192" ) == -1 )
   {
       HttpContext.Current[ "realm" ] = "external";
   } else {
       HttpContext.Current[ "realm" ] = "internal";
   }
}


------- testForm.aspx.cs -----
void Page_Load()
{
    if ( HttpContext.Current[ "realm" ] == "internal" )
    {
    }
}

위와 같은 식으로 처리하면 될 것입니다. 위에서 말했던 것처럼 A 요청이 최초
들어올 때에 해당 요청에 따라붙는 HttpContext 개체가 생기고 그 요청에 대한
처리가 모두 끝날 때 해당 HttpContext 개체는 수명을 다하게 됩니다.

Context라는 말은 다른 곳에서도 비슷하게 쓰이고 있죠. 트랜잭션 Context에
보면, GetObjectContext로 해당 트랜잭션의 문맥 개체를 얻어내는 데, 그
문맥 개체에는 트랜잭션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들어있습니다.


2. 둘 다 동일한 것입니다.
Context.User.Identity...라고 쓰는 것은 해당 Page 개체나 ascx 개체의
공용변수로 Context를 노출해주기 때문에 그렇게 쓸 수 있는 거죠. 하지만, 그
Context 공용 변수 정의를 보게 되면, System.Web.HttpContext.Current를
반환하도록 하고 있을 겁니다. 한번 확인해 보세요. ^^

--
======= (c) .NETXpert ==========
url : http://www.dotnetxpert.com
eml : kevin@dotnetxpert.com
msn: kevin025@magicn.com

MCSD.NET
==============================

"DotNetMania" <kmh7453@msn.com> wrote in message
news:#Vg8QfBlEHA.3520@tk2msftngp13.phx.gbl...
> 1
> 먼저 httpContext 라는게 모든개별 http요청에 관련정보를 캡슐화한다고
> 하는데..이 말이 이해가 안갑니다.
> 어떠한 http요청을 말하는건지...좀 설명부탁드리구요..
>
> 2
> System.Web.HttpContext context = System.Web.HttpContext.Current;
> context.User.Identity.Name;
>
> 이렇게 사용하는거랑
>
> Context.User.Identity.Name;
>
> 달랑 이렇게 사용하는거랑 무슨차이인가요?
>
>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02정성태12/21/201125988오류 유형: 144. The database '...' cannot be opened because it is version 661.
1201정성태12/14/201141064디버깅 기술: 47. .NET Reflector를 이용한 "소스 코드가 없는" 어셈블리 디버깅 [4]
1200정성태12/11/201126943디버깅 기술: 46. Windbg 확장 DLL 만들기 (2) - Debugger Extension API 사용파일 다운로드1
1199정성태12/11/201128333VC++: 55. JNI DLL 컴파일 시 x86과 x64의 Export된 함수의 이름이 왜 다를까요? [2]파일 다운로드1
1198정성태12/9/201132116디버깅 기술: 45. Windbg 확장 DLL 만들기 (1) - 스레드를 강제 종료시키는 명령어 [2]파일 다운로드1
1197정성태12/9/201129880.NET Framework: 282. Shader 강좌와 함께 배워보는 XNA Framework (2) - RenderMonkey의 Shader/Model 파일 연동파일 다운로드2
1196정성태12/9/201133090.NET Framework: 281. Shader 강좌와 함께 배워보는 XNA Framework (1) - 기초 프로그램 구조 [3]파일 다운로드2
1195정성태12/8/201147749오류 유형: 143. DXSDK_Jun10.exe 설치 시 "Error Code: S1023" 오류 해결하는 방법 [4]
1194정성태12/8/201135515개발 환경 구성: 137. Visual C++ 런타임 구성요소에 대한 디버그 버전 설치하는 방법
1193정성태12/8/201122573오류 유형: 142. Windows Phone SDK 7.1 설치 시 Expression Blend 제거를 요구하는 경우
1192정성태12/8/201125592개발 환경 구성: 136. Windows 7 SP1의 IIS에서 사용자 프로파일을 로드하는 방법
1191정성태12/6/201126690.NET Framework: 280. MVC3에서 JavaScriptSerializer 재정의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90정성태12/6/201129878오류 유형: 141. Visual C++ 컴파일 오류 - error C2275: 'xxxxx' : illegal use of this type as an expression [1]
1189정성태12/6/201136963VS.NET IDE: 70. Visual Studio에서 프로젝트 로드가 안된다면?
1188정성태12/3/201126072개발 환경 구성: 135. 마이크로소프트 TFS 호스팅 서비스 - Preview [3]
1187정성태12/2/201130709개발 환경 구성: 134. Robocopy 오류 및 종료 코드
1186정성태12/1/201132545.NET Framework: 279. WPF - 그리기 성능 및 Blurring 문제파일 다운로드1
1185정성태11/29/201123353.NET Framework: 278. WPF - Content의 Changed 이벤트에 해당하는게 뭔가요?파일 다운로드1
1184정성태11/29/201126145.NET Framework: 277. F#과 WPF가 어울리지 못하는 근본적인 이유 [2]
1183정성태11/26/201121621오류 유형: 140. Visual Studio 2010 - Floating된 에디트 윈도우가 사라지지 않는 경우 [2]
1182정성태11/25/201157362.NET Framework: 276. 중복 없는 숫자를 랜덤으로 배열하는 방법 [5]파일 다운로드1
1181정성태11/24/201127824디버깅 기술: 44. windbg의 mscordacwks DLL 로드 문제
1180정성태11/23/201137640.NET Framework: 275. 레지스트리 등록 및 Interop DLL 없이 COM 개체 사용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179정성태11/22/201128238.NET Framework: 274. ReaderWriterLockSlim은 언제 쓰는 걸까요? [4]파일 다운로드1
1178정성태11/19/201124714.NET Framework: 273. 설치된 .NET 버전에 민감한 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다중으로 어셈블리를 만들어야 할까요?파일 다운로드1
1177정성태11/18/201129981.NET Framework: 272. 소켓 연결 시간 제한 - 두 번째 이야기 [1]파일 다운로드1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