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59. WPF - XAML 로딩 시 Visual Studio 비정상 종료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30540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WPF - XAML 로딩 시 Visual Studio 비정상 종료


예전 Visual C++의 대화창 디자인 폼과 비교해 보면, 요즘의 WinForm/WPF 디자이너는 대단한 발전을 한 셈이죠. Visual C++이야 뭐, 리소스 파일에 있는 대화창 관련 텍스트 내용을 읽어서 화면에 표시하고 다시 그 정보를 리소스 파일에 텍스트로 써 넣는 역할만을 담당했었지만. WinForm/WPF는 "코드" 자체를 실행시켜서 디자인 화면에 뿌려주고 있기 때문에 실행 시와 유사한 디자인 화면을 제공해 주고 있습니다.

그런데.

꼭 이것이 좋은 것만은 아닙니다. "코드"를 실행한 결과를 디자이너에 반영하기 때문에 실제 런타임 시의 화면을 최대한 잘 반영할 수 있는 반면, 그 반대로 코드 내부에 "(논리) 버그"가 있는 경우, 원인 모를 현상에 시달릴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최근 제가 경험했던 것을 예로 들면.

Visual Studio 2008에서, XAML 페이지를 로딩만 하면 그 즉시 VS 2008이 종료되어 버렸습니다. 흔하디 흔한 예외 상자도 뛰우지 않고, 단지 이벤트 로그에 아래와 같은 내용만을 뿌릴 뿐이었습니다.

.NET Runtime version 2.0.50727.3053 - Fatal Execution Engine Error (6AD90F92) (0)

Faulting application devenv.exe, version 9.0.30729.1, 
time stamp 0x488f2b50, faulting module kernel32.dll, version 6.0.6001.18000, 
time stamp 0x4791a76d, exception code 0xe053534f, 
fault offset 0x000442eb, process id 0xab4, application start time 0x01c92cce5378d099.

Watson 버킷 정보가 친절하게도 풀이되어서 나오고 있긴 한데. 그것뿐, 더 이상 추적할 만한 단서가 없었습니다. 예외 코드 "0xe053534f"의 오류 정보가 매우 애매합니다. 웹 검색을 해보면, "Software unknown exception"이라는 것이 전부이고, "SSCLI20"에 공개된 .NET Framework 소스 코드에 달랑 상수로 정의된 것이 전부입니다.

#define EXCEPTION_SOFTSO  0xe053534f    
    // 0xe0000000 | 'SSO'
    // We can not throw internal C++ exception through managed frame.
    // At boundary, we will raise an exception with this error code

도저히 모르겠습니다. ^^;

어쨌든, 범위를 좁힐 수 있는 것이라고는 디자이너가 "코드"를 사용한다는 것뿐이 없기 때문에 XAML 파일의 구조를 열심히 뜯어보기 시작했습니다.

과연, 심각한 문제가 있긴 했습니다.

xaml의 데이터 바인딩에 사용되는 StaticResource의 특정 이름을 풀이해 주기 위해서 집어 넣었던 것이 위의 예외를 발생시킨 원인이었습니다.

간단하게 코드를 보면,

===== 문제의 XAML 페이지에 대한 cs 코드 파일 ====
public  partial class UserControlBase : UserControl
{         
    public UserControlBase()
    {
        if (DesignerProperties.GetIsInDesignMode(this))
        {
            this.Resources.Add("MyComboBox", new TestApp.MyComboBox());
        }
    }
}

===== TestApp.MyComboBox의 정의 ====
public MyComboBox : UserControlBase
{
    ... [생략]...
}

대강 아시겠죠? ^^

WPF 디자이너가 XAML 페이지를 로드하고 있는데, UserControlBase라는 생성자를 실행하면서 다시 MyComboBox를 생성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MyComboBox가 다시 UserControlBase를 상속 받고 있다는 것.

그로 인해 무한 객체 생성이 시작되어, 위의 XAML 페이지를 디자이너로 불러들이면 잠시 동안의 CPU 100% 현상을 거쳐서 Visual Studio가 비정상 종료해버리는 원인을 가져온 것입니다. 이것으로 문제 파악 끝!

끝으로 한마디!
만약, 여러분들의 WPF 디자이너가 어느 순간부터 비정상 종료를 시작했다면... 코드를 한번 살펴 보시기 바랍니다. ^^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10/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08-10-18 10시10분
kevin25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035정성태8/29/201622473오류 유형: 354. .NET Reflector - PDB 생성 화면에서 "Clear Store"를 하면 "Index and length must refer to a location within the string" 예외 발생
11034정성태8/25/201626568개발 환경 구성: 296. .NET Core 프로젝트를 NuGet Gallery에 배포하는 방법 [2]
11033정성태8/24/201624631오류 유형: 353. coreclr 빌드 시 error C3249: illegal statement or sub-expression for 'constexpr' function
11032정성태8/23/201623808개발 환경 구성: 295. 최신의 Visual C++ 컴파일러 도구를 사용하는 방법 [1]
11031정성태8/23/201619654오류 유형: 352. Error encountered while pushing to the remote repository: Response status code does not indicate success: 403 (Forbidden).
11030정성태8/23/201623239VS.NET IDE: 111. Team Explorer - 추가한 Git Remote 저장소가 Branch에 보이지 않는 경우
11029정성태8/18/201630652.NET Framework: 602. Process.Start의 cmd.exe에서 stdin만 redirect 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028정성태8/15/201623094오류 유형: 351. Octave 설치 시 JRE 경로 문제
11027정성태8/15/201625235.NET Framework: 601. ElementHost 컨트롤의 메모리 누수 현상
11026정성태8/13/201626441Math: 19. 행렬 연산으로 본 해밍코드
11025정성태8/12/201625746개발 환경 구성: 294. .NET Core 프로젝트에서 "Copy to Output Directory" 처리 [1]
11024정성태8/12/201624453오류 유형: 350. "nProtect GameMon" 실행 중에는 Visual Studio 디버깅이 안됩니다! [1]
11023정성태8/10/201625976개발 환경 구성: 293. Azure 구독 후 PaaS 서비스 만들어 보기
11022정성태8/10/201626791개발 환경 구성: 292. Azure Cloud Service 배포시 사용자 정의 작업을 추가하는 방법
11021정성태8/10/201624005오류 유형: 349. System.Runtime.Remoting.RemotingException - Type '..., ..., Version=...,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null' is not registered for activation [2]
11020정성태8/10/201626798VC++: 98. 원본과 대상 버퍼가 같은 경우 memcpy, wmemcpy 주의점
11019정성태8/10/201643516기타: 60. 도서: 시작하세요! C# 6.0 프로그래밍: 기본 문법부터 실전 예제까지 (2쇄 정오표)
11018정성태8/9/201627505.NET Framework: 600. 단일 메서드 내에서의 할당으로 알아보는 자바와 닷넷의 GC 차이점 [1]
11017정성태8/9/201628301웹: 33. HTTP 쿠키에 한글 값을 설정하는 방법
11016정성태8/7/201626883개발 환경 구성: 291. Windows Server Containers 소개
11015정성태8/7/201625334오류 유형: 348. Windows Server 2016 TP5에서 Windows Containers의 docker run 실행 시 encountered an error during Start failed in Win32
11014정성태8/6/201625848오류 유형: 347. Hyper-V Virtual Machine Management service Account does not have permission to open attachment
11013정성태8/6/201636728개발 환경 구성: 290. Windows 10에서 경험해 보는 Windows Containers와 docker [4]
11012정성태8/6/201626921오류 유형: 346. Windows 10에서 Windows Containers의 docker run 실행 시 encountered an error during CreateContainer failed in Win32 발생
11011정성태8/6/201628135기타: 59. outlook.live.com 메일 서비스의 아웃룩 POP3 설정하는 방법
11010정성태8/6/201624856기타: 58. Outlook에 설정한 SMTP/POP3(예:천리안 메일) 계정 암호를 잊어버린 경우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