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60. System.Management.ManagementException - Generic failure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5631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System.Management.ManagementException - Generic failure


문제는 간단합니다. 그동안 잘 되었던 TimeZone을 바꾸는 WMI 코드가 Vista SP1 설치 이후 "Generic failure"라는 오류를 내기 시작한 것입니다. 오류 메시지는 아래와 같이 간단합니다.

System.Management.ManagementException was caught
  Message="Generic failure "
  Source="System.Management"
  StackTrace:
       at System.Management.ManagementException.ThrowWithExtendedInfo(ManagementStatus errorCode)
       at System.Management.ManagementObject.Put(PutOptions options)
       at System.Management.ManagementObject.Put()
       at WpfApplication1.Window1.SetTimeZoneOffset(...) in D:\...\Window1.xaml.cs:line 103
       at WpfApplication1.Window1..ctor() in D:\...\Window1.xaml.cs:line 122
  InnerException: 

TimeZone을 바꾸는 WMI 소스 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저 역시 ^^; 웹에서 떠도는 소스 코드를 사용한 것입니다.)

public static bool SetTimeZoneOffset(string machineName, string userId, string userPassword, TimeSpan utcOffset)
{
    ConnectionOptions co = new ConnectionOptions();

    if (userId != null && userId.Trim().Length != 0)
    {
        co.Username = userId;
        co.Password = userPassword;
    }

    ManagementScope ms = new ManagementScope("\\\\" + machineName + "\\root\\cimv2", co);
    ms.Connect();

    ObjectQuery query = new ObjectQuery("SELECT * FROM Win32_ComputerSystem");
    ManagementObjectSearcher searcher = new ManagementObjectSearcher(ms, query);

    using (ManagementObjectCollection resultado = searcher.Get())
    {
        foreach (ManagementObject mo in resultado)
        {
            mo.SetPropertyValue("CurrentTimeZone", utcOffset.TotalMinutes);
            mo.Put(); <======= 예외 발생
            return true;
        }
    }

    return false;
}

위의 코드가 워낙 간단해서, 별다른 정보를 찾을 수 있는 단서도 없고,,, 마냥 웹 검색을 해 봐도 별다른 해법을 찾을 수가 없었습니다. 그래도, 중요한 사실은 해당 코드가 이전에는 분명히 정상적으로 실행되었다는 사실! 아마도 그렇다면 이거저거 설정을 변경시켜 보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ManagementScope에 대해 여러 가지 속성이나 메서드를 조정해 보았습니다. 결국, ^^ 알아냈지요.

다음과 같이 특권 설정을 가능하게 해줘야만 했습니다.

ManagementScope ms = new ManagementScope("\\\\" + machineName + "\\root\\cimv2");
ms.Options.EnablePrivileges = true;
ms.Connect();

잘 모르시는 분들이 많겠지만, Vista부터는 기존 Time 설정뿐만 아니라 TimeZone 관련해서도 특권(Privilege)이 별도로 추가되었습니다. 그래서 gpedit.msc를 통해서 확인해 보면, 아래와 같이 "Change the time zone" 관련해서 특권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림 1: Vista - Time zone 설정 특권]
change_timezone_privilege_1.png

물론, "ms.Options.EnablePrivileges = true"를 설정하는 방법 이외에, 아예 "AdjustTokenPrivileges" Win32 API를 사용해서 명시적으로 "SeTimeZonePrivilege" 특권을 지정해도 역시 시간대 설정이 정상적으로 동작합니다.

이것으로 이번에도 역시 문제 해결 끝! ^^




팁 한 가지.

이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웹 검색을 좀 했는데요. 간혹 WMI 관련 오류가 WMI 환경 값들이 정상적이지 않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다는데, 그런 경우 초기화를 시킬 수 있는 방법을 알게 되었습니다.

JSI Tip 5281. Windows XP reports that Windows Management Instrumentation (WMI) might be corrupted?
; http://windowsitpro.com/article/articleid/76586/jsi-tip-5281-windows-xp-reports-that-windows-management-instrumentation-wmi-might-be-corrupted.html

방법은 간단합니다. WMI 서비스를 중지시키고, "%SystemRoot%\System32\Wbem\Repository" 폴더의 파일들을 모두 지운 후 시스템을 재시작하면 된다고 하는군요. 실제로 따라서 해봤는데, 삭제되었던 Repository 폴더의 파일들이 그대로 안전하게 복원되었습니다.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26/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08-10-18 11시50분
참고로, TimeZone 관련 레지스트리 :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Time Zones
kevin25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2904정성태4/27/201527082DDK: 6. ZwTerminateProcess로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Device Driver 프로그램 [2]파일 다운로드1
2903정성태4/20/201520556Windows: 110. (무료) 마이크로소프트 온라인 강좌 소개 - Azure에서 제공하는 계정 관리 서비스
2902정성태4/16/201526518Windows: 109. (무료) 마이크로소프트 온라인 강좌 소개 - Active Directory 이해
2901정성태4/15/201523118Windows: 108. (무료) 마이크로소프트 온라인 강좌 소개 - Windows Server 2012 R2 주요 기술 (Hyper-V 관점)
2900정성태3/24/201522178오류 유형: 279. robocopy 오류 - The file cannot be accessed by the system [4]
2899정성태3/24/201530281개발 환경 구성: 264. Visual Studio 2013 솔루션을 2015로 마이그레이션
2898정성태3/24/201520869개발 환경 구성: 263. SharePoint 2013을 Windows Server 2012 R2에 설치
2897정성태3/18/201519534오류 유형: 278. LoadLibrary("...") failed - Invalid access to memory location.
2896정성태3/18/201519683VC++: 90. Visual Studio 2013에서 Visual Basic 6용 ATL Control 제작
2895정성태3/18/201522746VC++: 89. Visual Studio 2015 - auto 반환 타입 및 thread_local 예약어 지원(C++ 11 표준) [2]
2894정성태3/18/201521016.NET Framework: 509. ELEMENT_TYPE_MODIFIER의 조합
2893정성태3/18/201521101오류 유형: 277. command line error MIDL1004: cannot execute C preprocessor cl.exe
2892정성태3/17/201525977오류 유형: 276. robocopy - Logon failure: unknown user name or bad password.
2891정성태3/17/201542097개발 환경 구성: 262. Visual Basic 6 (Enterprise Edition)을 Windows 7 x86에 설치하는 방법 [1]
2890정성태3/17/201524453오류 유형: 275. Internet Explorer - This page can't be displayed
2889정성태3/17/201525112Windows: 107. (2015-03-12) 업데이트 이후 작업 표시줄 또는 탐색기의 반응이 느려지는 문제 [1]
2888정성태3/17/201523142.NET Framework: 508. Visual Studio 빌드 - fatal error C1033: cannot open program database ''
2887정성태3/13/201520369.NET Framework: 507. CoreFx 빌드하는 방법
2886정성태3/13/201522128오류 유형: 274. CoreFx, CoreCLR 빌드 시 "error CS0518: Predefined type 'System.Object' is not defined or imported" 오류 해결 방법
2885정성태3/13/201533470VS.NET IDE: 99. Visual Studio는 2019는 32비트, 2022부터 64비트 버전입니다. [2]
2884정성태3/12/201526764.NET Framework: 506. .NETCore = CoreFX + CoreCLR [5]
2883정성태3/10/201523889.NET Framework: 505. OpenCover 소스 코드 분석을 Visual Studio 2013에서 하는 방법 [1]
2882정성태3/10/201522795.NET Framework: 504. OpenCover 코드 커버리지 도구의 동작 방식을 통해 살펴보는 Calli IL 코드 사용법
2881정성태3/9/201523293개발 환경 구성: 261. OpenCover 오픈 소스를 이용한 .NET 코드 커버리지(Code coverage)
2880정성태3/7/201521566개발 환경 구성: 260. C# Code Coverage 도구 - Semantic Designs 소개
2879정성태3/3/201526578개발 환경 구성: 259. Visual Studio 없이 Visual C++ 컴파일하는 방법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