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106. WCF - 다중 서비스 호스트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1590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WCF - 다중 서비스 호스트


가끔, 이에 대해서 물어보는 경우가 있어서 차후 반복되는 답변을 위해서 미리 써볼까 합니다. (사실, 그다지 기술적인 팁은 아니지만.)

먼저, 대강 WCF 서비스를 만드는 방법을 훑어 볼까요!

WCF 서비스를 위해서는 대체로 2개의 클래스/인터페이스가 필요합니다. 먼저, 아래와 같이 ServiceContract를 만들고,

[ServiceContract]
public interface IServiceA
{
    [OperationContract]
    string GetServiceName();
}

그다음, 당연히 이에 대한 구현 클래스를 만들어야죠.

[ServiceBehavior]
public class ServiceAImp : IServiceA
{
    public string GetServiceName()
    {
        return "ServiceA";
    }
}

이렇게 마련되면, 다음과 같이 서비스 호스팅을 하게 되지요.

public partial class Form1 : Form
{
    ServiceHost aHost;

    public Form1()
    {
        InitializeComponent();
    }

    private void Form1_Load(object sender, EventArgs e)
    {
        aHost = new ServiceHost(typeof(ServiceAImp));
        aHost.Open();
    }

    private void Form1_FormClosed(object sender, FormClosedEventArgs e)
    {
        aHost.Close();
    }
}




일단, 서비스 하나는 위와 같이 정의를 해서 호스팅을 하는 상태에서, 별도로 다른 서비스를 정의하려면 역시나 다음과 같이 ServiceContract 클래스와 ServiceBehavior 클래스를 추가해 주는 것으로 시작할 수 있습니다.

[ServiceContract]
public interface IServiceB
{
    [OperationContract]
    string GetServiceName();
}

[ServiceBehavior]
public class ServiceBImp : IServiceB
{
    public string GetServiceName()
    {
        return "ServiceB";
    }
}

질문을 하시는 분들 중에 대부분이 위와 같은 정도로 정의를 해놓고 더 이상 어찌할 바를 모릅니다. 그렇죠! 방법은 의외로 간단합니다. 별도의 ServiceHost를 하나 더 정의해서 추가해 주면 되는 것입니다.

public partial class Form1 : Form
{
    ServiceHost aHost;
    ServiceHost bHost;

    public Form1()
    {
        InitializeComponent();
    }

    private void Form1_Load(object sender, EventArgs e)
    {
        aHost = new ServiceHost(typeof(ServiceAImp));
        aHost.Open();
        bHost = new ServiceHost(typeof(ServiceBImp));
        bHost.Open();
    }

    private void Form1_FormClosed(object sender, FormClosedEventArgs e)
    {
        aHost.Close();
        bHost.Close();
    }
}

간단하지요. ^^

물론, app.config에 추가되는 서비스 관련 환경 설정도 ServiceA에서 해주는 것과 동일하게 ServiceB도 추가해 주면 됩니다. 물론, 서비스끼리 포트를 공유해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system.serviceModel>
    <services>
        <!-- Service A -->
        <service behaviorConfiguration="ServiceAHost.ServiceBehavior"
                name="ServiceHostWinApp.ServiceAImp">
            <host>
                <baseAddresses>
                    <add baseAddress="http://localhost:24000/ServiceA" />
                    <add baseAddress="net.tcp://localhost:24001/" />
                </baseAddresses>
            </host>
            <endpoint address="ServiceA" binding="netTcpBinding" bindingConfiguration="ServiceA_TcpBinding"
                      contract="ServiceHostWinApp.IServiceA" />
            <endpoint address="mex" binding="mexHttpBinding" contract="IMetadataExchange" />
        </service>

        <!-- Service B -->
        <service behaviorConfiguration="ServiceBHost.ServiceBehavior"
                name="ServiceHostWinApp.ServiceBImp">
            <host>
                <baseAddresses>
                    <add baseAddress="http://localhost:24000/ServiceB" />
                    <add baseAddress="net.tcp://localhost:24001/" />
                </baseAddresses>
            </host>
            <endpoint address="ServiceB" binding="netTcpBinding" bindingConfiguration="ServiceB_TcpBinding"
                      contract="ServiceHostWinApp.IServiceB" />
            <endpoint address="mex" binding="mexHttpBinding" contract="IMetadataExchange" />
        </service>
    </services>
    
    .... [중간 생략] ....
</system.serviceModel>

baseAddress 설정에서 http 부분에 대해서는 별도로 "ServiceA", "ServiceB"를 붙였는데요. 왜냐하면, mex 기능이 해당 baseAddress를 기준으로 그대로 "mex"만을 붙여서 endpoint를 정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2개의 endpoint가 "http://localhost:24000/mex"라고 겹치기 때문에 중간에 그것을 구분해주는 서비스 명을 넣은 것입니다.

반면에, net.tcp에서는 그냥 "net.tcp://localhost:24001/"에서 마무리 지었지요. 그 대신, 각각의 서비스마다 "endpoint" 설정을 두어서 address에 "ServiceA", "ServiceB"를 추가해 놓은 것입니다. 만약 endpoint의 address 값을 공백 문자열로 주었다면 baseAddress에서부터 서비스를 구분하는 문자열을 두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첨부된 파일은 위의 내용들을 반영한 간단한 예제 프로젝트입니다.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8/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78정성태11/22/201231576Java: 14. 안드로이드 - Hello World 실습 [7]
1377정성태11/19/201224981.NET Framework: 344. 닷넷 프로파일러 - ICorProfilerInfo::GetILFunctionBody 함수 버그
1376정성태11/15/201230209디버깅 기술: 51. 닷넷 응용 프로그램에서 특정 예외가 발생했을 때 풀 덤프 받는 방법 [6]
1375정성태11/15/201225979디버깅 기술: 50. windbg의 mscordacwks DLL 로드 문제 - 두 번째 이야기
1374정성태11/13/201224037개발 환경 구성: 175. Visual Studio의 "Extension Manager"에서 설치된 구성 요소들의 제거 버튼이 비활성화되었다면!
1373정성태11/13/201224578.NET Framework: 343. VB.NET 어셈블리의 .NET Reflector 소스 코드를 분석할 때 알아두면 좋은 사항
1372정성태11/1/2012119430Windows: 67. 64비트 윈도우에서 Internet Explorer 10이 항상 64비트로만 실행된다면? [57]
1371정성태10/31/201227038.NET Framework: 342. Python의 zip과 with 문 context를 C#과 비교하면. [3]파일 다운로드1
1370정성태10/31/201222330VS.NET IDE: 75. Visual Studio - "Active Solution Platform" 변경을 툴바에서 하는 방법
1369정성태10/31/201235680개발 환경 구성: 174. 윈도우에서 Mono 개발 환경 구성 [4]
1368정성태10/31/201226946개발 환경 구성: 173. Windows Phone SDK 8.0 설치
1367정성태10/30/201234731개발 환경 구성: 172. IIS 7.5부터 지원되는 웹 사이트 자동 시작 모드 [1]
1366정성태10/24/201226038개발 환경 구성: 171. GTK+를 윈도우 환경에 수작업 설치
1365정성태10/24/201224909개발 환경 구성: 170. 우분투 데스크톱 Active Directory 가입하기 [2]
1364정성태10/19/201221305Windows: 66. Hyper-V 2012에서 별도의 네트워크 카드를 이용한 Live Migration
1363정성태10/16/201228746개발 환경 구성: 169. Objective-C의 대안 - Xamarin의 Mono를 이용한 C# iOS 개발 환경 [2]
1362정성태10/16/201229078개발 환경 구성: 168. 우분투 서버 Active Directory 가입하기
1361정성태10/12/201222488.NET Framework: 341. .NET COM+ 를 Managed/Native 클라이언트에서 각각 호출했을 때의 콜 스택 비교 [4]파일 다운로드1
1360정성태10/9/201226841.NET Framework: 340. Windows Server 2012 - .NET Framework 1.x 미지원
1359정성태10/9/201263161Windows: 65. 윈도우 8 - Internet Explorer 10을 32비트 또는 64비트로 통합 [5]
1358정성태9/27/201226287.NET Framework: 339. .NET Profiler 주의 사항 - 하나의 exe 프로세스 내에 다중 .NET 런타임 사용
1357정성태9/27/201223417Windows: 64. Hyper-V - Windows XP의 Live Migration 오류
1356정성태9/26/201229511Windows: 63. 윈도우 서버 2012 - Hyper-V의 새로운 기능 Live Migration [6]
1355정성태9/21/201227514Team Foundation Server: 49. TFS 2012 Express의 필수 보완 작업: 데이터베이스 백업 [1]
1354정성태9/19/201224320.NET Framework: 338. .NET CLR GC 시간 측정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53정성태9/17/201225649.NET Framework: 337. Python의 생성기와 코루틴을 C#으로 표현하면. [2]파일 다운로드1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