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다음은 제가 "microsoft.public.vc.activex.templatelib" 에 올렸던 답변 내용입니다.

-----------------------------------------------------------------------

Using "ITypeLib", you can archive your purpose.

The tool named "OLE/COM Object Viewer" within VS.NET also show you "Type
Library" with "ITypeLib" interface.
As you know, the tool also show you the list of event.

Below, sample view of "ITypeLib Viewer" implemented by "OLE/COM Object
Viewer"

[
  uuid(9D44F1E2-F5AF-4E00-856F-DF7CE9E5FE1E),
  nonextensible
]
dispinterface _DIDocsServerEvent {
    properties:
    methods:
        [id(0x00000001)]
        void OnLoad([in] IDispatch* oEvent);
        [id(0x00000002)]
        void OnValueChanged();
        [id(0x00000003)]
        void OnRowIndexChanged([in] BSTR bindingXPath);
        [id(0x00000004)]
        void OnRepeatFocusChanged([in] unsigned long dwCookie);
        [id(0x00000005)]
        void OnForceViewChanged();
        [id(0x00000006)]
        void OnSubmitRequest([in] IDispatch* oEvent);
        [id(0x00000007)]
        void OnSwitchView([in] IDispatch* oEvent);
};

--
======= (c) .NETXpert ==========
url : http://www.dotnetxpert.com
eml : kevin@dotnetxpert.com
msn: kevin025@magicn.com

MCSD.NET
==============================

"Javier" <jfernandez@hotmail.com> wrote in message
news:ONfoT8MkEHA.3664@TK2MSFTNGP12.phx.gbl...
> Do you know if there is way to get the name of an event (as a wchar or
char
> *) from its DISPIP value ?
>
> Basically what I need is to get the name of the event that it is fired
> (Event Sink) given its ID.
>
> Thanks,
>
>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4/200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557정성태3/10/202119851Windows: 191. 탐색기의 보안 탭에 있는 "Object name" 경로에 LEFT-TO-RIGHT EMBEDDING 제어 문자가 포함되는 문제
12556정성태3/9/202116705오류 유형: 703. PowerShell ISE의 Debug / Toggle Breakpoint 메뉴가 비활성 상태인 경우
12555정성태3/8/202121486Windows: 190. C# - 레지스트리에 등록된 DigitalProductId로부터 라이선스 키(Product Key)를 알아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2
12554정성태3/8/202120649.NET Framework: 1027. 닷넷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PDB 옵션 - full, pdbonly, portable, embedded
12553정성태3/5/202119012개발 환경 구성: 548. 기존 .NET Framework 프로젝트를 .NET Core/5+ 용으로 변환해 주는 upgrade-assistant, try-convert 도구 소개 [4]
12552정성태3/5/202119358개발 환경 구성: 547. github workflow/actions에서 Visual Studio Marketplace 패키지 등록하는 방법
12551정성태3/5/202118276오류 유형: 702. 비주얼 스튜디오 - The 'CascadePackage' package did not load correctly. (2)
12550정성태3/5/202118076오류 유형: 701. Live Share 1.0.3713.0 버전을 1.0.3884.0으로 업데이트 이후 ContactServiceModelPackage 오류 발생하는 문제
12549정성태3/4/202119885오류 유형: 700. VsixPublisher를 이용한 등록 시 다양한 오류 유형 해결책
12548정성태3/4/202121076개발 환경 구성: 546. github workflow/actions에서 nuget 패키지 등록하는 방법
12547정성태3/3/202121484오류 유형: 699. 비주얼 스튜디오 - The 'CascadePackage' package did not load correctly.
12546정성태3/3/202121919개발 환경 구성: 545. github workflow/actions에서 빌드시 snk 파일 다루는 방법 - Encrypted secrets
12545정성태3/2/202124422.NET Framework: 1026. 닷넷 5에 추가된 POH (Pinned Object Heap) [10]
12544정성태2/26/202125033.NET Framework: 1025. C# - Control의 Invalidate, Update, Refresh 차이점 [2]
12543정성태2/26/202122009VS.NET IDE: 158. C# - 디자인 타임(design-time)과 런타임(runtime)의 코드 실행 구분
12542정성태2/20/202123629개발 환경 구성: 544. github repo의 Release 활성화 및 Actions를 이용한 자동화 방법 [1]
12541정성태2/18/202121659개발 환경 구성: 543. 애저듣보잡 - Github Workflow/Actions 소개
12540정성태2/17/202123392.NET Framework: 1024. C# - Win32 API에 대한 P/Invoke를 대신하는 Microsoft.Windows.CsWin32 패키지
12539정성태2/16/202122902Windows: 189. WM_TIMER의 동작 방식 개요파일 다운로드1
12538정성태2/15/202123708.NET Framework: 1023. C# - GC 힙이 아닌 Native 힙에 인스턴스 생성 - 0SuperComicLib.LowLevel 라이브러리 소개 [2]
12537정성태2/11/202122350.NET Framework: 1022. UI 요소의 접근은 반드시 그 UI를 만든 스레드에서! - 두 번째 이야기 [2]
12536정성태2/9/202121500개발 환경 구성: 542. BDP(Bandwidth-delay product)와 TCP Receive Window
12535정성태2/9/202121022개발 환경 구성: 541. Wireshark로 확인하는 LSO(Large Send Offload), RSC(Receive Segment Coalescing) 옵션
12534정성태2/8/202122012개발 환경 구성: 540. Wireshark + C/C++로 확인하는 TCP 연결에서의 closesocket 동작 [1]파일 다운로드1
12533정성태2/8/202119635개발 환경 구성: 539. Wireshark + C/C++로 확인하는 TCP 연결에서의 shutdown 동작파일 다운로드1
12532정성태2/6/202122141개발 환경 구성: 538.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ReceiveBufferSize(SO_RCVBUF), SendBufferSize(SO_SNDBUF) [3]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