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114. WPF 이벤트에 속한 핸들러 확인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4598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4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3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113. 이벤트에 속한 이벤트 핸들러 확인
; https://www.sysnet.pe.kr/2/0/618

디버깅 기술: 21. 올바른 이벤트 예외 정보 출력
; https://www.sysnet.pe.kr/2/0/620

.NET Framework: 114. WPF 이벤트에 속한 핸들러 확인
; https://www.sysnet.pe.kr/2/0/624





WPF 이벤트에 속한 핸들러 확인


지난 글에서, 이벤트에 걸려 있는 이벤트 핸들러 목록을 나열하는 방법을 알아봤습니다.

이벤트에 속한 이벤트 핸들러 확인
; https://www.sysnet.pe.kr/2/0/618

사실, 프로그래밍하는 방법까지 알아보긴 했지만 어차피 VS.NET IDE 안에서 디버거의 "Watch" 윈도우로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다지 코딩을 할 이유는 없습니다.

혹시, 그 글을 읽어보고 나서 WPF의 DO(Dependency Object) 개체들에서 제공하는 이벤트를 대상으로 핸들러 목록을 나열해 보신 분이 계실런지 모르겠습니다. 낌새로 아시겠지만, WPF DO 개체들이 제공하는 일반적인 이벤트에 대해서는 그 방법이 통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그 이벤트들은 내부적으로 Event add/remove 메서드를 사용자 정의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이런 식이죠.

[그림 1: 일반 이벤트 "TestEvent"와 사용자 정의 이벤트 "HiddenEvent"]
reflection_on_wpf_event_1.PNG

보시는 것처럼, "MyTest" 개체에 정의된 이벤트가 2가지가 있는 데 "TestEvent"의 경우에는 디버거의 "Watch" 윈도우 창에 정상적으로 핸들러가 보이고 있는 반면, add/remove를 지정해서 정의한 "HiddenEvent"의 경우에는 디버거도 정상적으로 핸들러를 찾아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당연히 add/remove가 정의된 이벤트는 컴파일러에 의해서 자동으로 추가되는 동일한 이름으로 된 "System.MulticastDelegate" 타입의 필드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그야말로, 사용자가 임의로 특정 내부 필드에 이벤트 핸들러(delegate)를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디버거가 임의로 그것을 발견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물론, WPF의 RoutedEvent는 모두 이런 식으로 정의되어 있기 때문에 디버거에서 해당 이벤트에 걸려 있는 이벤트 목록을 확인할 수 없음은 물론이고 위의 글에서 설명한 방식의 reflection 코드로도 나열할 수 없습니다.




자,,, 그럼 어떻게 해야 할까요? 그냥 포기할까요? ^^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add/remove에 정의된 코드를 직접 살펴보고 이벤트 핸들러를 정의한 내부 필드값을 열람하는 수밖에는 없습니다. 옛날 같으면, 이런 경우 어렵게 .NET Reflector를 사용해야 했지만, 닷넷 프레임워크 소스코드 디버깅 기능이 나온 이후로는 직접 VS.NET IDE 안에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의 글을 참고하세요.

VS.NET SP1 + .NET Framework 소스 코드 디버깅
; https://www.sysnet.pe.kr/2/0/623

그래서... 한번 찾아 들어가 보겠습니다. 환경을 갖춘 상태에서, 적당히 아무 이벤트 핸들러나 골라서 "+="가 들어간 코드에서 BP(Break Point)를 잡고 "F11 (Step Into)" 키를 눌러서 닷넷 코드 내부로 진입합니다. (참고로, 여기서 제가 예제로 한 이벤트 핸들러는 트리뷰의 "RequestBringIntoView" 이벤트입니다.)

처음, 진입을 하게 되면 아래와 같이 RequestBringIntoView 이벤트의 add/remove가 정의된 코드가 보입니다.

[그림 2: FrameworkElement.cs - RequestBringIntoView 이벤트 add/remove 코드]
reflection_on_wpf_event_2.PNG

정말 그렇죠? add/remove가 사용자 정의돼 있습니다. 이제 AddHandler 내부로 들어가게 되면,

[그림 3: UIElement.cs - AddHandler 코드]
reflection_on_wpf_event_3.PNG

보니까, EventHandlerStore라는 내부 Property의 AddRoutedEventHandler를 호출하고 있습니다. 딱 보니까, 그거 같죠. 실제로, "UIElement" 타입을 상속받은 타입의 인스턴스를 Reflection을 이용해서 확인해 보면, "EventHandlersStore"가 "Property"로 정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왠지 ^^ 거의 다 온 것 같죠!
이렇게 해서 다시 AddRoutedEventHandler 메서드 안으로 진입해 보면,

[그림 4: EventHandlerStore.cs - AddRoutedEventHandler 코드]
reflection_on_wpf_event_4.PNG

오호... 다음과 같은 코드가 눈에 띕니다.

FrugalObjectList<RoutedEventHandlerInfo> handlers = 
        (FrugalObjectList<RoutedEventHandlerInfo>)this[routedEvent];
if (handlers == null) 
{
    _entries[routedEvent.GlobalIndex] = handlers = new FrugalObjectList<RoutedEventHandlerInfo>(1); 
} 

handlers.Add(routedEventHandlerInfo);

그럼... 끝났군요. _entries가 그 답이니. 이제 위의 자료를 바탕으로 Reflection 코드만 만들어주면 WPF의 특정 이벤트에 걸린 이벤트 핸들러를 나열하는 코드를 만들 수 있습니다. (Reflection 코드가 사실, 기술적이라기보다는 단순 반복적인 코드가 많기 때문에 생략합니다.)

자세한 코드는 첨부된 프로젝트를 참조하십시오.




여기서 끝내려고 했는데, 위의 reflection 코드를 작성하면서 알게 된 사실 하나! ^^ Microsoft의 리스트를 관리하는 내부 코드가 참 재미있네요. 위에서 보면, "Frugal"이라는 수식어가 괜히 붙은 것이 아니었습니다.

예를 들어, 내부적으로 이벤트 핸들러 목록을 보관하는 필드인 "_listStore" 타입이 이벤트 핸들러의 갯수가 증가할 때마다 바뀝니다. 예를 들어, 이벤트 핸들러가 3개 이하인 경우에는,

[그림 5: ThreeItemList 타입]
reflection_on_wpf_event_7.PNG

6개 이하인 경우에는,

[그림 6: SixItemList 타입]
reflection_on_wpf_event_6.PNG

7개 이상인 경우에 그제서야 아래와 같이 ArrayItemList로 관리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림 7: ArrayItemList 타입]
reflection_on_wpf_event_5.PNG

사실, 단일 이벤트에 대해서 6개 이상의 핸들러가 걸릴 일은 많지 않기 때문에 첨부한 프로젝트의 코드에서는 ThreeItemList / SixItemList 타입을 기준으로 reflection 코드가 작성되어 있습니다. 물론, ArrayItemList로의 확장은 필요하시면 언제든지 코드를 추가하시면 되겠지요. ^^

휴... 새삼스럽게 한 번 더 느끼는 거지만, 물론 .NET Reflector로도 할 수 있는 일이라고는 해도 역시나 디버거 환경에서 하는 것이 훨씬 더 편하다는 것! ^^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7/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08-12-05 09시30분
[사이 ] 우와 완전 멋지네요. 내용도 좋지만 정책임님께서 차근 차근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나가는 단계가 참으로 인상적입니다.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
[guest]
2008-12-05 10시27분
문제 해결 단계를 생략하면, 저도 나중에 잊어버리기 때문에 ^^; 같이 기록을 해두는 것입니다. 그럼... 이걸로 "사이"님 과 "anyflow" 님의 요청 사항은 마무리 되었다는.
kevin25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92정성태6/1/200616277VC++: 21. Visual C++ struct와 class의 차이점
189정성태4/13/200623992VC++: 20. ActiveX CAB 파일 오류 유형 - 파일을 대상 디렉터리로 복사할 수 없음. [6]
187정성태11/24/200518287VS.NET IDE: 35. VS.NET 2005 IDE Tip - 2번째 : XML / XSL 지원 강화
186정성태11/23/200515857.NET Framework: 56. VS.NET 2005 IDE Tip
182정성태11/21/200515999.NET Framework: 55. 에러가 발생할 것만 같은 코드
181정성태11/20/200544769.NET Framework: 54. 한글이 포함된 ANSI, UTF-8, UNICODE 텍스트 파일 읽기 [3]파일 다운로드1
197정성태12/25/200520226    답변글 .NET Framework: 54.4. [관련 문제] A 태그의 href에서의 문제.
198정성태12/27/200518021    답변글 .NET Framework: 54.5. [추가]: VS.NET으로 UTF-8 홈페이지 구성하기
179정성태11/8/200515632.NET Framework: 53. .NET Remoting: 메시지 교체
178정성태11/5/200516541기타: 11. Dual Core 장만. ^^
177정성태11/2/200516248COM 개체 관련: 17. CoGetClassObjectFromURL파일 다운로드1
176정성태3/29/200621475.NET Framework: 52. covariance? [1]파일 다운로드1
175정성태10/31/200517054.NET Framework: 51. MSXML 6.0에서 디지털 서명 기능을 제거!
180정성태11/15/200517271    답변글 VS.NET IDE: 51.1. MSXML 6.0 정식 릴리스
174정성태10/31/200518017.NET Framework: 50. app.config 예시 [1]
173정성태10/30/200516808스크립트: 5. 스크립트 호출 관계
172정성태10/25/200525107.NET Framework: 49. ASP.NET 오류 유형 : 액세스가 거부되었습니다. [2]
171정성태11/14/200526950VC++: 19. 다국어 지원: setlocale( LC_TIME, "" ) 관련 [1]
170정성태11/14/200521607VS.NET IDE: 34. Visual SourceSafe 2005: Remote Internet Access over HTTP : 80 이외의 포트를 지정
206정성태2/1/200617913    답변글 VC++: 34.1. [추가]: Internet Access Plug-in 사용 시 유의 사항
168정성태11/14/200518893VS.NET IDE: 33. IIS 6.0 AppPool 설정 - Enable rapid-fail protection
169정성태10/14/200520550    답변글 VS.NET IDE: 33.1. Enable rapid-fail protection 상황 재현 방법
166정성태11/14/200517804.NET Framework: 48. IE를 죽이는 스크립트 소스
165정성태11/14/200518440.NET Framework: 47. MOM (Microsoft Operations Manager) 2005 서버 설치 가이드
164정성태11/14/200515728.NET Framework: 46. 도메인에 속한 컴퓨터의 Local Computer Policy 변경 방법
162정성태10/3/200518435.NET Framework: 45. VS.NET 2005 IDE에서 Web App를 .NET 2.0 (x64) 머신에 배포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