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114. WPF 이벤트에 속한 핸들러 확인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4687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4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3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113. 이벤트에 속한 이벤트 핸들러 확인
; https://www.sysnet.pe.kr/2/0/618

디버깅 기술: 21. 올바른 이벤트 예외 정보 출력
; https://www.sysnet.pe.kr/2/0/620

.NET Framework: 114. WPF 이벤트에 속한 핸들러 확인
; https://www.sysnet.pe.kr/2/0/624





WPF 이벤트에 속한 핸들러 확인


지난 글에서, 이벤트에 걸려 있는 이벤트 핸들러 목록을 나열하는 방법을 알아봤습니다.

이벤트에 속한 이벤트 핸들러 확인
; https://www.sysnet.pe.kr/2/0/618

사실, 프로그래밍하는 방법까지 알아보긴 했지만 어차피 VS.NET IDE 안에서 디버거의 "Watch" 윈도우로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다지 코딩을 할 이유는 없습니다.

혹시, 그 글을 읽어보고 나서 WPF의 DO(Dependency Object) 개체들에서 제공하는 이벤트를 대상으로 핸들러 목록을 나열해 보신 분이 계실런지 모르겠습니다. 낌새로 아시겠지만, WPF DO 개체들이 제공하는 일반적인 이벤트에 대해서는 그 방법이 통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그 이벤트들은 내부적으로 Event add/remove 메서드를 사용자 정의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이런 식이죠.

[그림 1: 일반 이벤트 "TestEvent"와 사용자 정의 이벤트 "HiddenEvent"]
reflection_on_wpf_event_1.PNG

보시는 것처럼, "MyTest" 개체에 정의된 이벤트가 2가지가 있는 데 "TestEvent"의 경우에는 디버거의 "Watch" 윈도우 창에 정상적으로 핸들러가 보이고 있는 반면, add/remove를 지정해서 정의한 "HiddenEvent"의 경우에는 디버거도 정상적으로 핸들러를 찾아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당연히 add/remove가 정의된 이벤트는 컴파일러에 의해서 자동으로 추가되는 동일한 이름으로 된 "System.MulticastDelegate" 타입의 필드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그야말로, 사용자가 임의로 특정 내부 필드에 이벤트 핸들러(delegate)를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디버거가 임의로 그것을 발견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물론, WPF의 RoutedEvent는 모두 이런 식으로 정의되어 있기 때문에 디버거에서 해당 이벤트에 걸려 있는 이벤트 목록을 확인할 수 없음은 물론이고 위의 글에서 설명한 방식의 reflection 코드로도 나열할 수 없습니다.




자,,, 그럼 어떻게 해야 할까요? 그냥 포기할까요? ^^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add/remove에 정의된 코드를 직접 살펴보고 이벤트 핸들러를 정의한 내부 필드값을 열람하는 수밖에는 없습니다. 옛날 같으면, 이런 경우 어렵게 .NET Reflector를 사용해야 했지만, 닷넷 프레임워크 소스코드 디버깅 기능이 나온 이후로는 직접 VS.NET IDE 안에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의 글을 참고하세요.

VS.NET SP1 + .NET Framework 소스 코드 디버깅
; https://www.sysnet.pe.kr/2/0/623

그래서... 한번 찾아 들어가 보겠습니다. 환경을 갖춘 상태에서, 적당히 아무 이벤트 핸들러나 골라서 "+="가 들어간 코드에서 BP(Break Point)를 잡고 "F11 (Step Into)" 키를 눌러서 닷넷 코드 내부로 진입합니다. (참고로, 여기서 제가 예제로 한 이벤트 핸들러는 트리뷰의 "RequestBringIntoView" 이벤트입니다.)

처음, 진입을 하게 되면 아래와 같이 RequestBringIntoView 이벤트의 add/remove가 정의된 코드가 보입니다.

[그림 2: FrameworkElement.cs - RequestBringIntoView 이벤트 add/remove 코드]
reflection_on_wpf_event_2.PNG

정말 그렇죠? add/remove가 사용자 정의돼 있습니다. 이제 AddHandler 내부로 들어가게 되면,

[그림 3: UIElement.cs - AddHandler 코드]
reflection_on_wpf_event_3.PNG

보니까, EventHandlerStore라는 내부 Property의 AddRoutedEventHandler를 호출하고 있습니다. 딱 보니까, 그거 같죠. 실제로, "UIElement" 타입을 상속받은 타입의 인스턴스를 Reflection을 이용해서 확인해 보면, "EventHandlersStore"가 "Property"로 정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왠지 ^^ 거의 다 온 것 같죠!
이렇게 해서 다시 AddRoutedEventHandler 메서드 안으로 진입해 보면,

[그림 4: EventHandlerStore.cs - AddRoutedEventHandler 코드]
reflection_on_wpf_event_4.PNG

오호... 다음과 같은 코드가 눈에 띕니다.

FrugalObjectList<RoutedEventHandlerInfo> handlers = 
        (FrugalObjectList<RoutedEventHandlerInfo>)this[routedEvent];
if (handlers == null) 
{
    _entries[routedEvent.GlobalIndex] = handlers = new FrugalObjectList<RoutedEventHandlerInfo>(1); 
} 

handlers.Add(routedEventHandlerInfo);

그럼... 끝났군요. _entries가 그 답이니. 이제 위의 자료를 바탕으로 Reflection 코드만 만들어주면 WPF의 특정 이벤트에 걸린 이벤트 핸들러를 나열하는 코드를 만들 수 있습니다. (Reflection 코드가 사실, 기술적이라기보다는 단순 반복적인 코드가 많기 때문에 생략합니다.)

자세한 코드는 첨부된 프로젝트를 참조하십시오.




여기서 끝내려고 했는데, 위의 reflection 코드를 작성하면서 알게 된 사실 하나! ^^ Microsoft의 리스트를 관리하는 내부 코드가 참 재미있네요. 위에서 보면, "Frugal"이라는 수식어가 괜히 붙은 것이 아니었습니다.

예를 들어, 내부적으로 이벤트 핸들러 목록을 보관하는 필드인 "_listStore" 타입이 이벤트 핸들러의 갯수가 증가할 때마다 바뀝니다. 예를 들어, 이벤트 핸들러가 3개 이하인 경우에는,

[그림 5: ThreeItemList 타입]
reflection_on_wpf_event_7.PNG

6개 이하인 경우에는,

[그림 6: SixItemList 타입]
reflection_on_wpf_event_6.PNG

7개 이상인 경우에 그제서야 아래와 같이 ArrayItemList로 관리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림 7: ArrayItemList 타입]
reflection_on_wpf_event_5.PNG

사실, 단일 이벤트에 대해서 6개 이상의 핸들러가 걸릴 일은 많지 않기 때문에 첨부한 프로젝트의 코드에서는 ThreeItemList / SixItemList 타입을 기준으로 reflection 코드가 작성되어 있습니다. 물론, ArrayItemList로의 확장은 필요하시면 언제든지 코드를 추가하시면 되겠지요. ^^

휴... 새삼스럽게 한 번 더 느끼는 거지만, 물론 .NET Reflector로도 할 수 있는 일이라고는 해도 역시나 디버거 환경에서 하는 것이 훨씬 더 편하다는 것! ^^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7/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08-12-05 09시30분
[사이 ] 우와 완전 멋지네요. 내용도 좋지만 정책임님께서 차근 차근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나가는 단계가 참으로 인상적입니다.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
[guest]
2008-12-05 10시27분
문제 해결 단계를 생략하면, 저도 나중에 잊어버리기 때문에 ^^; 같이 기록을 해두는 것입니다. 그럼... 이걸로 "사이"님 과 "anyflow" 님의 요청 사항은 마무리 되었다는.
kevin25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236정성태6/19/202018342오류 유형: 621. .NET Standard 대상으로 빌드 시 dynamic 예약어에서 컴파일 오류 - error CS0656: Missing compiler required member 'Microsoft.CSharp.RuntimeBinder.CSharpArgumentInfo.Create'
12235정성태6/19/202017531오류 유형: 620. Windows 10 - Inaccessible boot device 블루 스크린
12234정성태6/19/202016906개발 환경 구성: 494. NuGet - nuspec의 패키지 스키마 버전(네임스페이스) 업데이트 방법
12233정성태6/19/202017390오류 유형: 619. SQL 서버 - The transaction log for database '...' is full due to 'LOG_BACKUP'. - 두 번째 이야기
12232정성태6/19/202016054오류 유형: 618. SharePoint - StoreBusyRetryLater 오류
12231정성태6/15/202019351.NET Framework: 911. Console/Service Application을 위한 SynchronizationContext - AsyncContext
12230정성태6/15/202018198오류 유형: 617. IMetaDataImport::GetMethodProps가 반환하는 IL 코드 주소(RVA) 문제
12229정성태6/13/202020094.NET Framework: 910. USB/IP PROJECT를 이용해 C#으로 USB Keyboard + Mouse 가상 장치 만들기 [1]
12228정성태6/12/202019487.NET Framework: 909. C# - Source Generator를 적용한 XmlCodeGenerator파일 다운로드1
12227정성태6/12/202023425오류 유형: 616. Visual Studio의 느린 업데이트 속도에 대한 원인 분석 [5]
12226정성태6/11/202021470개발 환경 구성: 493. OpenVPN의 네트워크 구성 [4]파일 다운로드1
12225정성태6/11/202019417개발 환경 구성: 492. 윈도우에 OpenVPN 설치 - 클라이언트 측 구성
12224정성태6/11/202028116개발 환경 구성: 491. 윈도우에 OpenVPN 설치 - 서버 측 구성 [1]
12223정성태6/9/202023814.NET Framework: 908. C# - Source Generator 소개 [10]파일 다운로드2
12222정성태6/3/202017331VS.NET IDE: 146. error information: "CryptQueryObject" (-2147024893/0x80070003)
12221정성태6/3/202017071Windows: 170. 비어 있지 않은 디렉터리로 symbolic link(junction) 연결하는 방법
12220정성태6/3/202020848.NET Framework: 907. C# DLL로부터 TLB 및 C/C++ 헤더 파일(TLH)을 생성하는 방법
12219정성태6/1/202019610.NET Framework: 906. C# - lock (this), lock (typeof(...))를 사용하면 안 되는 이유파일 다운로드1
12218정성태5/27/202019057.NET Framework: 905. C# - DirectX 게임 클라이언트 실행 중 키보드 입력을 감지하는 방법 [3]
12217정성태5/24/202017103오류 유형: 615. Transaction count after EXECUTE indicates a mismatching number of BEGIN and COMMIT statements. Previous count = 0, current count = 1.
12216정성태5/15/202020684.NET Framework: 904. USB/IP PROJECT를 이용해 C#으로 USB Keyboard 가상 장치 만들기 [14]파일 다운로드1
12215정성태5/12/202026632개발 환경 구성: 490. C# - (Wireshark의) USBPcap을 이용한 USB 패킷 모니터링 [10]파일 다운로드1
12214정성태5/5/202018307개발 환경 구성: 489. 정식 인증서가 있는 경우 Device Driver 서명하는 방법 (2) - UEFI/SecureBoot [1]
12213정성태5/3/202019446개발 환경 구성: 488. (User-mode 코드로 가상 USB 장치를 만들 수 있는) USB/IP PROJECT 소개
12212정성태5/1/202016656개발 환경 구성: 487. UEFI / Secure Boot 상태인지 확인하는 방법
12211정성태4/27/202019264개발 환경 구성: 486. WSL에서 Makefile로 공개된 리눅스 환경의 C/C++ 소스 코드 빌드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