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기타: 23. D820 - 배터리 없이 바이오스 업데이트 방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33464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D820 - 배터리 없이 바이오스 업데이트 방법


제가 사용하는 노트북은 델(Dell)의 D820 모델입니다. 며칠 전, 회사에서 메모리를 4GB로 업그레이드 해주었는데요. 이 과정에서 롬 바이오스를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게 되었습니다.

현재, D820의 가장 최근의 바이오스 버전은 2008년 6월 17일에 릴리즈된 "A09"이고 다음의 경로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Dell Latitude D820 System BIOS - A09
; http://supportapj.dell.com/support/downloads/download.aspx?c=kr&l=ko&s=gen&releaseid=R188872&SystemID=Latitude%20D820&servicetag=FC8V6BX&os=WW1&osl=ko&deviceid=10433&devlib=0&typecnt=0&vercnt=8&catid=-1&impid=-1&formatcnt=1&libid=1&fileid=258649

그런데, 이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위의 경로를 통해서 다운로드 받은 "D820_A09.EXE"를 실행시키면, "배터리가 없는 경우" 다음과 같은 메시지가 출력되고 응용 프로그램이 종료됩니다.

[그림 1: 배터리 없이 A09 바이오스 업데이트를 하면.]
d820_rom_bios_a09_update_1.PNG
"
The AC adapter and battery must be plugged in before the system BIOS can be flashed.

Press OK when they are both plugged in or CANCEL to quit.
"



배터리 보증 기간이 끝난 후에야 배터리가 완전히 맛이 가버린 지금! 아예 AC 전원만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배터리가 있어야만 롬바이오스가 업데이트 된다니... ^^; 메모리 2GB * 2EA 비용이 42,000원 정도인데, 30만원 가까이 되는 배터리를 구매해야 한다는 것이 말이 안 되죠.

그래서, 델의 온라인 고객 센터에 배터리를 체크하지 않는 버전의 셋업 파일을 구할 수 없느냐고 문의를 했더니... 소위 말하는 온라인 게임의 "매크로 성 답변"을 받을 뿐이었습니다. 그러면서, 배터리를 구매하지 않는 경우에는 USB 외장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가 있어야 한다는군요. 배터리 구입은 차라리 그나마 쓸모나 있지... 겨우 롬 바이오스 업그레이드하려고 USB 외장 FDD를 사는 것은 더 우습지 않나요? ^^;

상담원도 좀 그랬는지, 부품이 있을 것(?) 같은 고객 센터 위치를 알려줄 테니 거기에 전화를 해서 미리 확인을 해보고 컴퓨터 들고 거기 가서 업데이트를 직접 받으라고 합니다.

휴~~~

그래서... 가야 하나! 라고 생각하다가 문득, 셋업 파일의 배터리 체크 루틴을 건너뛰게 만들면 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도 명색이 프로그래머인데... ^^; 이 정도는 한 번 시도해 봐야 하지 않을까요!




방법은 이렇습니다. "그림 1"에서의 대화창이 실행된 상태에서 Visual Studio를 이용하여 "Attach to process"를 한 후, "Ctrl + Alt + Break (Break All)" 키를 눌러서 실행을 정지시키면, 보통 다음과 같은 콜 스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림 2: 대화창이 호출된 시점의 호출 스택 구조]
d820_rom_bios_a09_update_2.PNG

위의 콜 스택 윈도우에서, "D820_A09.EXE!00420da0()" 항목을 마우스로 더블 클릭하면 아래의 어셈블리 코드로 이동합니다.

[그림 3: 대화창 호출 코드]
d820_rom_bios_a09_update_3.PNG

00420D96  pop         ecx  
00420D97  pop         ecx  
00420D98  push        31h  
00420D9A  push        ebp  
00420D9B  push        esi  
00420D9C  push        0    
00420D9E  call        ebx  
00420DA0  cmp         eax,2 
00420DA3  jne         00420D67 
00420DA5  mov         esi,102h 

보통, 인자 전달에 사용되는 push가 있고 call이 이어지는 것을 보면, ebx 주소에 담긴 코드가 "ShowDialog"일 테고, 대화창에서 "OK", "Cancel"을 누르는 값은 "00420DA0" 위치의 "eax"에 담겨질 것입니다. 비교를 해서 "00420D67"로 다시 점프를 하던지, 아니면 그다음으로 넘어가겠군요.

대화창에 보면, "Press OK when they are both plugged in or CANCEL to quit."이라고 되어 있으니, 아마도 "00420DA5"에서 시작되는 mov는 프로그램 종료로 이어질 테고, "00420D67"로 점프(jne)하는 구문은 다시 배터리가 연결되어 있는지 체크하는 루틴으로 넘어갈 것입니다. 그러니, BP(Break Point)를 "00420DA0" 위치에 잡아두고 "F5" 키를 눌러서 프로그램 실행을 계속한 후, "OK" 버튼을 눌러서 "00420D67" 주소로 실행이 넘어가는 것을 확인해 보면,

00420D67  call        004214BB 
00420D6C  test        eax,eax 
00420D6E  mov         dword ptr [esp+10h],eax 
00420D72  je          00420DAF 
00420D74  cmp         dword ptr ds:[436CA0h],0 
00420D7B  jne         00420DA5 
00420D7D  push        4346DCh 
00420D82  push        esi  
00420D83  call        edi  
00420D85  cmp         dword ptr [esp+18h],3 
00420D8A  pop         ecx  
00420D8B  pop         ecx  
00420D8C  jne         00420D98 
00420D8E  push        434650h 
00420D93  push        esi  
00420D94  call        edi  

오호... 가자마자 바로 call을 하는군요. 아마도 "int CheckBattery();"와 같은 함수일 텐데요. 그렇다면 대강 아래와 같은 코드로 연상이 되어집니다.

:BatteryCheck;

if (CheckBattery() != 0)
{
   if (ShowDialog() == OK)
   {
    goto BatteryCheck;
   }
   
   goto Exit;
}

... [이하 ROM Bios 업데이트 코드]...

따라서, call 내부를 들어갈 필요 없이 "CheckBattery" 함수에서 반환한 결괏값을 담은 eax 레지스터의 값을 숫자 0으로 설정해 주면 그만입니다. 그래서, Watch 윈도우 창을 이용해서 아래와 같이 실행 시에 eax 값을 0으로 설정해 주고,

[그림 4: 실행 시에 eax 값 변경]
d820_rom_bios_a09_update_4.PNG

이후 볼 것도 없이 "F5" 실행 키를 눌러주면 ... 와~~~ 오늘 운이 좀 따르는군요. 다음과 같이 롬 바이오스 업데이트 화면이 나왔습니다.

[그림 5: Dell BIOS Flash]
d820_rom_bios_a09_update_5.PNG

(참고로, 위의 화면은 이미 업데이트 된 상태에서 화면 캡쳐를 뜨기 위해 다시 진행한 것이기 때문에 현재 롬바이오스 버전이 "A09"로 나온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위의 방법을 사용해서 롬 바이오스를 업데이트하다가 진행 중간에 하필 AC 전원이 끊겨 버리는 사태에 대해서는 책임질 수 없습니다~~~ ^^;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26/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08-12-20 11시04분
Assembly code에 대한 고찰 (jump 명령어 그리고, pointer 연산)
; http://byung.egloos.com/4771921
; https://web.archive.org/web/20230426110039/http://byung.egloos.com/4771921
kevin25
2008-12-21 12시35분
D820의 메모리 DIMM 위치

Memory
Dell™ Latitude™ D820 Service Manual
; (broken) http://supportapj.dell.com/support/edocs/systems/latd820/en/sm/memory.htm#wp1084976

십자 드라이버와 일자 드라이버 하나씩 준비해 주시면 "Hinge Cover"와 키보드를 쉽게 분리해낼 수 있습니다. 한 가지 더, 위의 가이드에는 키보드 커넥터를 분리하도록 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분리하지 않아도 메모리 교체를 충분히 할 수 있습니다.
kevin25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484정성태4/11/201824693.NET Framework: 737. C# - async를 Task 타입이 아닌 사용자 정의 타입에 적용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483정성태4/10/201828003개발 환경 구성: 358. "Let's Encrypt"에서 제공하는 무료 SSL 인증서를 IIS에 적용하는 방법 (2) [1]
11482정성태4/10/201820453VC++: 126. CUDA Core 수를 알아내는 방법
11481정성태4/10/201832070개발 환경 구성: 357. CUDA의 인덱싱 관련 용어 - blockIdx, threadIdx, blockDim, gridDim
11480정성태4/9/201822097.NET Framework: 736. C# - API를 사용해 Azure에 접근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1479정성태4/9/201817751.NET Framework: 735. Azure - PowerShell로 Access control(IAM)에 새로운 계정 만드는 방법
11478정성태11/8/201919973디버깅 기술: 115. windbg - 덤프 파일로부터 PID와 환경변수 등의 정보를 구하는 방법 [1]
11477정성태4/8/201817445오류 유형: 460. windbg - sos 명령어 수행 시 c0000006 오류 발생
11476정성태4/8/201819010디버깅 기술: 114. windbg - !threads 출력 결과로부터 닷넷 관리 스레드(System.Threading.Thread) 객체를 구하는 방법
11475정성태3/28/201821295디버깅 기술: 113. windbg - Thread.Suspend 호출 시 응용 프로그램 hang 현상에 대한 덤프 분석
11474정성태3/27/201819417오류 유형: 459. xperf: error: TEST.Event: Invalid flags. (0x3ec).
11473정성태3/22/201824584.NET Framework: 734. C# - Thread.Suspend 호출 시 응용 프로그램 hang 현상파일 다운로드2
11472정성태3/22/201818546개발 환경 구성: 356. GTX 1070, GTX 960, GT 640M의 cudaGetDeviceProperties 출력 결과
11471정성태3/20/201821928VC++: 125. CUDA로 작성한 RGB2RGBA 성능 [1]파일 다운로드1
11470정성태3/20/201824032오류 유형: 458. Visual Studio - CUDA 프로젝트 빌드 시 오류 C1189, expression must have a constant value
11469정성태3/19/201817050오류 유형: 457. error MSB3103: Invalid Resx file. Could not load file or assembly 'System.Windows.Forms, ...' or one of its dependencies.
11468정성태3/19/201816595오류 유형: 456. 닷넷 응용 프로그램 실행 시 0x80131401 예외 발생
11467정성태3/19/201816057오류 유형: 455. Visual Studio Installer - 업데이트 실패
11466정성태3/18/201817212개발 환경 구성: 355. 한 대의 PC에서 2개 이상의 DirectX 게임을 실행하는 방법
11463정성태3/15/201819546.NET Framework: 733. 스레드 간의 read/write 시에도 lock이 필요 없는 경우파일 다운로드1
11462정성태3/14/201822399개발 환경 구성: 354. HTTPS 호출에 대한 TLS 설정 확인하는 방법 [1]
11461정성태3/13/201825027오류 유형: 454. 윈도우 업데이트 설치 오류 - 0x800705b4 [1]
11460정성태3/13/201817500디버깅 기술: 112. windbg - 닷넷 메모리 덤프에서 전역 객체의 내용을 조사하는 방법
11459정성태3/13/201818312오류 유형: 453. Debug Diagnostic Tool에서 mscordacwks.dll을 찾지 못하는 문제
11458정성태2/21/201819285오류 유형: 452. This share requires the obsolete SMB1 protocol, which is unsafe and could expose your system to attack. [1]
11457정성태2/17/201823992.NET Framework: 732. C# - Task.ContinueWith 설명 [1]파일 다운로드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