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기타: 24. RMClock for x64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30193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RMClock for x64


예전에, 제 D820 노트북의 CPU 고주파 소음 관련한 해결책을 제시하면서 RMClock을 한번 소개해 드렸지요.

D820 고주파음 문제
; https://www.sysnet.pe.kr/2/0/478

위에서도 언급했지만, 비스타 x64에서는 서명되지 않은 드라이버를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RMClock을 사용할 수 없었지요. 그런데, 다른 사람들에 의해서 서명된 드라이버가 공개되고 있다는... 반가운 소식이 있습니다.

tester_pedro: RTCore64.sys digitally signed - working!
; http://forum.rightmark.org/topic.cgi?id=6:1557

위의 글에도 나오지만, 서명된 RTCore64.sys 파일은 다음의 경로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서명된 RTCore64.sys
; http://rapidshare.com/files/112841889/RTCore64.sys

그 외에도, 삭제되긴 했지만 매우 궁금한 글도 눈에 띕니다.

dmitrygr: [success] "Run HLT on cpu idle" on 64-bit OS
; http://forum.rightmark.org/topic.cgi?id=6:1718

어쨌든.

... 그러고 보면, 서명에 사용되는 인증기관이 Microsoft에 의해서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동일하게 인증되었는데도 불구하고 제가 임의로 사용하고 있는 인증기관에서 발급된 인증서로 서명된 RTCore64.sys 파일은 동작을 안 했기 때문입니다.

비스타 x64 버전에서 서명되지 않은 드라이버 사용
; https://www.sysnet.pe.kr/2/0/477




드디어, x64 버전의 윈도우즈가 제 D820에 설치되어도 고주파음으로 고생을 안 할 수 있게 되었군요. (그렇긴 하지만, 최근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에서 요구되는 3rd-party DLL들이 32비트 운영체제에서만 돌아가는 바람에 64비트 운영체제를 설치할 수가 없는 상태입니다. ^^; 아까운 내 메모리 700MB!)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5/15/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9-05-17 08시14분
[RMCLOCK에러가 납니다] Cannot install or lead RTCore64 deriver. Make sure you're loading this application from not a read only medium and/or a net work drive, and that you're logged on with Administrator rights 이 에러는 어떻게 해결하나요?
[guest]
2019-05-17 08시57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 보세요. 그래도 안 되면 저도 해봐야 알 수 있겠는데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 툴이라서 나중에 사용하게 되거든 확인해 보겠습니다. (나중에...가 언제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정성태
2025-09-09 11시06분
Hardware backwards compatibility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030828-00/?p=42753

기계어 명령어 중 HLT는 CPU 동작을 (하드웨어 인터럽트가 발생할 때까지) 중지시킨다고 합니다. 원래는 이 명령어를 Windows 95에 적용시키려고 했지만 당시 노트북 중에는 이 명령어를 수행하면 다시 복원하지 않는 사례가 있어 그럴 수 없었다고 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운영체제를 대신해 HLT를 대신 수행하는 프로그램들이 나왔고, 속내를 모르는 사용자들은 마이크로소프트가 HLT를 넣지 않은 것에 대해 비난했다고.

-----------------------------------------

아래의 글에서는 HLT를 제거한 이유에 대해 좀 더 상세한 사연이 나옵니다.

Why didn’t Windows 95 simply special-case the laptops that locked up when it executed the HLT instruction?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250908-00/?p=111572

참고로, 근래의 하드웨어는 HLT가 아닌 MWAIT 명령어를 사용한다는군요. ^^

MONITOR and UMONITOR Performance Guidance
; https://www.intel.com/content/www/us/en/developer/articles/technical/software-security-guidance/technical-documentation/monitor-umonitor-performance-guidance.html
정성태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NoWriterDateCnt.TitleFile(s)
619정성태11/30/200826389디버깅 기술: 20. 예외 처리를 방해하는 WPF Modal 대화창파일 다운로드1
618정성태11/29/200826896.NET Framework: 113. 이벤트에 속한 이벤트 핸들러 확인파일 다운로드1
617정성태11/26/200834130.NET Framework: 112. How to Interop DISPPARAMS [2]파일 다운로드2
616정성태11/26/200826466디버깅 기술: 19. C++/CLI - F11 디버깅 시의 변수 초기화파일 다운로드1
615정성태11/9/200835951.NET Framework: 111. WPF - Window, UserControl 클래스 상속 [1]
614정성태11/9/200835863.NET Framework: 110. WPF - 전역 예외 처리 [4]파일 다운로드1
613정성태11/8/200825266.NET Framework: 109. WPF - SystemColors 색상표파일 다운로드1
612정성태11/1/200830677.NET Framework: 108. WPF + WCF 환경에서는 DataContract를 권장 [1]
611정성태10/31/200824176오류 유형: 62. WPF - Visual Studio 2008 비정상 종료
610정성태10/24/200827272Team Foundation Server: 26. TFS 2008 SP1 + SQL Server 2008 설치
609정성태10/24/200832514.NET Framework: 107. WPF - RadioButton 데이터 바인딩 해제 현상파일 다운로드2
608정성태10/23/200825600오류 유형: 61. TFS 연결 오류: TF31003, TF30331 오류
607정성태10/18/200824052Windows: 32. 자동 실행 경로에 ".." 가 포함된 경우
606정성태10/18/200825984.NET Framework: 106. WCF - 다중 서비스 호스트파일 다운로드1
605정성태10/18/200829301.NET Framework: 105. WPF - 닫기 버튼을 없애려면.
604정성태10/18/200829953오류 유형: 60. System.Management.ManagementException - Generic failure [1]
602정성태10/15/200832096오류 유형: 59. WPF - XAML 로딩 시 Visual Studio 비정상 종료 [1]
600정성태10/9/200837101디버깅 기술: 18. TFS Team Build + Source Server = 소스 코드 디버깅 [3]
603정성태10/15/200828498    답변글 디버깅 기술: 18.1. 소스 서버 구성, 그 외의 이야기
599정성태10/5/200833860디버깅 기술: 17. TFS Team Build + Symbol Server [1]
598정성태10/3/200824256VS.NET IDE: 57. VS.NET 2008 - 다중 프로젝트에서 단일 SNK를 사용하는 방법
597정성태10/2/200822758Team Foundation Server: 25. VSTS 2008의 Build Explorer
596정성태10/2/200829659오류 유형: 58. WPF : 드롭다운 유형의 ComboBox가 펼쳐지지 않는 문제
595정성태10/1/200837480디버깅 기술: 16. Watson Bucket 정보를 이용한 CLR 응용 프로그램 예외 분석 [2]
594정성태9/22/200825229.NET Framework: 104. Win32Exception 클래스 소개
591정성태7/24/200821671오류 유형: 57. VS.NET 2008 TFC - 체크인 시에 비프 음과 함께 정지되는 현상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