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기타: 25. 가상 키보드 관련 정리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42297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가상 키보드 관련 정리


가상 키보드라... 사실 이런 프로그램을 만들 일은 거의 없죠. 그래서 저도 그와 관련한 몇 가지 특징들은 아예 모르고 살고 있었는데요. 하다 보니 제법 재미있는 사항들이 몇 가지 눈에 띄어 정리해 봅니다.

1. 포커스를 어떻게 유지하는가?


개인적으로... 이 기능이야말로 가상 키보드의 구현 핵심(?)이 아닐까 싶은데요. 예를 들어, 입력 포커스가 텍스트 박스에 있는데, 가상 키보드가 구현된 윈도우의 영역을 클릭하게 되면 포커스는 이미 새롭게 활성화된 윈도우로 바뀌어 버리고 그 상태에서 키입력을 발생해 봤자 가상 키보드를 소유한 윈도우 자체가 받게 됩니다.

'혹시... 이전에 포커스를 가진 윈도우를 기억해 두었다가, 다시 활성화를 시키고 키 입력을 발생시키는 것이 아닐까?'라고 생각했는데, 이미 이러한 입력 포커스 관련한 윈도우 메시지와 스타일이 잘 정의되어 있더군요.

윈도우 메시지를 통한 방식은, 하나의 EXE 프로세스 내에서 생성된 윈도우들 내에서만 유효한 방식인데 WM_MOUSEACTIVATE 메시지가 전송되어지면 이에 대해 MA_NOACTIVATE 값을 반환하는 방식입니다.

NO focus on Gui 
; http://www.autohotkey.com/forum/topic14522.html

다른 하나는, EXE들 간에서도 포커스를 갖지 않도록 하는 것인데, 이건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식으로는 안 되고 아예 해당 윈도우 자체를 생성할 때 라는 확장 윈도우 스타일을 지정해 주어야 합니다.

Preventing "owner" Form from losing focus when showing another Form?
; http://social.msdn.microsoft.com/forums/en-US/winforms/thread/3f1c4191-38f4-4d15-a633-9f57cff289e4/

참고로, WPF의 경우에 제공되는 "UIElement.Focusable"은 또 다른 범위의 옵션을 제공하는데요. 이걸 사용하면 "단일 윈도우" 내에서의 포커스를 갖지 않게 됩니다.

2. WPF에서의 가상키 처리


이전의 System.Windows.Forms.Keys에서 제공되는 상수값들이 가상 키(Virtual Key) 코드값이었던 반면, WPF에서 제공되는 키 상수 열거 타입인 "System.Windows.Input.Key"는 애석하게도 가상 키 코드값이 아닙니다. 대신에 이 둘 사이의 변환을 해줄 수 있는 KeyInterop.VirtualKeyFromKey 메서드가 제공됩니다.

3. 문자에 대한 가상 키 코드값 구하기


예를 들어, 'a' 키에 대해 그에 대한 가상 키 값을 구하고 싶은 경우인데. 제가 아는 범위 내에서는 명시적으로 닷넷에서 제공되는 함수는 없고 Win32 API 중에 VkKeyScan 메서드를 P/Invoke로 호출해 줘야 합니다.

4. Virtual Key와 Scan 코드 값끼리의 변환


이것 역시 닷넷에서 제공되는 함수는 없고, Win32 API 중에 MapVirtualKey 메서드를 이용하여 상호 변환을 할 수 있습니다.

5. 특수 문자를 입력하려면?


특수 문자인 경우, 처리가 특정 code page에 종속되게 하고 싶지 않다면... 아마도 유일한 대안인 "unicode"를 사용하는 수밖에는 없지요. 우선, 자신이 사용하고 싶은 특수 문자가 유니코드로 어떤 값에서 표현되고 있는지 찾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사이트가 도움이 되겠지요.

Unicode Character Map
; http://www.bazon.net/mishoo/charmap/

가령, "θ"와 같은 문자는 0x3b8이란 코드 값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키 코드값을 Virtual Key로 변환할 필요 없이 바로 SendInput의 메서드에 전달해주어 처리할 수 있습니다.

KEYBOARDINPUT [] keyInput = new KEYBOARDINPUT[2]; // 누르는 동작과 떼는 동작을 표현하기 위해 배열은 2개

// 누르는 동작
keyInput[0].type = 1; // 1 == INPUT_KEYBOARD
keyInput[0].dwFlags = 0x04; // 0x04 : KEYEVENTF_UNICODE
keyInput[0].wScan = 0x3b8;

// 떼는 동작
keyInput[1].type = 1;
keyInput[1].dwFlags = 0x04 | 0x02; // 0x02 : KEYEVENTF_KEYUP
keyInput[1].wScan = 0x3b8;

SendInput(2, keyInput, 0x1c); // 0x1C : KEYBOARDINPUT 2개 요소의 크기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9/20/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1-03-06 09시00분
Windows Input Simulator (C# SendInput Wrapper - Simulate Keyboard and Mouse)
; http://inputsimulator.codeplex.com/
정성태
2014-02-13 06시01분
When something gets added to a queue, it takes time for it to come out the front of the queue
; http://blogs.msdn.com/b/oldnewthing/archive/2014/02/13/10499047.aspx
정성태
2018-03-22 12시00분
C# INPUT Interop

        [StructLayout(LayoutKind.Explicit)]
        public struct INPUT
        {
            [FieldOffset(0)]
            public Int32 type;
#if _X64_
            [FieldOffset(8)] //*
            public MOUSEINPUT mi;
            [FieldOffset(8)] //*
            public KEYBDINPUT ki;
            [FieldOffset(8)] //*
            public HARDWAREINPUT hi;
#else
            [FieldOffset(4)] //*
            public MOUSEINPUT mi;
            [FieldOffset(4)] //*
            public KEYBDINPUT ki;
            [FieldOffset(4)] //*
            public HARDWAREINPUT hi;
#endif
        }
정성태
2019-05-15 09시11분
주제와는 다르지만, WPF의 경우 EventManager.RegisterClassHandler를 이용해 키보드 입력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Capture all Keyboard input, regardless of what control has focus
; https://social.msdn.microsoft.com/Forums/vstudio/ko-KR/cf884a91-c135-447d-b16b-214d2d9e9972/capture-all-keyboard-input-regardless-of-what-control-has-focus?forum=wpf

---------------------------------------------------------------
EventManager.RegisterClassHandler(typeof(Window), Keyboard.KeyUpEvent,new KeyEventHandler(keyUp), true);

private void keyUp(object sender, KeyEventArgs e)
{
      if(e.Key == Key.OemComma) MessageBox.Show("YAY!!!");
}
정성태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428정성태12/31/200647531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10. IIS 7 - SSL 사이트 설정하는 방법 [4]
429정성태12/31/200634094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11. 서비스를 위한 인증서 설치
352정성태10/2/200623648개발 환경 구성: 17. VPC에 Linux 설치하는 방법 [1]
351정성태10/8/200626122개발 환경 구성: 16. 성태의 무식한(!) 리눅스 탐방기. [4]
349정성태9/26/200624487디버깅 기술: 10. C++/CLI에서 제공되는 명시적인 파괴자의 비밀
347정성태10/6/200628588디버깅 기술: 9. .NET IDisposable 처리 정리 [1]
346정성태9/23/200621877개발 환경 구성: 15. 툴박스에 컨트롤이 자동으로 나타나도록 해주는 옵션 설정
345정성태9/20/200621043오류 유형: 12. WCF 오류 메시지 - Error while trying to reflect on attribute 'MessageContractAttribute'
343정성태10/18/200633007개발 환경 구성: 14. SandCastle 사용법 (NDoc을 대체하는 문서화 도구) [1]파일 다운로드1
344정성태9/20/200623044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4.1. 오류 유형 - GAC 에 등록된 DLL 에 대한 문서화 시 오류
340정성태9/15/200622358개발 환경 구성: 13. ISO 파일을 가상 CD-ROM으로 매핑해주는 프로그램
339정성태9/14/200621897오류 유형: 11. ProtocolsSection?
338정성태2/4/200730076개발 환경 구성: 12. BUG: 웹 서비스에서 DataTable 사용하기 [2]파일 다운로드1
350정성태10/2/200623359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2.1. ASMX 2.0 and SchemaImporterExtensions파일 다운로드1
335정성태8/20/200630876디버깅 기술: 8. COM+ 서버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F5 디버깅 방법
334정성태8/20/200626258디버깅 기술: 7. VS.NET 2003/2005의 다중 프로젝트 디버깅
333정성태8/20/200626574개발 환경 구성: 11. COM+ 서버 활성화 보안 설정
331정성태8/27/200619537개발 환경 구성: 10. 최대 절전 모드와 VPC 네트워크 문제
330정성태8/20/200619904개발 환경 구성: 9. VPC로 구성하는 개인 환경
328정성태8/20/200637905개발 환경 구성: 8. AppVerifier 사용법 [1]
327정성태8/16/200634782개발 환경 구성: 7. ActiveX 서명 과정 자동화 [1]
326정성태8/16/200628678Team Foundation Server: 13. Sysnet 웹 사이트 TFS Migration
322정성태8/15/200623375개발 환경 구성: 6. 4GB 메모리 구성 [1]
316정성태9/20/200642688디버깅 기술: 6. .NET 예외 처리 정리 [6]
309정성태12/27/200643468디버깅 기술: 5. PDB 이야기 [7]
310정성태8/5/200630277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 PDB 파일에 따른 Debug 정보 - WinForm + Library 유형의 프로젝트파일 다운로드1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