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Windows: 34. VPC 설치 후기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1069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Windows 7 베타 설치


주말의 여유로 ^^ Windows 7 베타를 VPC로 설치해보았습니다. 공통적으로 들으셨겠지만, 무엇보다도 설치가 상당히 빨라졌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보통, VPC는 더 느리기 때문에 운영체제 하나 설치하려면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데, 그런 환경에서도 빠르다는 것을 체감할 정도이니 실제 물리 PC에서는 더욱 빠르겠지요. (모두 설치하고 나니, C 드라이브 용량이 9.4GB 정도 점유되었습니다.)

설치 과정에서 묻는 것도 상당히 단순해졌습니다.
아래와 같이 집에 있는 PC 들간의 자료를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는 기능을 하나 더 추가한 것이 눈에 띄는 정도입니다.

[그림 1: HomeGroup 생성]
install_windows7_beta_1.PNG

설치 후, 이전에 들었던 바대로 텍스트를 좀 더 활용하는 메뉴 체계가 실제로 적용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림 2: IE 8, 탐색기 실행화면]
install_windows7_beta_2.PNG

위의 화면에 보시면 "Organize", "New library" 등의 버튼 왼쪽에 "그림 아이콘"이 없어진 것을 볼 수 있죠. 간략함을 유지하면서 최대한의 가독성을 끌어내기 위해 이러한 UI 개선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텍스트로 회귀한다는 Microsoft 측의 글이 있었는데 URL을 찾을 수가 없네요 ^^;)

IE 8의 주소창 옆에 있는 "문서가 찢겨진 아이콘" 도 재미있죠! 가까이 가져가면 아래와 같은 텍스트가 보입니다.

"
Compatibility View: websites designed for older browsers will often look better, and problems such as out-of-place menus, images, or text will be corrected.
"



또 한가지, 모든 윈도우즈마다 "Send Feedback"이라는 문자열이 최소화 버튼 왼쪽에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아마 베타 버전이라서 그럴 것 같고, 정식 버전에서는 없어질 거라 예상해봅니다. 혹시나, 이 문자열이 거슬리는 분들은 간단한 레지스트 설정으로 없앨 수 있습니다. John Robbins가 그 방법을 공개하는 군요. ^^

Win7 Beta - Remove the Send Feedback Link on Every Window 
; http://www.wintellect.com/CS/blogs/jrobbins/archive/2009/01/09/win7-beta-remove-the-send-feedback-link-on-every-window.aspx

그 외에, Windows Vista/7 이후로 나온 신규 응용 프로그램들의 "존재"를 알 수 있도록 시작 메뉴에 "Sticky Notes"와 "Snipping Tool"을 배치해 둔 정도.

[그림 3: 시작 메뉴]
install_windows7_beta_3.PNG

Snipping Tool은 Vista에서부터 있던 툴인데 화면을 갈무리하는 툴입니다. SnagIt 같은 유틸리티와 비교해서는 기능이 많이 떨어지지만 기본적으로 캡처 기능은 제공하기 때문에 나름 쓸만합니다. "Sticky Notes"는 ... 뭐랄까, Vista에서 제공하는 Gadget 중에서 "Notes"와 거의 동일하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전체적으로, XP에서 Vista로 넘어올 때에 비해서는 혼란스럽지 않습니다. 한마디로 표현해 보면, "잘 다듬어진 Vista"라는 느낌!

Windows 7 베타에서 한가지 아쉬운 점이 있다면. ^^ .NET Framework 4.0 설치가 안되어 있네요. 개발자로써 내심 바랐던 사항이었는데.

마지막으로, 몇 가지 Windows 7 베타의 화면을 갈무리해 봤습니다.

[그림 4: 제어판]
install_windows7_beta_4.PNG

[그림 5: Windows Features]
install_windows7_beta_5.PNG

[그림 6: GAC - .NET Framework 3.5 기본 설치]
install_windows7_beta_6.PNG

[그림 7: 탐색기 - 좌측 트리 영역이 간격을 두고 구획화 된 점]
install_windows7_beta_7.PNG

[그림 8: Windows PowerShell V2]
install_windows7_beta_8.PNG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1-04-11 02시43분
[Ginny] 설치후에 제가 싸이월드 사진첩에 사진 업로드를 하려는데 보통 500KB 근데.. 다른방럽으로 2000KB까지 올릴 수 있거든여! 다른분들도 그렇게 사용하고 있고요!
근데 500KB는 업로드가 되는데... 2000KB가 안되여! 밥법 좀 알려주세여! 정말 급해여!
[guest]
2011-04-11 02시57분
제가 싸이월드 사용자가 아니라서, 뭐라고 조언해 드릴 것이 없군요. 이와 관련해서는 싸이월드 고객 관리 센터에 문의하시는 것이 더 빠를 것 같습니다. ^^
정성태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408정성태12/18/201721413.NET Framework: 713.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 + Direct2D 출력 + OpenCV (2)파일 다운로드1
11407정성태12/18/201724290.NET Framework: 712.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 + Direct2D 출력 + OpenCV [1]파일 다운로드1
11406정성태12/17/201746734.NET Framework: 711. C# - OpenCvSharp의 Mat 데이터 조작 방법 [5]파일 다운로드1
11405정성태12/17/201742740.NET Framework: 710. C# - OpenCvSharp을 이용한 Webcam 영상 처리 + Direct2D [1]파일 다운로드1
11404정성태12/16/201730008.NET Framework: 709. C# - OpenCvSharp을 이용한 동영상(avi, mp4, ...) 처리 + Direct2D [7]파일 다운로드1
11403정성태12/16/201732585.NET Framework: 708. C# - OpenCvSharp을 이용한 동영상(avi, mp4, ...) 처리 [3]파일 다운로드1
11402정성태12/15/201737195.NET Framework: 707. OpenCV 응용 프로그램을 C#으로 구현 - OpenCvSharp [2]파일 다운로드1
11401정성태12/15/201726125.NET Framework: 706.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 + Direct2D 출력 [2]파일 다운로드1
11400정성태12/14/201728981.NET Framework: 705.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 [9]파일 다운로드1
11399정성태12/13/201717669.NET Framework: 704. Win32 API의 UnionRect를 닷넷 BCL의 Rectangle.Union으로 바꿀 때 주의 사항
11398정성태12/13/201717867오류 유형: 442. ASP.NET Core Web Application (on .NET Framework) 프로젝트에서 외부 라이브러리 동적 로드 시 런타임 버전 문제파일 다운로드1
11397정성태12/12/201720459.NET Framework: 703. 양자 컴퓨팅을 위한 마이크로소프트의 Q# 언어
11396정성태12/8/201742870개발 환경 구성: 343. Visual Studio - 리눅스 용 프로젝트의 인텔리센스를 위한 헤더 파일 처리 방법 [3]
11395정성태12/8/201718667오류 유형: 441. 이벤트 로그 - Time Provider NtpClient: No valid response has been received from domain controller
11394정성태12/8/201718336개발 환경 구성: 342.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실행하던 ASP.NET Core (.NET Framework) 응용 프로그램을 명령행에서 실행하는 방법
11393정성태12/7/201722889Windows: 145. 윈도우 10 빌드 17046부터 WSL에서 백그라운드 작업 지원 [5]
11392정성태12/7/201718141개발 환경 구성: 341. openSUSE에 닷넷 코어 설치
11391정성태12/7/201720986개발 환경 구성: 340. WSL을 이용해 윈도우 PC 1대에서 openSUSE 응용 프로그램을 Visual Studio로 개발하는 방법 [1]
11390정성태12/7/201729640개발 환경 구성: 339. WSL을 이용해 윈도우 PC 1대에서 Linux 응용 프로그램을 Visual Studio로 개발하는 방법 [6]
11389정성태12/7/201718320오류 유형: 440. .NET Core 오류 - 0x80131620 Unable to load DLL 'libuv'
11388정성태12/6/201721974개발 환경 구성: 338. WSL 또는 Ubuntu에 닷넷 코어 설치 [3]
11387정성태12/6/201722310오류 유형: 439. 이벤트 로그 - Data Sharing Service 서비스의 %%3239247874 오류 메시지
11386정성태12/5/201717870오류 유형: 438. Hyper-V - '...' failed to add device 'Virtual CD/DVD Disk'
11385정성태12/5/201730969VC++: 121.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Visual C++) [16]파일 다운로드1
11384정성태12/5/201720275오류 유형: 437. Visual C++ - Cannot open include file: 'SDKDDKVer.h'
11383정성태12/4/201723364디버깅 기술: 110. 비동기 코드 실행 중 예외로 인한 ASP.NET 프로세스 비정상 종료 현상 [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