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Windows: 36. Windows PE ISO 이미지 만들기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38164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4개 있습니다.)

Windows PE ISO 이미지 만들기


의외로 PE에 대한 자료가 웹에 많이 있어서 만들어 보는 것이 그다지 어렵지 않았습니다. 우선, technet에 소개된 마이크로소프트의 자료가 있고,

Windows PE 이미지 만들기 (Vista)
; https://learn.microsoft.com/en-us/previous-versions/windows/it-pro/windows-vista/cc766066(v=ws.10)

Windows PE와는 다른 "Bart PE"를 소개한 글들도 있습니다.

Bart's Preinstalled Environment (BartPE) bootable live windows CD/DVD
; http://www.nu2.nu/pebuilder/

PE Builder를 이용 BartPE(Windows PE) 만들기
; http://itka.kr/zbxe/?mid=oswindows&sort_index=readed_count&order_type=desc&document_srl=2231

제가 선택한 방법은 Bart PE가 아닌 Windows PE였습니다. 선택 기준은 ^^ 뚜렷하지 않았고 단지 지속적으로 향상될 가능성이라는 면에서 택한 것 뿐입니다. 게다가 복잡할 것 같은 이런 과정을 쭉 정리해준 아래의 글이 있어서 제법 쉽게 할 수 있었습니다. ^^

WINDOWS DESKTOP MANAGEMENT TIPS
How to create a Windows Vista boot CD with WinPE
; http://searchenterprisedesktop.techtarget.com/tip/0,289483,sid192_gci1297757,00.html?track=sy43&asrc=RSS_RSS-2_43

그럼, 한번 따라해 볼까요? ^^




1. AIK 다운로드


아래의 사이트에서 AIK를 다운로드, 설치합니다.

Automated Installation Kit (AIK) for Windows Vista SP1 and Windows Server 2008
; http://www.microsoft.com/downloads/details.aspx?FamilyId=94BB6E34-D890-4932-81A5-5B50C657DE08

[그림 1: Windows AIK Setup]
vista_windows_pe_install_1.png

2. PE 파일 복사

설치된 프로그램 "Windows PE Tools Command Prompt"를 실행시키면 다음과 같은 창이 보입니다. 시작 폴더가 "%ProgramFiles%\Windows AIK\Tools\PETools"임을 확인합니다.

[그림 2: "Windows PE Tools Command Prompt" 실행]
vista_windows_pe_install_2.png

이제 새로운 폴더로 PE 파일을 복사합니다. 이때 대상이 되는 폴더가 미리 생성되어 있으면 안됩니다. 예를 들어, 저 같은 경우에는 E:\VistaPE라는 경로를 지정했고, 이때 VistaPE라는 이름의 폴더는 없는 상태입니다. 아래는 실행 결과입니다.

E:\Program Files\Windows AIK\Tools\PETools>CopyPE x86 e:\VistaPE

===================================================
Creating Windows PE customization working directory

    e:\VistaPE
===================================================

        1 file(s) copied.
        1 file(s) copied.
E:\Program Files\Windows AIK\Tools\PETools\X86\boot\bcd
E:\Program Files\Windows AIK\Tools\PETools\X86\boot\boot.sdi
E:\Program Files\Windows AIK\Tools\PETools\X86\boot\bootfix.bin
E:\Program Files\Windows AIK\Tools\PETools\X86\boot\etfsboot.com
E:\Program Files\Windows AIK\Tools\PETools\X86\boot\fonts\chs_boot.ttf
E:\Program Files\Windows AIK\Tools\PETools\X86\boot\fonts\cht_boot.ttf
E:\Program Files\Windows AIK\Tools\PETools\X86\boot\fonts\jpn_boot.ttf
E:\Program Files\Windows AIK\Tools\PETools\X86\boot\fonts\kor_boot.ttf
E:\Program Files\Windows AIK\Tools\PETools\X86\boot\fonts\wgl4_boot.ttf
9 File(s) copied
E:\Program Files\Windows AIK\Tools\PETools\X86\EFI\microsoft\boot\bcd
E:\Program Files\Windows AIK\Tools\PETools\X86\EFI\microsoft\boot\fonts\chs_boot.ttf
E:\Program Files\Windows AIK\Tools\PETools\X86\EFI\microsoft\boot\fonts\cht_boot.ttf
E:\Program Files\Windows AIK\Tools\PETools\X86\EFI\microsoft\boot\fonts\jpn_boot.ttf
E:\Program Files\Windows AIK\Tools\PETools\X86\EFI\microsoft\boot\fonts\kor_boot.ttf
E:\Program Files\Windows AIK\Tools\PETools\X86\EFI\microsoft\boot\fonts\wgl4_boot.ttf
6 File(s) copied
        1 file(s) copied.
        1 file(s) copied.

Success

Updating path to include peimg, oscdimg, imagex

   E:\Program Files\Windows AIK\Tools\PETools\
   E:\Program Files\Windows AIK\Tools\PETools\..\x86


e:\VistaPE>

3. 사용자 정의 파일 복사


PE로 부팅했을 때 사용하고 싶은 파일들이 있다면 복사해 놓습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음... 딱히 필요한 파일이 없어서 그냥 생략했습니다.

4. Windows PE 이미지(Winpe.wim) 적용


2번 단계에서의 "Windows PE Tools Command Prompt" 프로그램을 다시 실행시켜서 "x86" 하위 폴더로 이동한 후, 아래와 같이 부팅 이미지를 "VistaPE" 폴더에 적용합니다. (비스타 사용자는, 이때 명령어 창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시켜야 합니다.)

[그림 3: imagex 프로그램으로 부팅 이미지 생성]
vista_windows_pe_install_3.png

Updating path to include peimg, oscdimg, imagex

   E:\Program Files\Windows AIK\Tools\PETools\
   E:\Program Files\Windows AIK\Tools\PETools\..\x86


C:\Windows\system32>cd "e:\Program Files\Windows AIK\tools\PETools\x86"

C:\Windows\system32>e:

e:\Program Files\Windows AIK\Tools\PETools\x86>imagex /apply winpe.wim 1 e:\VistaPE\mount

ImageX Tool for Windows
Copyright (C) Microsoft Corp. 1981-2005. All rights reserved.



Progress: 100%

Successfully applied image.



e:\Program Files\Windows AIK\Tools\PETools\x86>

5. 드라이버 및 패키지 설치


3번 단계에서는 단순 exe 유형의 프로그램을 복사했던 반면, 이번에는 드라이버나 일정 포맷에 맞게 미리 정의된 패키지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AIK에서 미리 제공되는 몇 가지 유형의 패키지가 있는데 선택해서 설치를 합니다.

참고로, 패키지 목록은 peimg /list 명령어를 통해서 아래와 같이 확인할 수 있습니다.

e:\Program Files\Windows AIK\Tools\PETools\x86>peimg /list e:\VistaPE\mount\Windows
Preinstallation Environment Image Setup Tool for Windows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Culture:          en-US
Time zone offset: (GMT-08:00) Pacific Time (US & Canada)
Time zone name:   "Pacific Standard Time" (use with /timezone)

Lang  | Version       | Ins | Name
------+---------------+-----+-----------------------------------------------
en-US |6.0.6000.16386 |  -  | WinPE-HTA-Package
------+---------------+-----+-----------------------------------------------
      |6.0.6000.16386 |  -  | WinPE-HTA-Package
------+---------------+-----+-----------------------------------------------
en-US |6.0.6000.16386 |  -  | WinPE-MDAC-Package
------+---------------+-----+-----------------------------------------------
      |6.0.6000.16386 |  -  | WinPE-MDAC-Package
------+---------------+-----+-----------------------------------------------
en-US |6.0.6000.16386 |  -  | WinPE-Scripting-Package
------+---------------+-----+-----------------------------------------------
      |6.0.6000.16386 |  -  | WinPE-Scripting-Package
------+---------------+-----+-----------------------------------------------
en-US |6.0.6000.16386 |  -  | WinPE-WMI-Package
------+---------------+-----+-----------------------------------------------
      |6.0.6000.16386 |  -  | WinPE-WMI-Package
------+---------------+-----+-----------------------------------------------
en-US |6.0.6000.16386 |  -  | WinPE-XML-Package
------+---------------+-----+-----------------------------------------------
      |6.0.6000.16386 |  -  | WinPE-XML-Package
------+---------------+-----+-----------------------------------------------
      |6.0.6000.16386 |  -  | WinPE-FontSupport-JA-JP-Package
------+---------------+-----+-----------------------------------------------
      |6.0.6000.16386 |  -  | WinPE-FontSupport-KO-KR-Package
------+---------------+-----+-----------------------------------------------
      |6.0.6000.16386 |  -  | WinPE-FontSupport-ZH-CN-Package
------+---------------+-----+-----------------------------------------------
      |6.0.6000.16386 |  -  | WinPE-FontSupport-ZH-HK-Package
------+---------------+-----+-----------------------------------------------
      |6.0.6000.16386 |  -  | WinPE-FontSupport-ZH-TW-Package
------+---------------+-----+-----------------------------------------------

Listed 15 package(s).

PEIMG completed the operation successfully.

e:\Program Files\Windows AIK\Tools\PETools\x86>

그래서... 그냥 아래와 같은 배치 파일을 만들어서 실행시켜도 되겠지요.

e:\Program Files\Windows AIK\Tools\PETools\x86>type install-packages.bat
peimg /install=WinPE-XML-Package e:\VistaPE\mount
peimg /install=WinPE-HTA-Package e:\VistaPE\mount
peimg /install=WinPE-Scripting-Package e:\VistaPE\mount
peimg /install=WinPE-MDAC-Package e:\VistaPE\mount
peimg /install=WinPE-WMI-Package e:\VistaPE\mount

e:\Program Files\Windows AIK\Tools\PETools\x86>

6. 패키지 추가 완료 명시


원하는 패키지들을 모두 추가했다면, PE 이미지를 고정시켜줍니다. 일단 한번 아래와 같은 명령어로 고정이 되었다면 더 이상 패키지를 추가할 수 없기 때문에 원하는 패키지가 있다면 반드시 그 전에 추가해 주어야 합니다.

e:\Program Files\Windows AIK\Tools\PETools\x86>peimg /image=e:\VistaPE\mount /prep
Preinstallation Environment Image Setup Tool for Windows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The /prep command will permanently modify a Windows PE image, so that it can
no longer be serviced.  This means that operations including:

   - Installing or uninstalling optional features
   - Applying hotfixes or other servicing packages
   - Installing language packs

Will not be possible on the prepared image.

To continue, enter "yes".  Any other input will exit the program.

Continue? yes
[==========================100.0%==========================]
PEIMG completed the operation successfully.

e:\Program Files\Windows AIK\Tools\PETools\x86>

위의 과정을 거치고 나면 최종 이미지에 지정되지 않은 모든 패키지 및 언어 팩들이 제거됩니다. 이 때문에 원래의 "E:\VistaPE" 폴더 크기가 1GB가 넘었는데, 위의 명령어 실행 이후 660MB 정도로 줄어들게 되었습니다.

7. ISO로 만들어질 이미지 생성


자... 이제 모든 설정이 적용된 이미지를 생성하면 됩니다.

e:\Program Files\Windows AIK\Tools\PETools\x86>imagex /boot /compress max /capture "e:\VistaPE\mount" "e:\VistaPE\iso\sources\boot.wim" "VistaPEImage"

ImageX Tool for Windows
Copyright (C) Microsoft Corp. 1981-2005. All rights reserved.


Files/folders excluded from image capture by default:

 \WINDOWS\CSC
 \RECYCLER
 \System Volume Information
 \pagefile.sys
 \hiberfil.sys
 \$ntfs.log


Progress: 100%

Successfully imaged e:\VistaPE\mount



e:\Program Files\Windows AIK\Tools\PETools\x86>

사실상, 이것으로 PE 이미지를 준비하는 작업은 완료가 되었습니다.

8. ISO 이미지 생성


7번 단계까지 해서 완료된 PE 이미지를 ISO로 변환시켜 줍니다. 이를 위해 AIK에는 oscdimg.exe라는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는데, 단순히 아래와 같이 실행시켜 주면 됩니다.

e:\Program Files\Windows AIK\Tools\PETools\x86>oscdimg -n e:\VistaPE\ISO e:\VistaPE\VistaPEImage.iso -n -be:\VistaPE\etfsboot.com

OSCDIMG 2.45 CD-ROM and DVD-ROM Premastering Utility
Copyright (C) Microsoft, 1993-2000.  All rights reserved.
For Microsoft internal use only.


Scanning source tree complete (17 files in 8 directories)

Computing directory information complete

Image file is 150368256 bytes

Writing 17 files in 8 directories to e:\VistaPE\VistaPEImage.iso

100% complete

Final image file is 150368256 bytes

Done.

e:\Program Files\Windows AIK\Tools\PETools\x86>

명령이 성공적으로 실행되고 나면 E:\VistaPE 폴더에 VistaPEImage.iso라는 이름의 ISO 이미지 파일이 생성됩니다. 용량도 146 MB로 확 줄었네요. ^^ 아래의 화면은 이 파일을 Virtual PC/Server에 마운팅시켜서 부팅시킨 모습입니다.

[그림 4: PE 이미지 부팅]
vista_windows_pe_install_4.png

이것으로 끝!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2/22/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09-03-04 12시38분
위의 설명은 x86을 대상으로 했는데요. 원래 AIK를 다운로드 받으면 "en_windows_vista_windows_automated_installation_kit_dvd_X13-63415.iso" 라는 이미지 파일안에 "WAIKAMD64.MSI"라는 이름으로 x64용 설치 파일이 있는 데 이걸 실행시켜서 설치한 후에 본문에서 설명한 동일한 방법을 따르면 x64용이 됩니다.

x86과 x64를 합치는 방법도 있는데... 일단 오늘은 여기까지! ^^
kevin25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036정성태10/14/201925485.NET Framework: 866. C# - 고성능이 필요한 환경에서 GC가 발생하지 않는 네이티브 힙 사용파일 다운로드1
12035정성태10/13/201919591개발 환경 구성: 461. C# 8.0의 #nulable 관련 특성을 .NET Framework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2034정성태10/12/201918915개발 환경 구성: 460. .NET Core 환경에서 (프로젝트가 아닌) C# 코드 파일을 입력으로 컴파일하는 방법 [1]
12033정성태10/11/201923131개발 환경 구성: 459. .NET Framework 프로젝트에서 C# 8.0/9.0 컴파일러를 사용하는 방법
12032정성태10/8/201919248.NET Framework: 865. .NET Core 2.2/3.0 웹 프로젝트를 IIS에서 호스팅(Inproc, out-of-proc)하는 방법 - AspNetCoreModuleV2 소개
12031정성태10/7/201916501오류 유형: 569. Azure Site Extension 업그레이드 시 "System.IO.IOException: There is not enough space on the disk" 예외 발생
12030정성태10/5/201923313.NET Framework: 864. .NET Conf 2019 Korea - "닷넷 17년의 변화 정리 및 닷넷 코어 3.0" 발표 자료 [1]파일 다운로드1
12029정성태9/27/201924138제니퍼 .NET: 29. Jennifersoft provides a trial promotion on its APM solution such as JENNIFER, PHP, and .NET in 2019 and shares the examples of their application.
12028정성태9/26/201919102.NET Framework: 863. C# - Thread.Suspend 호출 시 응용 프로그램 hang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시도파일 다운로드1
12027정성태9/26/201914817오류 유형: 568. Consider app.config remapping of assembly "..." from Version "..." [...] to Version "..." [...] to solve conflict and get rid of warning.
12026정성태9/26/201920235.NET Framework: 862. C# - Active Directory의 LDAP 경로 및 정보 조회
12025정성태9/25/201918546제니퍼 .NET: 28. APM 솔루션 제니퍼, PHP, .NET 무료 사용 프로모션 2019 및 적용 사례 (8) [1]
12024정성태9/20/201920470.NET Framework: 861. HttpClient와 HttpClientHandler의 관계 [2]
12023정성태9/18/201920934.NET Framework: 860. ServicePointManager.DefaultConnectionLimit와 HttpClient의 관계파일 다운로드1
12022정성태9/12/201924877개발 환경 구성: 458. C# 8.0 (Preview) 신규 문법을 위한 개발 환경 구성 [3]
12021정성태9/12/201940677도서: 시작하세요! C# 8.0 프로그래밍 [4]
12020정성태9/11/201923850VC++: 134. SYSTEMTIME 값 기준으로 특정 시간이 지났는지를 판단하는 함수
12019정성태9/11/201917401Linux: 23. .NET Core + 리눅스 환경에서 Environment.CurrentDirectory 접근 시 주의 사항
12018정성태9/11/201916204오류 유형: 567. IIS - Unrecognized attribute 'targetFramework'. Note that attribute names are case-sensitive. (D:\lowSite4\web.config line 11)
12017정성태9/11/201920025오류 유형: 566. 비주얼 스튜디오 - Failed to register URL "http://localhost:6879/" for site "..." application "/". Error description: Access is denied. (0x80070005)
12016정성태9/5/201920025오류 유형: 565. git fetch - warning: 'C:\ProgramData/Git/config' has a dubious owner: '(unknown)'.
12015정성태9/3/201925437개발 환경 구성: 457. 윈도우 응용 프로그램의 Socket 연결 시 time-out 시간 제어
12014정성태9/3/201919194개발 환경 구성: 456. 명령행에서 AWS, Azure 등의 원격 저장소에 파일 관리하는 방법 - cyberduck/duck 소개
12013정성태8/28/201922097개발 환경 구성: 455. 윈도우에서 (테스트) 인증서 파일 만드는 방법 [3]
12012정성태8/28/201926662.NET Framework: 859. C# - HttpListener를 이용한 HTTPS 통신 방법
12011정성태8/27/201926235사물인터넷: 57. C# - Rapsberry Pi Zero W와 PC 간 Bluetooth 통신 예제 코드파일 다운로드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