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C/C++ 프로젝트에 /clr 옵션 적용으로 인한 COM 개체 사용 오류


참, 재미있는 현상이 팀원으로부터 보고되었습니다. 소스 코드는 단일 파일에 아래와 같이 아주 간단한 구조의 C/C++ 콘솔 프로젝트였습니다.

#include "stdafx.h"

#include <vector>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int _tmain(int argc, _TCHAR* argv[])
{
    ... [중간 생략] ...

    HRESULT hr = ::CoInitialize(NULL);

    IMyObject* pMyObject = NULL;
    hr = ::CoCreateInstance(CLSID_MyObject, NULL, CLSCTX_INPROC_SERVER, IID_IMyObject, 
        (PVOID *)&pMyObject);
    
    tagMyStruct testParam;
    hr = pMyObject->CallMethod(&testParam);
    
    CComBSTR bstrError; 
    pISARRoute->get_ErrorMessage(&bstrError);

    ... [중간생략] ...

    ::CoUninitialize();

    return 0;
}

위의 코드는 정상동작했습니다. 하지만, 아래와 같이 CLR 지원 옵션 "/clr"을 주기만 하면 프로그램이 "Access violation" 예외를 발생하며 다운되었습니다.

[그림 1: /clr 빌드 옵션]
clr_switch_with_com_object_1.PNG

"/clr" 적용 후, CoCreateInstance는 정상적으로 되었는데, CallMethod 호출의 hr 반환값이 "-2147352568"으로 나왔습니다. 이 값을 "Error Lookup"으로 확인해 보면 "0x80020008: Bad variable type"으로 나옵니다.

그리곤, get_ErrorMessage 메서드 호출에서 아래와 같은 디버그 출력문을 끝으로 프로그램이 종료되었습니다.

First-chance exception at 0x10001d2e in TestCpp.exe: 0xC0000005: Access violation reading location 0xfab8d088.
Windows has triggered a breakpoint in TestCpp.exe.

오호... 이런 신기한 일이!
단지, "/clr" 옵션만 주었을 뿐인데 이렇게 프로그램이 오동작을 해버렸습니다.

경험상, 이렇게 "Bad variable type"이 나오는 경우중의 하나가 바로 "마샬링" 문제였던 것을 상기시켜서 확실히 하기 위해 CoInitialize의 반환값을 확인해 보았습니다.

HRESULT hr = ::CoInitialize(NULL); 
// hr == -2147417850
//    == 0x80010106
//    == Cannot change thread mode after it is set.

그렇군요. 답이 나왔습니다. /clr 적용으로 인해 STA로 초기화되지 못했던 것입니다. 그러고 보니, 일반적인 C# 프로그램은 기본값이 MTA였고, WinForm의 경우에 STA를 적용하기 위해 Main 함수에 "[STAThread]" 특성을 적용하던 것이 생각났습니다.

아하... 그렇다면 C/C++ 콘솔 응용 프로그램 역시 /clr 옵션 때문에 기본값이 MTA로 바뀌었다는 것이고 결국 위와 같은 결과가 발생했다는 것으로 정리가 됩니다.

원칙이 그러하다면... STA로 바꾸는 방법 역시 마찬가지가 아닐까 싶어서 아래와 같이 특성을 적용해 보았습니다.

[System::STAThreadAttribute]
int _tmain(int argc, _TCHAR* argv[])
{
    ... [중간 생략] ...
}

정말 되네요. ^^;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6/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NoWriterDateCnt.TitleFile(s)
989정성태2/1/201134683개발 환경 구성: 103. DOS batch - 동기 방식으로 원격 서비스 제어
988정성태1/30/201130403개발 환경 구성: 102. MSBuild - DefineConstants에 다중 전처리 값 설정
987정성태1/29/201143869디버깅 기술: 33. PDB Symbol 로드 오류 - Cannot find or open the PDB file. [2]
986정성태1/26/201135407.NET Framework: 204. 분리된 ThreadPool 사용 - Smart Thread Pool
985정성태1/25/201131751디버깅 기술: 32. 인증서로 서명된 닷넷 어셈블리의 실행 지연 현상
984정성태1/25/201126368개발 환경 구성: 101. SharePoint 2010 - Form Design
983정성태1/23/201132112제니퍼 .NET: 15. 눈으로 확인하는 maxWorkerThreads, minFreeThreads 설정값 [1]
982정성태1/22/201128098개발 환경 구성: 100. SharePoint 2010 - iPad 친화적인 게시판 만들기 (사용자 지정 목록) [1]
981정성태1/19/201125139개발 환경 구성: 99. SharePoint 2010 - 웹 애플리케이션 생성 시 고려해야 할 점. [1]
980정성태1/19/201136770개발 환경 구성: 98. SharePoint 2010 - Office Web Apps 설치
979정성태1/18/201129616개발 환경 구성: 97. SharePoint 2010 팀 사이트 구성
978정성태1/16/201136865.NET Framework: 203. VPN 자동 연결 및 Router 설정 추가
977정성태1/12/201135178개발 환경 구성: 96. SharePoint 2010 설치 [5]
976정성태1/11/201158388오류 유형: 111. IIS - 500.19 오류 (0x8007000d)
975정성태1/10/201131547.NET Framework: 202. CLR JIT 컴파일러가 생성한 기계어 코드 확인하는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974정성태1/8/201131088.NET Framework: 201. 윈폼 TreeView - Bold 폰트 설정 후 텍스트가 잘리는 문제 [1]파일 다운로드1
973정성태1/7/201130161.NET Framework: 200. IIS Metabase와 ServerManager 개체 활용파일 다운로드1
972정성태1/7/201128229개발 환경 구성: 95. SQL Server 2008 R2 이하 버전 정보 확인
971정성태1/5/201138051.NET Framework: 199. .NET 코드 - Named Pipe 닷넷 서버와 VC++ 클라이언트 제작 [2]파일 다운로드1
970정성태1/4/201138442.NET Framework: 198. 윈도우 응용 프로그램에 Facebook 로그인 연동 [1]파일 다운로드1
969정성태12/31/201044456VC++: 45. Winsock 2 Layered Service Provider - Visual Studio 2010용 프로젝트 [1]파일 다운로드1
968정성태12/30/201030646개발 환경 구성: 94. 개발자가 선택할 수 있는 윈도우에서의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기술 [2]
967정성태12/27/201032336.NET Framework: 197. .NET 코드 - 단일 Process 실행파일 다운로드1
966정성태12/26/201029814.NET Framework: 196. .NET 코드 - 창 흔드는 효과파일 다운로드1
965정성태12/25/201031985개발 환경 구성: 93. MSBuild를 이용한 닷넷 응용프로그램의 다중 어셈블리 출력 빌드파일 다운로드1
964정성태12/21/2010147999개발 환경 구성: 92. 윈도우 서버 환경에서, 최대 생성 가능한 소켓(socket) 연결 수는 얼마일까? [14]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