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C/C++ 프로젝트에 /clr 옵션 적용으로 인한 COM 개체 사용 오류


참, 재미있는 현상이 팀원으로부터 보고되었습니다. 소스 코드는 단일 파일에 아래와 같이 아주 간단한 구조의 C/C++ 콘솔 프로젝트였습니다.

#include "stdafx.h"

#include <vector>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int _tmain(int argc, _TCHAR* argv[])
{
    ... [중간 생략] ...

    HRESULT hr = ::CoInitialize(NULL);

    IMyObject* pMyObject = NULL;
    hr = ::CoCreateInstance(CLSID_MyObject, NULL, CLSCTX_INPROC_SERVER, IID_IMyObject, 
        (PVOID *)&pMyObject);
    
    tagMyStruct testParam;
    hr = pMyObject->CallMethod(&testParam);
    
    CComBSTR bstrError; 
    pISARRoute->get_ErrorMessage(&bstrError);

    ... [중간생략] ...

    ::CoUninitialize();

    return 0;
}

위의 코드는 정상동작했습니다. 하지만, 아래와 같이 CLR 지원 옵션 "/clr"을 주기만 하면 프로그램이 "Access violation" 예외를 발생하며 다운되었습니다.

[그림 1: /clr 빌드 옵션]
clr_switch_with_com_object_1.PNG

"/clr" 적용 후, CoCreateInstance는 정상적으로 되었는데, CallMethod 호출의 hr 반환값이 "-2147352568"으로 나왔습니다. 이 값을 "Error Lookup"으로 확인해 보면 "0x80020008: Bad variable type"으로 나옵니다.

그리곤, get_ErrorMessage 메서드 호출에서 아래와 같은 디버그 출력문을 끝으로 프로그램이 종료되었습니다.

First-chance exception at 0x10001d2e in TestCpp.exe: 0xC0000005: Access violation reading location 0xfab8d088.
Windows has triggered a breakpoint in TestCpp.exe.

오호... 이런 신기한 일이!
단지, "/clr" 옵션만 주었을 뿐인데 이렇게 프로그램이 오동작을 해버렸습니다.

경험상, 이렇게 "Bad variable type"이 나오는 경우중의 하나가 바로 "마샬링" 문제였던 것을 상기시켜서 확실히 하기 위해 CoInitialize의 반환값을 확인해 보았습니다.

HRESULT hr = ::CoInitialize(NULL); 
// hr == -2147417850
//    == 0x80010106
//    == Cannot change thread mode after it is set.

그렇군요. 답이 나왔습니다. /clr 적용으로 인해 STA로 초기화되지 못했던 것입니다. 그러고 보니, 일반적인 C# 프로그램은 기본값이 MTA였고, WinForm의 경우에 STA를 적용하기 위해 Main 함수에 "[STAThread]" 특성을 적용하던 것이 생각났습니다.

아하... 그렇다면 C/C++ 콘솔 응용 프로그램 역시 /clr 옵션 때문에 기본값이 MTA로 바뀌었다는 것이고 결국 위와 같은 결과가 발생했다는 것으로 정리가 됩니다.

원칙이 그러하다면... STA로 바꾸는 방법 역시 마찬가지가 아닐까 싶어서 아래와 같이 특성을 적용해 보았습니다.

[System::STAThreadAttribute]
int _tmain(int argc, _TCHAR* argv[])
{
    ... [중간 생략] ...
}

정말 되네요. ^^;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6/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526정성태2/1/202117988개발 환경 구성: 532. Azure Devops의 파이프라인 빌드 시 snk 파일 다루는 방법 - Secure file
12525정성태2/1/202116517개발 환경 구성: 531. Azure Devops - 파이프라인 실행 시 빌드 이벤트를 생략하는 방법
12524정성태1/31/202116655개발 환경 구성: 530. 기존 github 프로젝트를 Azure Devops의 빌드 Pipeline에 연결하는 방법 [1]
12523정성태1/31/202119132개발 환경 구성: 529. 기존 github 프로젝트를 Azure Devops의 Board에 연결하는 방법
12522정성태1/31/202121419개발 환경 구성: 528. 오라클 클라우드의 리눅스 VM - 9000 MTU Jumbo Frame 테스트
12521정성태1/31/202119084개발 환경 구성: 527. 이더넷(Ethernet) 환경의 TCP 통신에서 MSS(Maximum Segment Size) 확인 [1]
12520정성태1/30/202118367개발 환경 구성: 526. 오라클 클라우드의 VM에 ping ICMP 여는 방법
12519정성태1/30/202117669개발 환경 구성: 525. 오라클 클라우드의 VM을 외부에서 접근하기 위해 포트 여는 방법
12518정성태1/30/202136067Linux: 37. Ubuntu에 Wireshark 설치 [2]
12517정성태1/30/202123051Linux: 36. 윈도우 클라이언트에서 X2Go를 이용한 원격 리눅스의 GUI 접속 - 우분투 20.04
12516정성태1/29/202119543Windows: 188. Windows - TCP default template 설정 방법
12515정성태1/28/202121858웹: 41. Microsoft Edge - localhost에 대해 http 접근 시 무조건 https로 바뀌는 문제 [3]
12514정성태1/28/202122305.NET Framework: 1021. C# - 일렉트론 닷넷(Electron.NET) 소개 [1]파일 다운로드1
12513정성태1/28/202117754오류 유형: 698. electronize - User Profile 디렉터리에 공백 문자가 있는 경우 빌드가 실패하는 문제 [1]
12512정성태1/28/202119794오류 유형: 697. The program can't start because VCRUNTIME140.dll is missing from your computer. Try reinstalling the program to fix this problem.
12511정성태1/27/202119257Windows: 187. Windows - 도스 시절의 8.3 경로를 알아내는 방법
12510정성태1/27/202120372.NET Framework: 1020. .NET Core Kestrel 호스팅 - Razor 지원 추가 [1]파일 다운로드1
12509정성태1/27/202118736개발 환경 구성: 524. Jupyter Notebook에서 C#(F#, PowerShell) 언어 사용을 위한 환경 구성 [3]
12508정성태1/27/202119454개발 환경 구성: 523. Jupyter Notebook - Slide 플레이 버튼이 없는 경우
12507정성태1/26/202120029VS.NET IDE: 157. Visual Studio - Syntax Visualizer 메뉴가 없는 경우
12506정성태1/25/202122603.NET Framework: 1019. Microsoft.Tye 기본 사용법 소개 [1]
12505정성태1/23/202118171.NET Framework: 1018. .NET Core Kestrel 호스팅 - Web API 추가 [1]파일 다운로드1
12504정성태1/23/202121403.NET Framework: 1017. .NET 5에서의 네트워크 라이브러리 개선 (2) - HTTP/2, HTTP/3 관련 [1]
12503정성태1/21/202120128오류 유형: 696. C# - HttpClient: Requesting HTTP version 2.0 with version policy RequestVersionExact while HTTP/2 is not enabled.
12502정성태1/21/202120707.NET Framework: 1016. .NET Core HttpClient의 HTTP/2 지원파일 다운로드1
12501정성태1/21/202119251.NET Framework: 1015. .NET 5부터 HTTP/1.1, 2.0 선택을 위한 HttpVersionPolicy 동작 방식파일 다운로드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