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120. 타입이 다른 배열끼리의 변환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2991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타입이 다른 배열끼리의 변환


이래서 공부를 해야 한다는 생각이. ^^

그동안, 경우에 따라서 아래와 같은 식으로 코드를 작성해야 할 필요가 있었을 분들이 계실 텐데요.

object[] obj = new object[2] { Guid.NewGuid(), Guid.NewGuid() };
Guid[] guids = obj as Guid [];

물론, 마음 먹었던 것과는 달리 아쉽게도 위의 코드는 오류가 발생합니다.

Error   1   Cannot convert type 'object[]' to 'System.Guid[]' via a reference conversion, 
            boxing conversion, unboxing conversion, wrapping conversion, or null type conversion    
            d:\...\Form1.cs MyTest  27  29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NET 1.1 시절에는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코드를 작성해야 했습니다.

object[] obj = new object[2] { Guid.NewGuid(), Guid.NewGuid() };

Guid[] guids = new Guid[obj.Length];
int index = 0;
foreach (object item in obj)
{
    guids[index ++] = (Guid)item;
}

세상이 좋아져서, .NET 2.0이 나왔고 Generic의 도움을 빌어 이젠 아래와 같이 작성할 수 있습니다.

private static Guid ObjectToGuidConverter(object from)
{
    return (Guid)from;
}

private void Form1_Load(object sender, EventArgs e)
{
    object[] obj = new object[2] { Guid.NewGuid(), Guid.NewGuid() };
    Guid[] guids = Array.ConvertAll(obj, new Converter<object, Guid>(ObjectToGuidConverter)) as Guid[];
}

저처럼, .NET 1.0 시절부터 바쁘게 달려온 사람들한테는... 팁일 수 있겠죠. ^^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9/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0808정성태6/17/201524522.NET Framework: 517. calli IL 호출이 DllImport 호출보다 빠를까요? [1]파일 다운로드1
10807정성태6/16/201526132.NET Framework: 516. Microsoft.AspNet.Membership.OpenAuth 사용 시 "Local Database Runtime error occurred" 오류
10806정성태6/16/201543091.NET Framework: 515. OpenAuth.VerifyAuthentication 호출 시 The remote server returned an error: (400) Bad Request
10805정성태6/15/201525217Java: 17. 자바의 재미있는 상수 처리 방식
10804정성태6/10/201525723.NET Framework: 514. .NET CLR2 보안 모델에서의 APTCA 역할 (2)파일 다운로드1
10803정성태6/2/201527794.NET Framework: 513. UWP(Universal Windows Platform) 응용 프로그램의 새로운 라이브러리 버전 관리 해법 [2]
10802정성태6/2/201526278개발 환경 구성: 269. 마이크로소프트 온라인 강좌 소개 - Azure VPN 구성 방법 [1]
10801정성태5/31/201531799.NET Framework: 512. async/await 사용 시 hang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 두 번째 이야기 [3]
10800정성태5/29/201527837개발 환경 구성: 268. 소개 - 프로세싱(https://processing.org/)
10799정성태5/29/201524791사물인터넷: 3. 책 소개 - 라즈베리 파이로 구현하는 사물 인터넷 프로젝트 [1]
10798정성태5/26/201525168기타: 53. 2015년 6월 10일 밤 10시 온라인 세미나 - 새로운 Windows 10 App을 개발하는 방법
10797정성태5/23/201524688VC++: 91. 자식 스레드에 자동 상속되는 TEB의 SubProcessTag 필드파일 다운로드1
10796정성태5/23/201535849오류 유형: 293. SQL Server Management Studio 실행 시 "Cannot find one or more components" 오류
10795정성태5/23/201533968오류 유형: 292. InstallUtil로 .NET 서비스 등록 시 오류 - Operation is not supported. (Exception from HRESULT: 0x80131515). [3]
10794정성태5/22/201528681개발 환경 구성: 267. (무료) 마이크로소프트 온라인 강좌 소개 - 네트워킹 기초 [1]
2925정성태5/14/201527655디버깅 기술: 73. PDB 기호 파일의 경로 구성 방식파일 다운로드1
2924정성태5/14/201531410VS.NET IDE: 100. 비주얼 스튜디오 원격 디버깅 시 'Unknown function' 콜스택이 나온다면?
2923정성태5/12/201591037기타: 52. 도서: 시작하세요! C# 6.0 프로그래밍: 기본 문법부터 실전 예제까지 [17]
2922정성태5/12/201526733오류 유형: 291. ssindex.cmd 실행 시 '...[tfs_collection_url]...' not found in srcsrv.ini 오류 발생
2921정성태5/9/201533631개발 환경 구성: 266. 인텔에서 구현한 최대 절전 모드 기능 - Intel® Rapid Start Technology
2920정성태5/9/201524497오류 유형: 290. 디스크 관리자의 파티션 축소 시, There is not enough space available on the disk(s) to complete this operation.
2919정성태5/9/201524612오류 유형: 289. Error: this template attempted to load component assembly 'NuGet.VisualStudio.Interop, ...'
2918정성태5/9/201543173Windows: 111. 복구(Recovery) 파티션 삭제하는 방법 [3]
2917정성태5/9/201533783오류 유형: 288. .NET Framework 4.6이 설치된 경우 "Intel® Rapid Storage Technology (Intel® RST) RAID Driver"가 설치 안 되는 문제 [5]
2916정성태5/9/201534805오류 유형: 287. 레지스트리 권한 오류 - Cannot edit [Registry key name]: Error writing the value's new contents.
2915정성태5/9/201534757개발 환경 구성: 265. TrustedInstaller 권한으로 프로그램 실행시키는 방법 [11]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