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VS.NET IDE: 8. Windows 가상 메모리 사용 해제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5641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가상 메모리 쓰지 맙시다.

요즘 노트북이나 데스크톱이 보통 1GB 정도의 메모리를 보유하고 있지요.
이런 경우 굳이 가상 메모리를 쓸 필요가 없습니다. 오히려, 가상 메모리 사용을
해제하면 프로세스의 Context Switching 같은 것들이 훨씬 부드러워진 것을 느낄
수 있지요. 물론, 자신의 PC에서 VPC를 올리시는 분들이라면 메모리 부족
오류가 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라면 무리 없이 빠른 환경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참고로 저는 제 노트북에서, 기본적으로 SQL Server 2000, IIS,
VS.NET 2003, OneNote 2003이 컴퓨터에 올라와 있는데 메모리 사용량이 450MB
정도 됩니다.)

참... VPC에서 쓰는 vhd 이미지 파일이 Virtual Server 2005에서도 그대로
사용 가능하다는 거 알고 계시죠? 따라서, 자신의 컴퓨터에서 무리하게 VPC를
운용해서 컴퓨터 성능을 떨어뜨리기보다는, 회사의 데스크톱이나 성능 좋은
서버에 Virtual Server를 설치해 두시고 거기서 돌리는 것이 여러 가지 면에서
쾌적한 개발 환경을 즐기실 수 있습니다. ^^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5/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881정성태12/17/202120245개발 환경 구성: 618. WSL Ubuntu 20.04에서 파이썬을 위한 uwsgi 설치 방법 (2)
12880정성태12/16/202122243VS.NET IDE: 170. Visual Studio에서 .NET Core/5+ 역어셈블 소스코드 확인하는 방법
12879정성태12/16/202128081오류 유형: 774. Windows Server 2022 + docker desktop 설치 시 WSL 2로 선택한 경우 "Failed to deploy distro docker-desktop to ..." 오류 발생
12878정성태12/15/202120885개발 환경 구성: 617. 윈도우 WSL 환경에서 같은 종류의 리눅스를 다중으로 설치하는 방법
12877정성태12/15/202122362스크립트: 36. 파이썬 - pymysql 기본 예제 코드
12876정성태12/14/202122586개발 환경 구성: 616. Custom Sources를 이용한 Azure Monitor Metric 만들기
12875정성태12/13/202120022스크립트: 35. python - time.sleep(...) 호출 시 hang이 걸리는 듯한 문제
12874정성태12/13/202119442오류 유형: 773. shell script 실행 시 "$'\r': command not found" 오류
12873정성태12/12/202121864오류 유형: 772. 리눅스 - PATH에 등록했는데도 "command not found"가 나온다면?
12872정성태12/12/202120682개발 환경 구성: 615. GoLang과 Python 빌드가 모두 가능한 docker 이미지 만들기
12871정성태12/12/202120366오류 유형: 771. docker: Error response from daemon: OCI runtime create failed
12870정성태12/9/202119675개발 환경 구성: 614. 파이썬 - PyPI 패키지 만들기 (4) package_data 옵션
12869정성태12/8/202122074개발 환경 구성: 613. git clone 실행 시 fingerprint 묻는 단계를 생략하는 방법
12868정성태12/7/202121155오류 유형: 770. twine 업로드 시 "HTTPError: 400 Bad Request ..." 오류 [1]
12867정성태12/7/202120764개발 환경 구성: 612. 파이썬 - PyPI 패키지 만들기 (3) entry_points 옵션
12866정성태12/7/202128585오류 유형: 769. "docker build ..." 시 "failed to solve with frontend dockerfile.v0: failed to read dockerfile ..." 오류
12865정성태12/6/202121561개발 환경 구성: 611. 파이썬 - PyPI 패키지 만들기 (2) long_description, cmdclass 옵션
12864정성태12/6/202119509Linux: 46. WSL 환경에서 find 명령을 사용해 파일을 찾는 방법
12863정성태12/4/202120935개발 환경 구성: 610. 파이썬 - PyPI 패키지 만들기
12862정성태12/3/202118183오류 유형: 768. Golang - 빌드 시 "cmd/go: unsupported GOOS/GOARCH pair linux /amd64" 오류
12861정성태12/3/202122863개발 환경 구성: 609. 파이썬 - "Windows embeddable package"로 개발 환경 구성하는 방법 [1]
12860정성태12/1/202117871오류 유형: 767. SQL Server - 127.0.0.1로 접속하는 경우 "Access is denied"가 발생한다면?
12859정성태12/1/202127239개발 환경 구성: 608. Hyper-V 가상 머신에 Console 모드로 로그인하는 방법
12858정성태11/30/202124955개발 환경 구성: 607. 로컬의 USB 장치를 원격 머신에 제공하는 방법 - usbip-win
12857정성태11/24/202121627개발 환경 구성: 606. WSL Ubuntu 20.04에서 파이썬을 위한 uwsgi 설치 방법
12856정성태11/23/202123974.NET Framework: 1121. C# - 동일한 IP:Port로 바인딩 가능한 서버 소켓 [2]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