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The SQL Server Network Interface library could not register the Service Principal Name (SPN) for the SQL Server service.


Oxite 설치로 인해 많은 일이 벌어지는군요. ^^ 그와 관련해서 SQL Express 버전의 User Instance 옵션도 알아봤지요.

SQL Express 버전과 User Instance 옵션 
; https://www.sysnet.pe.kr/2/0/668

그런데, UAC하의 계정에서 Oxite를 실행했더니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A connection was successfully established with the server, but then an error occurred during the login process. (provider: Named Pipes Provider, error: 0 - No process is on the other end of the pipe.)



재미있는 것은, 조금의 시간이 흐른 후에 다시 해보면 정상적으로 Oxite 실행 화면이 나온다는 점입니다. 조금 더 살펴보니, SQL 서비스를 재시작하는 것에 문제가 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SQL 서비스가 "중지"는 빠르게 되는데, "시작"을 하면 한참 동안 진행 상태 대화창이 보이다가 결국에 다음과 같은 메시지를 내뱉으면서 서비스는 기어이 시작은 되어 있습니다.

[그림 1: SQL Express 2008 서비스 시작 오류]
sql_kerberos_failure_1.png

이 시점에 이벤트 로그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로그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Log Name:      Application
Source:        MSSQL$SQLEXPRESS2008
Date:          2009-02-21 오전 11:58:14
Event ID:      26037
Task Category: Server
Level:         Information
Keywords:      Classic
User:          N/A
Computer:      THEMYTH.mydomain.com
Description:
The SQL Server Network Interface library could not register the Service Principal Name (SPN) for the SQL Server service. Error: 0x54b, state: 3. 
Failure to register an SPN may cause integrated authentication to fall back to NTLM instead of Kerberos. 
This is an informational message. 
Further action is only required if Kerberos authentication is required by authentication policies.

음... 이제야 이해가 갑니다. AD에 참여된 노트북이기 때문에 회사에서는 정상적으로 AD에 접속이 되어 Kerberos 보안이 적용된 SPN 등록이 이뤄지지만, 집에 와서 하니 AD 접속에 실패해서 대신 NTLM 보안 방식을 사용하겠다는 것입니다. Oxite 실행에서 처음에는 오류가 발생했다가, 시간이 흐른 뒤에 (즉, NTLM 보안으로 이행한 다음) 접속을 하면 정상적으로 실행되는 점도 같이 설명이 되어졌습니다.

그렇다면, SPN을 등록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 없을까요? 어차피 개인 PC에서 실행되는 SQL Express 버전이 크게 보안이 필요한 부분은 아니기 때문에 AD 접속으로 인한 지연 시간 때문에 웹 사이트 동작을 얼마간 기다려야 한다는 것은 별로 유쾌한 일은 아니니까요.

그러다 찾게 된 것이 아래의 토픽입니다.

SQL Server에서 Kerberos 인증을 사용하는 방법
; http://support.microsoft.com/kb/319723

위의 글을 읽다보면, 얻게 되는 단서가 2개 있는데 "Local SYSTEM" 계정은 SPN을 자동으로 구성한다는 점"과 클라이언트 측에서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SQL 서버에 연결하는 경우에만 Kerberos 보안이 사용되어진다는 점입니다.

그렇다면, "Sql Server Configuration Manager"를 사용하여 TCP/IP 프로토콜을 끄면 혹시 자동적으로 Kerberos 지원을 포기하지 않을까 싶어서 봤는데... 흠... 이미 ^^; TCP/IP 프로콜은 꺼져있는 상태입니다. 이제 남은 희망이라면 "Local SYSTEM"을 다른 걸로 바꿔야 한다는 것인데, SQL Server 2005에서 기본적으로 "Network Service" 계정이었던 점을 감안하여 그걸로 한번 바꿔봤습니다. 쩝... 안되네요. 연이어 로컬 계정으로 지정해 보기도 하고, 설치 단계에서부터 SPN을 사용하겠다는 식으로 등록이 되어 그런 것이 아닐까 싶어서 SQL Express를 설치제거하고 다시 설치해보아도 역시나 안되었습니다.

어쩔 수 없군요. 이젠 다음의 3가지 중에 하나를 선택하는 수 밖에는 없을 것 같습니다.

  • 도메인을 탈퇴하거나,
  • SQL Express에 MDF 파일을 등록해서 쓰거나,
  • User Instance를 쓰지 말고 UAC 계정에서 관리자 계정으로 VS.NET을 실행한다.

(참고로, SQL Express 재설치 후에 User Instance 연결이 아예 안되는 경우 master DB가 캐쉬되어 있는 폴더를 삭제하시면 됩니다.)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0/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NoWriterDateCnt.TitleFile(s)
989정성태2/1/201134691개발 환경 구성: 103. DOS batch - 동기 방식으로 원격 서비스 제어
988정성태1/30/201130416개발 환경 구성: 102. MSBuild - DefineConstants에 다중 전처리 값 설정
987정성태1/29/201143902디버깅 기술: 33. PDB Symbol 로드 오류 - Cannot find or open the PDB file. [2]
986정성태1/26/201135428.NET Framework: 204. 분리된 ThreadPool 사용 - Smart Thread Pool
985정성태1/25/201131766디버깅 기술: 32. 인증서로 서명된 닷넷 어셈블리의 실행 지연 현상
984정성태1/25/201126389개발 환경 구성: 101. SharePoint 2010 - Form Design
983정성태1/23/201132124제니퍼 .NET: 15. 눈으로 확인하는 maxWorkerThreads, minFreeThreads 설정값 [1]
982정성태1/22/201128113개발 환경 구성: 100. SharePoint 2010 - iPad 친화적인 게시판 만들기 (사용자 지정 목록) [1]
981정성태1/19/201125166개발 환경 구성: 99. SharePoint 2010 - 웹 애플리케이션 생성 시 고려해야 할 점. [1]
980정성태1/19/201136774개발 환경 구성: 98. SharePoint 2010 - Office Web Apps 설치
979정성태1/18/201129622개발 환경 구성: 97. SharePoint 2010 팀 사이트 구성
978정성태1/16/201136880.NET Framework: 203. VPN 자동 연결 및 Router 설정 추가
977정성태1/12/201135183개발 환경 구성: 96. SharePoint 2010 설치 [5]
976정성태1/11/201158396오류 유형: 111. IIS - 500.19 오류 (0x8007000d)
975정성태1/10/201131567.NET Framework: 202. CLR JIT 컴파일러가 생성한 기계어 코드 확인하는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974정성태1/8/201131094.NET Framework: 201. 윈폼 TreeView - Bold 폰트 설정 후 텍스트가 잘리는 문제 [1]파일 다운로드1
973정성태1/7/201130176.NET Framework: 200. IIS Metabase와 ServerManager 개체 활용파일 다운로드1
972정성태1/7/201128242개발 환경 구성: 95. SQL Server 2008 R2 이하 버전 정보 확인
971정성태1/5/201138058.NET Framework: 199. .NET 코드 - Named Pipe 닷넷 서버와 VC++ 클라이언트 제작 [2]파일 다운로드1
970정성태1/4/201138445.NET Framework: 198. 윈도우 응용 프로그램에 Facebook 로그인 연동 [1]파일 다운로드1
969정성태12/31/201044482VC++: 45. Winsock 2 Layered Service Provider - Visual Studio 2010용 프로젝트 [1]파일 다운로드1
968정성태12/30/201030653개발 환경 구성: 94. 개발자가 선택할 수 있는 윈도우에서의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기술 [2]
967정성태12/27/201032338.NET Framework: 197. .NET 코드 - 단일 Process 실행파일 다운로드1
966정성태12/26/201029822.NET Framework: 196. .NET 코드 - 창 흔드는 효과파일 다운로드1
965정성태12/25/201031991개발 환경 구성: 93. MSBuild를 이용한 닷넷 응용프로그램의 다중 어셈블리 출력 빌드파일 다운로드1
964정성태12/21/2010148007개발 환경 구성: 92. 윈도우 서버 환경에서, 최대 생성 가능한 소켓(socket) 연결 수는 얼마일까? [14]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