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개발 환경 구성: 38. Hyper-V 사용 후기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51306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3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2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38. Hyper-V 사용 후기
; https://www.sysnet.pe.kr/2/0/685

개발 환경 구성: 55. Hyper-V와 고성능 그래픽 카드의 성능 문제 해결
; https://www.sysnet.pe.kr/2/0/801





Hyper-V 사용 후기


그동안 Virtual Server만을 사용해왔었는데요. 왜냐하면 기존의 "애슬론64-X2 맨체스터 3800+" CPU에서는 "가상화"지원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Hyper-V의 설치가 불가했었습니다. 마침, 이번에 PC를 업그레이드하면서 Hyper-V를 설치해보았는데요. 재미있군요. ^^




1. CPU의 가상화 지원 필수

이미 말씀드렸죠. CPU 차원에서의 가상화 지원은 필수입니다. 일례로 쿼드 코어 CPU라도 "코어2쿼드 요크필드Q8300"에서는 Hyper-V가 설치되지 않습니다.

2. 64비트 Windows Server 2008에서만 지원

32비트 Windows Server 2008에서는 Hyper-V가 설치되지 않습니다.

3. 가상 머신의 속도 향상

이 부분은 Virtual PC/Server에 비해 확실한 장점으로 작용합니다. 일례로, Virtual Server에서 Windows Vista 가상 머신을 구동시키면 속도가 너무 낮아서 ^^; 소프트웨어 테스트를 하려고 들어간 것인지? 인내심 테스트를 하려고 들어간 것인지... 때로는 헷갈릴 정도인데요. Hyper-V는 거의 Host OS의 속도로 Guest OS가 반응을 합니다. 심지어, 터미널 서비스로 접속해 보면 현재 환경이 Guest인지 Host인지 모를 정도입니다.

4. 가상 머신별로 분리된 프로세스

Virtual Server의 경우에는 단일 vssrvc.exe에서 모든 VPC가 구동이 되지만, Hyper-V의 경우에는 각각의 VM을 띄울 때마다 "vmwp.exe"라는 프로세스로 분리되어 "NETWORK SERVICE" 권한으로 실행됩니다.

5. 다중 CPU 할당

VMWare에서는 가능한 기능이었죠. Virtual Server에서는 가상 머신에 다중 코어를 할당할 수 없어서 아쉬운 부분이 있었는데 드디어 Hyper-V에 들어서면서 가능해졌습니다. 따라서 이제 가상 머신에서도 다중 스레드 응용 프로그램을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6. 32비트/64비트 가상 머신 지원

역시 VMWare에서는 가능했었는데, Virtual Server에서는 없었던 기능입니다. Hyper-V에서는 32비트/64비트 가상 머신을 지원하고 역시 자유롭게 32비트/64비트 운영체제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CPU 할당과 지원 운영체제에 대한 보다 자세한 정보는 다음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Windows 2008 Hyper-V 지원 Guest OS List 
; http://blogs.technet.com/koreapartner/archive/2009/03/05/windows-2008-hyper-v-guest-os-list.aspx

7. 완벽한 VHD 포맷 호환

Virtual Server 또는 Virtual PC에서 사용 중이던 VHD 파일을 그대로 Hyper-V에 가져와서 가상 머신으로 운영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VMWare 사용자라면 "VMDK to VHD Converter(무료)" 등의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우선 VHD로 변경한 다음 Hyper-V에 올리는 것이 가능합니다. 주의하실 사항이라면, 미리 가상 머신안에 설치된 "Virtual Machine Additions"를 삭제하고, Hyper-V에 올리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와 관련해서는 다음의 토픽을 참조하십시오. (물론, Hyper-V에 올린 후 삭제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여러 모로 불편하기 때문에 미리 삭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Hyper-V에서 Vista의 Virtual Machine Bus 장치 인식 문제
; https://www.sysnet.pe.kr/2/0/678

Virtual Machine Additions 제거
; https://www.sysnet.pe.kr/2/0/675

참고로, Hyper-V의 VHD와 Virtual PC/Server의 VHD는 상호 간에 호환이 되지만 주의하셔야 할 것은 일단 "Detect HAL"의 기능을 통해서 HAL이 바뀐 이후에는 Virtual PC/Server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물론, VHD를 순수하게 드라이브 매핑으로 쓴다면 호환됩니다.)

Are VHDs compatible between Hyper-V and Virtual Server and Virtual PC? 
; https://learn.microsoft.com/en-us/archive/blogs/jhoward/are-vhds-compatible-between-hyper-v-and-virtual-server-and-virtual-pc

8. Virtual PC/Server와 Hyper-V 동시 사용 어려움

이 부분이 기존 Virtual PC/Server로부터 마이그레이션 하는 사용자들에게 힘든 부분인데요. 마이그레이션을 하려면 모든 VPC를 한번에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왜냐하면, Hyper-V가 설치된 환경에서 Virtual PC/Server를 이용하여 다시 VHD를 구동시키면 성능이 심각하게 하락됩니다. 제가 해본 바에 의하면, Virtual PC/Server에서 VPC가 하나 구동될 때마다 CPU 100%를 소비했습니다. (쿼드 코어인 경우, 25% 점유율을 꾸준히 나타냈습니다. 즉 VPC 4개 띄워놓으면 쿼드 코어의 CPU 점유율이 거의 항상 100%를 보인다는 것!)

이에 대한 설명으로, 마치 가상 머신 위에서 또 다른 가상 머신을 운영하는 것과 같은 이치라면서 성능 저하가 발생한다는 것입니다. 문제는, 이 성능 저하가 VPC 내에 국한된 것이 아니고, 호스트 PC까지도 영향을 준다는 것인데 따라서 행여나 2가지 가상화 기술을 병행해서 운영하려는 생각은 하지 않는 것이 좋겠습니다.

9. 호스트 운영체제의 반응 하락

혹시나 회사의 테스트 PC가 게임용이라면 ^^; Hyper-V 설치를 권장하고 싶지 않습니다. Hypervisor의 정확한 설계 구조를 논할 정도로 실력이 없기 때문에 근본적인 원인을 꼬집을 수는 없지만, Hypervisor 층이 운영체제 위가 아닌, 하드웨어의 바로 위에 위치하기 때문에 호스트 운영체제조차도 Hypercall을 통한 서비스 이용을 해야 하기 때문에 반응 속도가 하락하게 됩니다. 가상 머신의 반응 속도가 향상된 반면, 호스트 운영체제의 반응 속도는 떨어지는 결과를 낳은 것이지만, 실제 Hyper-V의 적용 대상이 서버 가상화 또는 테스트 환경 구성임을 감안할 때 호스트 운영체제의 성능하락은 그다지 중요한 문제는 아닙니다. 오히려 대다수의 호스트 운영체제는 서버 코어 버전으로 대체하는 것이 올바르다고 봐야 겠습니다.

10. 2가지 Hyper-V 설치 방법

이걸 주의하셔야 하는데요. ^^ "Hyper-V 서버"라는 것과 "Hyper-V 서비스"를 구별하셔야 합니다. 우선 "Hyper-V 서버"는 "Hyper-V 서비스"를 포함하면서 기본적으로 Windows Server 2008 Server-Core 유형으로 설치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MSDN Subscription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는 다음과 같은 제품이 바로 "Hyper-V 서버"입니다.

  • Applications - Hyper-V Server 2008 (x64) - DVD

또는 무료 다운로드가 가능한 아래의 제품도 바로 서버 코어 형식으로 기본 설치되는 유형입니다. (정확히 그 유형이 Windows Server 2008의 "서버 코어" 제품인지는 모르겠습니다.)

Microsoft Hyper-V Server 2008 - English
; http://www.microsoft.com/downloads/details.aspx?FamilyId=6067CB24-06CC-483A-AF92-B919F699C3A0&displaylang=en

이런 제품으로 설치하시면 다음과 같은 글에서 보는 것처럼 완전히 새로운 운영체제가 설치되고 콘솔창만이 뜨게 됩니다.

Introducing Microsoft Hyper-V Server 2008 - Part 1 : Installation
; http://www.elmajdal.net/Win2k8/Installing_Microsoft_Hyper_V_Server_2008.aspx

만약, 이미 Windows Server 2008이 설치된 상태라면 다음에서 설명하는 Hyper-V 서비스만을 올리시면 됩니다.

Hyper-V - Install & enable on Windows Server 2008 (64-bit)
; http://www.windowsreference.com/windows-server-2008/hyper-v-install-enable-on-windows-server-2008-64-bit/

참고로, 현재 Windows Server 2008에 포함된 Hyper-V 서비스는 RC1 버전인데 걱정할 필요 없이 설치하시고 Windows Update를 받으면 정식 버전으로 설치됩니다.




정리해 보면,

직접 개발자가 개발을 하는 컴퓨터가 아니라면 사내의 웬만한 컴퓨터는 Hyper-V를 통해서 통합하는 것을 충분히 고려해 봐도 좋을 것 같습니다. CPU 사용률이 어쩌다 올라가는 사내 서버를 여러 대 사용하는 것은 전기 소비면에서나, 소음 관리면에서나 여러 모로 도움이 안되니!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16/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1-06-01 09시37분
정성태
2011-06-01 09시38분
C:\Windows\winsxs\amd64_microsoft-windows-defrag-cmdline_31bf3856ad364e35_6.1.7600.16385_none_2370c162e00680c3
정성태
2011-06-23 10시53분
How to install Clustered SQL Server 2008 on Windows 2008 Cluster using Hyper-V (Guest Clustering) Part ? 2
; http://blogs.msdn.com/b/sqlserverfaq/archive/2010/04/28/how-to-install-clustered-sql-server-2008-on-windows-2008-cluster-using-hyper-v-guest-clustering-part-2.aspx
정성태
2011-06-23 11시33분
정성태
2018-05-12 04시01분
정성태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849정성태3/18/201923262.NET Framework: 812. pscp.exe 기능을 C#으로 제어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848정성태3/17/201920331스크립트: 14. 윈도우 CMD - 파일이 변경된 경우 파일명을 변경해 복사하고 싶다면?
11847정성태3/17/201924766Linux: 7. 리눅스 C/C++ - 공유 라이브러리 동적 로딩 후 export 함수 사용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846정성태3/15/201923499Linux: 6. getenv, setenv가 언어/운영체제마다 호환이 안 되는 문제
11845정성태3/15/201923078Linux: 5. Linux 응용 프로그램의 (C++) so 의존성 줄이기(ReleaseMinDependency) [3]
11844정성태3/14/201925016개발 환경 구성: 434. Visual Studio 2019 - 리눅스 프로젝트를 이용한 공유/실행(so/out) 프로그램 개발 환경 설정 [1]파일 다운로드1
11843정성태3/14/201919820기타: 75. MSDN 웹 사이트를 기본으로 영문 페이지로 열고 싶다면?
11842정성태3/13/201917410개발 환경 구성: 433. 마이크로소프트의 CoreCLR 프로파일러 예제를 Visual Studio CMake로 빌드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841정성태3/13/201917965VS.NET IDE: 132. Visual Studio 2019 - CMake의 컴파일러를 기본 g++에서 clang++로 변경
11840정성태3/13/201920108오류 유형: 526. 윈도우 10 Ubuntu App 환경에서는 USB 외장 하드 접근 불가
11839정성태3/12/201924298디버깅 기술: 124. .NET Core 웹 앱을 호스팅하는 Azure App Services의 프로세스 메모리 덤프 및 windbg 분석 개요 [3]
11838정성태3/7/201928104.NET Framework: 811. (번역글) .NET Internals Cookbook Part 1 - Exceptions, filters and corrupted processes [1]파일 다운로드1
11837정성태3/6/201941637기타: 74. 도서: 시작하세요! C# 7.3 프로그래밍 [10]
11836정성태3/5/201925399오류 유형: 525. Visual Studio 2019 Preview 4/RC - C# 8.0 Missing compiler required member 'System.Range..ctor' [1]
11835정성태3/5/201923275.NET Framework: 810. C# 8.0의 Index/Range 연산자를 .NET Framework에서 사용하는 방법 및 비동기 스트림의 컴파일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11834정성태3/4/201921989개발 환경 구성: 432. Visual Studio 없이 최신 C# (8.0) 컴파일러를 사용하는 방법
11833정성태3/4/201923146개발 환경 구성: 431. Visual Studio 2019 - CMake를 이용한 공유/실행(so/out) 리눅스 프로젝트 설정파일 다운로드1
11832정성태3/4/201917978오류 유형: 524. Visual Studio CMake - rsync: connection unexpectedly closed
11831정성태3/4/201918728오류 유형: 523. Visual Studio 2019 - 새 창으로 뜬 윈도우를 닫을 때 비정상 종료
11830정성태2/26/201917972오류 유형: 522. 이벤트 로그 - Error opening event log file State. Log will not be processed. Return code from OpenEventLog is 87.
11829정성태2/26/201919266개발 환경 구성: 430. 마이크로소프트의 CoreCLR 프로파일러 예제 빌드 방법 - 리눅스 환경 [1]
11828정성태2/26/201927897개발 환경 구성: 429. Component Services 관리자의 RuntimeBroker 설정이 2개 있는 경우 [8]
11827정성태2/26/201920182오류 유형: 521. Visual Studio - Could not start the 'rsync' command on the remote host, please install it using your system package manager.
11826정성태2/26/201920743오류 유형: 520. 우분투에 .NET Core SDK 설치 시 패키지 의존성 오류
11825정성태2/25/201926385개발 환경 구성: 428. Visual Studio 2019 - CMake를 이용한 리눅스 빌드 환경 설정 [1]
11824정성태2/25/201920647오류 유형: 519. The SNMP Service encountered an error while accessing the registry key 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SNMP\Parameters\TrapConfiguration. [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