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글 보이기/감추기 AD BLOCK 해제 요청 이 글에는 광고가 많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adblock을 해제하셔도 글을 읽는데 그다지 부담이 없으니 해제를 부탁드립니다. 결론만 말하면. SQL 서버 : 1433 포트 (TCP) 윈도우즈 통합인증 : 137 포트 (UDP) 반드시 137번 UDP를 열어야 합니다. ^^ 물론, 통합 인증이 아닌 SQL 서버에 등록된 계정 인증인 경우에는 137번 포트를 열어둘 필요가 없습니다. [다음 글] VS.NET IDE: 10. WSS 설치 후 localhost 접근 보안 오류[이전 글] .NET Framework: 17. Win32_NTLogEvent를 c#에서 wmi 쿼리할 때..에러.. [최초 등록일: 12/5/2004] [최종 수정일: 1/24/2022]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490정성태1/15/202116811.NET Framework: 1007. C# - foreach에서 열거 변수의 타입을 var로 쓰면 object로 추론하는 문제 [1]112489정성태1/13/202118885.NET Framework: 1006. C# - DB에 저장한 텍스트의 (이모티콘을 비롯해) 유니코드 문자가 '?'로 보인다면? [1]12488정성태1/13/202118181.NET Framework: 1005. C# - string 타입은 shallow copy일까요? deep copy일까요? [2]112487정성태1/13/202116608.NET Framework: 1004. C# - GC Heap에 위치한 참조 개체의 주소를 알아내는 방법112486정성태1/12/202118327.NET Framework: 1003. x64 환경에서 참조형의 기본 메모리 소비는 얼마나 될까요? [1]12485정성태1/11/202118504Graphics: 38. C# - OpenCvSharp.VideoWriter에 BMP 파일을 1초씩 출력하는 예제 [2]112484정성태1/9/202120102.NET Framework: 1002. C# - ReadOnlySequence<T> 소개112483정성태1/8/202116314개발 환경 구성: 521. dotPeek - 훌륭한 역어셈블 소스 코드 생성 도구12482정성태1/8/202118068.NET Framework: 1001. C# - 제네릭 타입/메서드에서 사용 시 경우에 따라 CS8377 컴파일 에러12481정성태1/7/202118152.NET Framework: 1000. C# - CS8344 컴파일 에러: ref struct 타입의 사용 제한 메서드112480정성태1/6/202120891.NET Framework: 999. C# - ArrayPool<T>와 MemoryPool<T> 소개112479정성태1/6/202118066.NET Framework: 998. C# - OWIN 예제 프로젝트 만들기12478정성태1/5/202120790.NET Framework: 997. C# - ArrayPool<T> 소개112477정성태1/5/202121863기타: 79. github 코드 검색 방법 [1]12476정성태1/5/202118240.NET Framework: 996. C# - 닷넷 코어에서 다른 스레드의 callstack을 구하는 방법112475정성태1/5/202122013.NET Framework: 995. C# - Span<T>와 Memory<T> [1]112474정성태1/4/202118759.NET Framework: 994. C# - (.NET Core 2.2부터 가능한) 프로세스 내부에서 CLR ETW 이벤트 수신 [1]112473정성태1/4/202117333.NET Framework: 993. .NET 런타임에 따라 달라지는 정적 필드의 초기화 유무 [1]112472정성태1/3/202117334디버깅 기술: 178. windbg - 디버그 시작 시 스크립트 실행12471정성태1/1/202118088.NET Framework: 992. C# - .NET Core 3.0 이상부터 제공하는 runtimeOptions의 rollForward 옵션 [1]12470정성태12/30/202018237.NET Framework: 991. .NET 5 응용 프로그램에서 WinRT API 호출 [1]112469정성태12/30/202022718.NET Framework: 990. C# - SendInput Win32 API를 이용한 가상 키보드/마우스 [1]112468정성태12/30/202019109Windows: 186. CMD Shell의 "Defaults"와 "Properties"에서 폰트 정보가 다른 문제 [1]12467정성태12/29/202019072.NET Framework: 989. HttpContextAccessor를 통해 이해하는 AsyncLocal<T> [1]112466정성태12/29/202016679.NET Framework: 988. C# - 지연 실행이 꼭 필요한 상황이 아니라면 singleton 패턴에서 DCLP보다는 static 초기화를 권장 [1]112465정성태12/29/202020345.NET Framework: 987. .NET Profiler - FunctionID와 연관된 ClassID를 구할 수 없는 문제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