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131. ClickOnce - 그룹화시켜 다운로드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5292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ClickOnce - 그룹화시켜 다운로드


클릭원스 해보신 분들치고 이 방법을 모르는 분은 거의 없을 것입니다. 프로젝트가 진행되면서 자연스럽게 다운로드 모듈이 많아지고 그렇게 되면 초기 로딩 시간이 느려지는 것 때문에, 필요하지 않은 모듈들을 적절하게 "그룹화"시켜서 필요할 때만 다운로드하도록 만들게 됩니다.

오늘은 이에 대해 설명할 텐데, 아래의 MSDN 도움말에 너무 잘 설명되어 있습니다.

Visual Studio에서의 배포
연습: 디자이너를 사용하여 ClickOnce 배포 API에서 요청 시 어셈블리 다운로드
; https://docs.microsoft.com/en-us/previous-versions/visualstudio/visual-studio-2015/deployment/walkthrough-downloading-assemblies-on-demand-with-the-clickonce-deployment-api-using-the-designer

즉, 이번 내용은 요약본 정도라고 보면 되겠지요. ^^




테스트를 위해 2개의 프로젝트를 생성하겠습니다.

  • WpfApplication1 (EXE)
  • ClassLibrary1 (Library)

WpfApplication1은 ClassLibrary1 프로젝트를 참조하고 있으며, 런타임 시에 다음과 같이 "시작" 버튼이 눌린 경우에만 "ClassLibrary1.dll"을 다운로드해서 실행시키는 것이 목표입니다. 간단하지요. ^^

[그림 1: 동적 다운로드될 어셈블리의 코드를 실행하는 버튼]
clickonce_group_download_1.png

버튼 이벤트의 코드는 그냥 확인 차원에서 다음과 같이 ClassLibrary1에서 제공되는 클래스의 메서드만을 사용해 줍니다.

[그림 2: 버튼 이벤트 핸들러]
clickonce_group_download_2.png

이제, 실행하고 빌드 오류가 없음을 확인하는 정도로만 끝냅니다.




테스트 프로젝트는 완성되었으니, 이제 클릭원스에서 분할 배포를 위한 설정 및 코드를 구현해야 합니다. WpfApplication1 프로젝트에 "System.Deployment" 어셈블리를 참조하고, 다음과 같이 App.xaml.cs 코드를 구성합니다.

public partial class App : Application
{
    public App()
    {
        AppDomain.CurrentDomain.AssemblyResolve += new ResolveEventHandler(CurrentDomain_AssemblyResolve);
    }

    public string BinaryPath
    {
        get
        {
            string toolPath = typeof(App).Assembly.Location;
            return System.IO.Path.GetDirectoryName(toolPath);
        }
    }

    System.Reflection.Assembly CurrentDomain_AssemblyResolve(object sender, ResolveEventArgs args)
    {
        Assembly newAssembly = null;


        if (ApplicationDeployment.IsNetworkDeployed)
        {
            ApplicationDeployment deploy = ApplicationDeployment.CurrentDeployment;

            string downloadGroupName = "MyTestGroup";

            try
            {
                deploy.DownloadFileGroup(downloadGroupName);
            }
            catch (DeploymentException de)
            {
                MessageBox.Show("Downloading file group failed. Group name: " + downloadGroupName + "; DLL name: " + args.Name);
                throw (de);
            }

            try
            {
                newAssembly = Assembly.LoadFile(this.BinaryPath + @"\ClassLibrary1.dll");
            }
            catch (Exception e)
            {
                throw (e);
            }
        }
        else
        {
            throw (new Exception("Cannot load assemblies dynamically - application is not deployed using ClickOnce."));
        }


        return (newAssembly);
    }
}

과정은 매우 간단합니다. 보시는 것처럼, AppDomain.CurrentDomain.AssemblyResolve 이벤트가 발생하면 별도의 다운로드 그룹으로 설정되어 묶여진 어셈블리들을 다운로드하는데, 예제에서는 이 그룹 이름을 "MyTestGroup"로 설정했습니다. 정상적으로 그룹 다운로드가 되었으면 Assembly.LoadFile을 이용해서 DLL을 로드하면 되고.

코드는 이것으로 끝입니다. 나머지는 Visual Studio에서 "ClassLibrary1.dll"을 "MyTestGroup"이라는 별도의 그룹으로 "표시"만 해주면 되는데요. 이 과정은 프로젝트 속성창에의 "Publish" 탭에서 "Application Files..." 버튼을 눌러 [그림 3]에서 보는 것과 같이 "Download Group"을 지정하면 됩니다.

[그림 3: 어셈블리 배포 그룹 단위 설정]
clickonce_group_download_3.png

테스트 한번 해볼까요? ^^

배포를 하고 웹 브라우저에 *.application 배포 주소를 입력해서 실행시키면 사용자 단위의 "C:\Users\[사용자계정]\AppData\Local\Apps\2.0" 폴더에 응용 프로그램이 다운로드가 됩니다. 시작 버튼을 누르기 전에는 아래와 같이 ClassLibrary1.dll이 내려와 있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림 4: C:\Users\[사용자 계정]\AppData\Local\Apps\2.0 하위 폴더 내용]
clickonce_group_download_4.png

하지만 "시작" 버튼을 누르고 나면 "ClassLibrary1.dll"어셈블리가 "AssemblyResolve" 이벤트 핸들러에 작성된 코드 덕분에 내려오게 되고 모듈은 정상적으로 실행을 계속합니다.

[그림 5: 요청 시 다운로드한 ClassLibrary1.dll]
clickonce_group_download_5.png

사실, 위와 같은 과정에서 ApplicationDeployment.DownloadFileGroup 메서드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그동안 많은 개발자들에 의해서 중복해서 만들어진 부분이었죠. 이 부분을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떠안아서 가니 나쁘진 않습니다.

그룹에 포함된 어셈블리를 찾는 규칙을 실험 삼아서 해보니 재미있는 점이 있습니다.
Publish로 새롭게 업데이트되면 ClassLibrary1.dll 자체가 변경되지 않아도 "AssemblyResolve" 이벤트가 발생합니다. 이때 서버의 배포 폴더에 해당 DLL의 유무는 상관이 없습니다. 왜냐하면, 이전에 클라이언트 측에 배포된 폴더의 "ClassLibrary1.dll" 파일을 ApplicationDeployment.DownloadFileGroup 메서드에서 로드해서 처리하기 때문입니다. 물론, 만약 ClassLibrary1.dll 파일이 업데이트된 경우였다면 서버에 새로운 hash값과 일치하는 어셈블리가 없다면 오류가 발생합니다. 즉, 클라이언트 측에 다운로드했던 이전 버전으로는 대체가 안 된다는 것!!!

그 의미는 곧, 새롭게 Publish해서 생성되는 폴더에는 변경되지 않은 어셈블리는 굳이 복사해 놓지 않아도 된다는 것입니다. (복사해 놓았다고 해도 상관은 없습니다. 어차피 사용하지 않으니까.) 이 정도면 굳이 힘들게 제작할 필요 없이 ApplicationDeployment.DownloadFileGroup에 다운로드 기능을 맡겨도 좋을 것 같습니다. ^^

다운로드: 예제 솔루션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9/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1정성태3/7/200515316    답변글 VS.NET IDE: 28.1. [추가] SQL 2005 / VS.NET 2005 2005-02 CTP 버전이 올라왔네요. [1]
112정성태11/14/200516563        답변글 VS.NET IDE: 28.2. [추가] VS.NET 2005 2005-02 CTP 버전에서 달라진 점 ( VC++ )
127정성태3/29/200514606        답변글 VS.NET IDE: 28.4. [추가] SQL 2005 2005-02 CTP 버전에서 달라진 점
123정성태3/25/200518517    답변글 .NET Framework: 28.3. Uninstalling software without using Add Remove Programs...
108정성태3/4/200517972.NET Framework: 27. 시스템 이벤트 로그에 쌓이는 {00020906-0000-0000-C000-000000000046} 보안에러
107정성태3/1/200518176COM 개체 관련: 15. COM: Control 유형인 경우, IObjectWithSite 를 구현해도 SetSite/GetSite 가 호출이 안됨
106정성태2/28/200517492COM 개체 관련: 14. 탐색기 "처럼" 파일 열기
105정성태2/28/200516558.NET Framework: 26. VS.NET 2005 : 설치 프로젝트 - .NET Framework 설치 강제화
139정성태11/14/200514746    답변글 .NET Framework: 26.1. ^^ 역시, 배려가 되어 있네요. 제가 못 찾은 것이었습니다.
104정성태2/27/200517428VS.NET IDE: 23. MSI 설치 중에 GetLocalTime / GetSystemTime API 사용
132정성태3/30/200517053    답변글 VS.NET IDE: 23.1. [추가]: MSI 설치 동작 원리
102정성태2/16/200519707.NET Framework: 25. Verify that you are a member of the 'Debugger Users' group on the server. [2]
101정성태2/15/200517432.NET Framework: 24. WMI Win32_NTLogEvent 관리 이벤트를 Windows 2000 에서는 "Access Denied" 가 발생하는 문제파일 다운로드1
100정성태2/15/200523541VS.NET IDE: 22. 방화벽 환경에서의 WMI 연결을 위한 포트 설정 [2]
99정성태2/15/200521532COM 개체 관련: 13. 비동기 Drag & Drop 구현 : IAsyncOperation
103정성태2/23/200517749    답변글 COM 개체 관련: 13.1. [관련 자료] 그외 Drag & Drop 링크파일 다운로드1
97정성태2/14/200520711VS.NET IDE: 21. 설치된 Platform SDK 버전확인 방법
96정성태2/14/200522744기타: 9. http://www.google.com/webhp?complete=1&hl=en 검색에 관해서.
95정성태2/14/200532067VS.NET IDE: 20. Win32 특권 정리 [1]
94정성태1/29/200523365VC++: 13. VS.NET 2005 VC++ 컴파일러 에러 : cannot instantiate abstract class
93정성태1/29/200519253VS.NET IDE: 19. 혹시 VS.NET 2005 Beta2(2004/12 CTP Team System 버전)이 다운이 자주 되나요? [2]
92정성태1/29/200518074.NET Framework: 23. Unmanaged 환경에서 Managed DLL에 정의된 메서드 호출 시 오류 확인하는 방법
91정성태11/14/200518695VC++: 12. VS.NET 2005 VC++ Debug: Expression: ( (state != ST_INVALID ) )
90정성태1/27/200519501.NET Framework: 22. Debug: The underlying connection was closed: Unable to connect to the remote server.
89정성태1/26/200523981VC++: 11. Delay Loaded DLL
87정성태1/23/200517580VS.NET IDE: 18. VS.NET 2005 Beta 1 - VC++ 프로젝트에서 Connection Point 구현시 버그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