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VS.NET IDE: 10. WSS 설치 후 localhost 접근 보안 오류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3948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현상]

1. Active Directory 설치
2. TFSAdmin ( Domain Users, Domain Admins, Builtin\Administrator ) 계정 생성
3. TFSAdmin@도메인 계정으로 로그인
4. Windows SharePoint Service 2.0 설치

WSS의 경우, setup 과정이 끝나고 나면 곧바로 "http://localhost"로 네비게이션을 하는 Internet Explorer가 뜨게 되는데요. 웬일인지, localhost임에도 불구하고 자꾸만 로그인 대화창이 뜨는 것입니다. 어떤 계정을 집어넣어도 오류 화면이 뜨는데, ASP.NET으로 되어 있어서 정확한 오류 화면이 보이지 않습니다.

[해결]
1. 우선, 오류 화면을 확인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web.config 파일의 customErrors 태그의 mode 값을 Off 등의 값으로 바꿔주어야 합니다. 수정해야 할 web.config은 다음의 경로에 있습니다.
C:\Program Files\Common Files\Microsoft Shared\web server extensions\60\TEMPLATE\LAYOUTS

2. 일단, mode 값을 off로 설정한 후 다시 localhost로 방문, 3번의 로그인 후 나오는 에러 메시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_layouts' 응용 프로그램에 서버 오류가 있습니다.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v1.1.4322\Temporary ASP.NET Files\_layouts\XXXXXXXXX\XXXXXXXX 경로에 대한 액세스가 거부되었습니다

3. 실제로 해당 폴더에 가보면, 존재하는 폴더는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v1.1.4322\Temporary ASP.NET Files" 여기까지입니다. 그 이하의 폴더는 생성이 되지 않은 상황입니다.

4. 결과적으로 해당 폴더 이하에 대한 접근 권한이 없어서 나타나는 문제인데요. "작업관리자"를 통해서 WSS를 호스팅하고 있는 프로세스 w3wp.exe의 "사용자 이름"을 확인해야 합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Network Service"로 되어 있었습니다.

5. "Temporary ASP.NET Files" 폴더의 속성창에서 "보안" 탭을 누른 후, "Network Service" 계정 삽입 후, "Full Control" 권한을 줍니다. 다시 "http://localhost"로 네비게이션을 하게 되면 이번에는 로그인 창이 뜨지도 않고 곧바로 WSS 실행화면을 보실 수 있습니다. "Temporary ASP.NET Files" 폴더에 가보면 "_layouts\XXXXX\XXXXX" 이하의 폴더가 정상적으로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2/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983정성태2/24/202219414.NET Framework: 1165. .NET Core/5+ 빌드 시 runtimeconfig.json에 설정을 반영하는 방법
12982정성태2/24/202219037.NET Framework: 1164. HTTP Error 500.31 - ANCM Failed to Find Native Dependencies
12981정성태2/23/202216596VC++: 154. C/C++ 언어의 문자열 Literal에 인덱스 적용하는 구문 [1]
12980정성태2/23/202218858.NET Framework: 1163. C# - 윈도우 환경에서 usleep을 호출하는 방법 [2]
12979정성태2/22/202227601.NET Framework: 1162. C# - 인텔 CPU의 P-Core와 E-Core를 구분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2
12978정성태2/21/202220825.NET Framework: 1161.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resampling_audio.c 예제 포팅
12977정성태2/21/202224590.NET Framework: 116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qsv 디코딩
12976정성태2/21/202218942VS.NET IDE: 174. Visual C++ - "External Dependencies" 노드 비활성화하는 방법
12975정성태2/20/202219920.NET Framework: 1159.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qsvdec.c 예제 포팅파일 다운로드1
12974정성태2/20/202218619.NET Framework: 1158. C# - SqlConnection의 최소 Pooling 수를 초과한 DB 연결은 언제 해제될까요?
12973정성태2/16/202221899개발 환경 구성: 639. ffmpeg.exe - Intel Quick Sync Video(qsv)를 이용한 인코딩 [3]
12972정성태2/16/202219164Windows: 200. Intel CPU의 내장 그래픽 GPU가 작업 관리자에 없다면? [4]
12971정성태2/15/202224947.NET Framework: 1157.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muxing.c 예제 포팅 [7]파일 다운로드2
12970정성태2/15/202219481.NET Framework: 1156. C# - ffmpeg(FFmpeg.AutoGen): Bitmap으로부터 h264 형식의 파일로 쓰기 [1]파일 다운로드1
12969정성태2/14/202218198개발 환경 구성: 638. Visual Studio의 Connection Manager 기능(Remote SSH 관리)을 위한 명령행 도구 - 두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2968정성태2/14/202218827오류 유형: 794. msbuild 에러 - error NETSDK1005: Assets file '...\project.assets.json' doesn't have a target for '...'.
12967정성태2/14/202217909VC++: 153. Visual C++ - C99 표준의 Compund Literals 빌드 방법 [4]
12966정성태2/13/202218837.NET Framework: 1155. C# - ffmpeg(FFmpeg.AutoGen): Bitmap으로부터 yuv420p + rawvideo 형식의 파일로 쓰기파일 다운로드1
12965정성태2/13/202217965.NET Framework: 1154. "Hanja Hangul Project v1.01 (파이썬)"의 C# 버전
12964정성태2/11/202218572.NET Framework: 1153.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avio_reading.c 예제 포팅파일 다운로드1
12963정성태2/11/202219686.NET Framework: 1152. C# - 화면 캡처한 이미지를 ffmpeg(FFmpeg.AutoGen)로 동영상 처리 (저해상도 현상 해결)파일 다운로드1
12962정성태2/9/202218677오류 유형: 793.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 - 제품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재고가 없는 것일 수 있습니다.
12961정성태2/8/202217855.NET Framework: 1151.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프레임의 크기 및 포맷 변경 예제(scaling_video.c) [7]파일 다운로드1
12960정성태2/8/202217015개발 환경 구성: 637.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decode_video.c) - 세 번째 이야기
12959정성태2/7/202218612.NET Framework: 115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decode_video.c) - 두 번째 이야기 [2]파일 다운로드1
12958정성태2/6/202221061.NET Framework: 1149. C# - ffmpeg(FFmpeg.AutoGen) - 비디오 프레임 디코딩 [2]파일 다운로드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