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79. DLL 'xxxxx.dll'을(를) 로드할 수 없습니다.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55938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3개 있습니다.)

DLL 'xxxxx.dll'을(를) 로드할 수 없습니다.


오늘, SignKorea라는 업체의 DLL을 DllImport 특성을 이용해서 연결시켰습니다. 그런데, 제 컴퓨터에서는 이상 없이 실행되었는데 다른 컴퓨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오류를 내뱉었습니다.

DLL 'SKCommVB.DLL'을(를) 로드할 수 없습니다. 지정된 모듈을 찾을 수 없습니다. (예외가 발생한 HRESULT: 0x8007007E)


디버그상에서의 상세 오류 로그도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이 대화 상자 대신 JIT(Just-in-time) 디버깅을 호출하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이 메시지의 뒷부분을 참조하십시오.

************** 예외 텍스트 **************
System.DllNotFoundException: DLL 'SKCommVB.DLL'을(를) 로드할 수 없습니다.
지정된 모듈을 찾을 수 없습니다. (예외가 발생한 HRESULT: 0x8007007E)
   위치: CommVB_Test.ImportAPI.UnsetMatchedContext()
   위치: CommVB_Test.Form1.Form1_Load(Object sender, EventArgs e) 파일 E:\Work\C#_CommVB\CommVB_Test\Form1.cs:줄 20
   위치: System.Windows.Forms.Form.OnLoad(EventArgs e)
   위치: System.Windows.Forms.Form.OnCreateControl()
   위치: System.Windows.Forms.Control.CreateControl(Boolean fIgnoreVisible)
   위치: System.Windows.Forms.Control.CreateControl()
   위치: System.Windows.Forms.Control.WmShowWindow(Message& m)
   위치: System.Windows.Forms.Control.WndProc(Message& m)
   위치: System.Windows.Forms.ScrollableControl.WndProc(Message& m)
   위치: System.Windows.Forms.ContainerControl.WndProc(Message& m)
   위치: System.Windows.Forms.Form.WmShowWindow(Message& m)
   위치: System.Windows.Forms.Form.WndProc(Message& m)
   위치: System.Windows.Forms.Control.ControlNativeWindow.OnMessage(Message& m)
   위치: System.Windows.Forms.Control.ControlNativeWindow.WndProc(Message& m)
   위치: System.Windows.Forms.NativeWindow.Callback(IntPtr hWnd, Int32 msg, IntPtr wparam, IntPtr lparam)

... [이하 생략] ...

어지간히도 헤매게 만들었습니다. 왜냐하면, 분명히 SKCommVB.DLL이 같은 디렉토리에 있다는 것이 확실한데 이와 같은 오류가 나니 그저 황당할 뿐이었는데요. 그러다가 혹시나 싶어서 depends.exe(Dependency Walker)를 이용해서 확인해 보았습니다. 아니나 다를까,,, 다음과 같이 누락된 DLL이 있었습니다.

[그림 1: SKCommVB.dll - 누락된 NSLDAP32V11.dll]
skcommvb_interop_not_found_1.png

"
Error: At least one required implicit or forwarded dependency was not found.
Warning: At least one delay-load dependency module was not found.
Warning: At least one module has an unresolved import due to a missing export function in a delay-load dependent module.
"



모래 시계 표시가 있는 IEShims.dll이야 동적 로드 대상이다 보니 DllImport 특성으로 로드하는 순간에는 상관이 없지만, NSLDAP32V11.dll은 정적 링크된 것이기 때문에 사정이 다르죠. 그 때문에 "Error: At least one required implicit or forwarded dependency was not found."라는 오류 메시지가 있는 것입니다.

원래 정상이라면 아래와 같이 나와야 합니다.

[그림 2: SKCommVB.dll - 정상적으로 로드]
skcommvb_interop_not_found_2.png

암튼,,, 이것을 통해서 배운 시행착오라면. "DllImport" 특성이 적용된 API 실행 시 "DLL 'xxxxx.dll'을(를) 로드할 수 없습니다."와 같은 오류가 발생한다면 그것의 참조 DLL도 함께 조사해야 한다는 것!!!

그나저나, SignKorea 측에서는 이를 모르고 있을까요? 새로 설치된 "Clean PC"에서는 "NSLDAP32V11.DLL"로 인한 문제가 발생할 텐데...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3/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4-11-10 06시42분
[YCPark]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D
덕분에 문제 해결하고 가네요
[guest]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601정성태1/22/201427214오류 유형: 215. windbg - Symbol file could not be found. Defaulted to export symbols
1600정성태1/19/201423898.NET Framework: 410. C# - 재귀호출을 스택 자료구조와 반복문을 이용해 대체하는 방법을 Paralle.For와 함께? [1]파일 다운로드1
1599정성태1/18/201432000.NET Framework: 409. C# - 재귀호출을 스택 자료구조와 반복문을 이용해 대체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598정성태1/17/201425336디버깅 기술: 61. NT 서비스 시작 단계에서 닷넷 메서드에 BP를 걸어 디버깅하는 방법
1597정성태1/17/201423904Phone: 9. Xamarin Android에 구글 AdMob 사용하는 방법 [1]
1596정성태1/17/201422862오류 유형: 214. Local SYSTEM 계정으로 실행된 IE에서 다운로드가 안 되는 문제
1595정성태1/16/201419829오류 유형: 213. attrib - Not resetting system file
1594정성태1/15/201422039오류 유형: 212. 마이크로소프트 라이브 계정 로그인 실패하는 경우
1593정성태1/14/201420597오류 유형: 211. ASP.NET 응용 프로그램을 IIS Express에서 디버깅할 때 "Requested registry access is not allowed" 오류 발생
1592정성태1/14/201420933오류 유형: 210. 2대의 AD가 있는 경우 도메인에 컴퓨터 추가를 실패한다면? [1]
1591정성태1/14/201423126오류 유형: 209. DebugDiag: Unable to find mscordacwks_x86_x86_[...version...].dll
1590정성태1/14/201423708오류 유형: 208. VSS Writer - NTDS 오류
1589정성태1/14/201432667Windows: 85. 컴퓨터를 껐는데도 어느 순간 자동으로 켜진다면? [2]
1588정성태1/14/201429480Windows: 84. 윈도우 7/8 - 메뉴 항목이 잔상으로 남는 문제
1587정성태1/14/201425381디버깅 기술: 60. NT 서비스가 시작하자마자 디버거를 연결시키는 방법 (2)
1586정성태1/14/201427091디버깅 기술: 59. NT 서비스가 시작하자마자 디버거를 연결시키는 방법 (1) [1]
1585정성태1/14/201430016VS.NET IDE: 84. Visual Studio를 이용한 파일 비교(diff)
1584정성태1/13/201432349Windows: 83. 윈도우 8 - UI가 있는 프로그램을 Local SYSTEM 권한의 세션 0 데스크톱에서 실행하는 방법
1583정성태1/13/201430289Windows: 82. 윈도우 8 - "Interactive Services Detection" 서비스 시작하는 방법 [1]
1582정성태1/12/201428757개발 환경 구성: 210. 원격 데스크톱(RDP) 접속 프로그램 - Royal TS [1]
1581정성태1/12/201430095.NET Framework: 408. 자바와 닷넷의 제네릭 차이점 - 중간 언어 및 공변/반공변 처리 [8]
1580정성태1/12/201440147.NET Framework: 407. 닷넷 사용자 정의 예외 클래스의 최소 구현 코드 [1]
1579정성태1/12/201422156오류 유형: 207. System.ArgumentException was unhandled - Message=[net_WebHeaderInvalidControlChars]
1578정성태1/11/201433713개발 환경 구성: 209. Fiddler에서 WebSocket 통신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1]
1577정성태1/11/201423940오류 유형: 206. WriteFile Win32API 사용 시 비정상 종료 현상 [3]
1576정성태1/11/201441852Windows: 81. 긴 이름의 파일/폴더 삭제하는 법 [5]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