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135. C# - Deflate, GZip, Zip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33213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2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135. C# - Deflate, GZip, Zip
; https://www.sysnet.pe.kr/2/0/723

.NET Framework: 136. 자바와 닷넷의 압축 호환
; https://www.sysnet.pe.kr/2/0/724





C# - Deflate, GZip, Zip


보통 압축 알고리즘을 다루다 보면 쉽게 볼 수 있는 단어들이 있는데요. 각각의 차이점에 대해서 다음의 글에 간략하게 설명되어 있습니다.

Re: Difference between gzip, zip, deflate
; http://newsgroups.derkeiler.com/Archive/Comp/comp.compression/2007-07/msg00011.html

정리해 보면 대략 다음과 같은 정도로만 알아둬도 될 것 같습니다.

  • Deflate = 원시 압축 데이터
  • GZip = Header + Deflate 데이터 + Footer
  • Zip = 다양한 압축 포맷, 다중 파일 지원

그렇다면, 닷넷으로는 이를 어떻게 구현할까요?

우선, Deflate는 DeflateStream으로 .NET 2.0에서부터 지원되고 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DeflateStream은 Header/Footer에 대한 부가적인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고 LZ77/허프만 코딩이 적용되어 산출된 원시 압축 데이터만을 다루기 때문에 즉석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용도로 적합합니다. 아쉬운 점이 있다면 다양한 압축률 지정이 안 된다는 것입니다. 게다가 내부적으로 Huffman_only 방식으로만 사용할지에 대한 옵션 및 그에 대한 구현 방법도 명시적으로 공개되어 있지 않습니다.

구체적인 사용 예제는 MSDN 도움말에 잘 공개되어 있습니다. (도움말에도 나오지만, 4GB 이상의 파일에는 적용할 수 없습니다.)

.NET Framework Class Library - DeflateStream Class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api/system.io.compression.deflatestream

특이한 것은, 보통 일반적인 Deflate 라이브러리 같은 데에서 보면 압축은 Deflate, 압축 해제는 Inflate라는 접두어를 써서 표현하고는 하는데 .NET의 경우에는 2가지 모두 단일하게 DeflateStream의 생성자에서 CompressionMode를 지정하는 것으로 해결하고 있습니다.

다음으로 GZip은, 여러분들이 많이 써온 GZipStream과 비교됩니다. 위에 설명한 대로 Deflate 압축 데이터와 함께 앞/뒤에 부가적인 메타 정보를 포함합니다. 재미있는 것은 GZipStream이 말 그대로 "Stream" 차원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구현되었기 때문에 "하나의 파일"을 압축해서 보관하는 일반적인 ZIP 실행 파일에서 다뤄지는 헤더를 모두 포함하지는 않습니다. 이에 관해서는 다음의 토픽에서 자세히 설명하고 있는데요.

. NET Matters - NamedGZipStream, Covariance and Contravariance
; https://learn.microsoft.com/en-us/archive/msdn-magazine/2005/october/net-matters-namedgzipstream-covariance-and-contravariance

The GZipStream class implements the GZIP file format as defined in RFC 1952. The GZIP file format makes use of the DEFLATE compression algorithm, detailed in RFC 1951, and simply defines a header and footer that are used to encapsulate the compressed data, providing some metadata for it.

The problem you're running into is that the GZIP header format declares the name of the compressed file as optional.



따라서, 만약 파일 이름까지 포함하는 헤더를 지원하는 압축 데이터를 원한다면 위의 토픽에서 제공되는 NamedGZipStream을 사용하거나, 아니면 그에 준하는 기능을 지원하는 여타 공개된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셔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Zip에 대응되는 닷넷 기본 클래스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물론 고맙게도 다른 분들이 만들어 놓은 공개 라이브러리들이 있습니다.

DotNetZip - Zip file manipulation in .NET languages
; http://www.codeplex.com/DotNetZip

SharpZipLib
; http://www.icsharpcode.net/OpenSource/SharpZipLib/

그럼... 좀 정리가 된 것 같죠! ^^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25/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335정성태8/20/200628386디버깅 기술: 8. COM+ 서버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F5 디버깅 방법
334정성태8/20/200623600디버깅 기술: 7. VS.NET 2003/2005의 다중 프로젝트 디버깅
333정성태8/20/200624067개발 환경 구성: 11. COM+ 서버 활성화 보안 설정
331정성태8/27/200617024개발 환경 구성: 10. 최대 절전 모드와 VPC 네트워크 문제
330정성태8/20/200617298개발 환경 구성: 9. VPC로 구성하는 개인 환경
328정성태8/20/200635042개발 환경 구성: 8. AppVerifier 사용법 [1]
327정성태8/16/200631843개발 환경 구성: 7. ActiveX 서명 과정 자동화 [1]
326정성태8/16/200625591Team Foundation Server: 13. Sysnet 웹 사이트 TFS Migration
322정성태8/15/200620506개발 환경 구성: 6. 4GB 메모리 구성 [1]
316정성태9/20/200639577디버깅 기술: 6. .NET 예외 처리 정리 [6]
309정성태12/27/200640478디버깅 기술: 5. PDB 이야기 [7]
310정성태8/5/200627561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 PDB 파일에 따른 Debug 정보 - WinForm + Library 유형의 프로젝트파일 다운로드1
311정성태8/10/200627039    답변글 디버깅 기술: 5.2. PDB 파일에 따른 Debug 정보 - .NET 2.0 Web Application Project + Library 유형의 프로젝트
312정성태8/5/200629787    답변글 디버깅 기술: 5.3. PDB 파일에 따른 Debug 정보 - .NET 2.0 Web Site Model 유형의 프로젝트
313정성태8/12/200628909    답변글 디버깅 기술: 5.4. VS.NET 2005 디버그 모드에서의 PDB 파일 사용 차이 (1)
317정성태8/12/200626372    답변글 디버깅 기술: 5.5. VS.NET 2005 디버그 모드에서의 PDB 파일 사용 차이 (2)
318정성태8/12/200632807    답변글 디버깅 기술: 5.6. VS.NET 2005를 이용한 미니덤프 파일 분석 (1)
319정성태8/12/200627799    답변글 디버깅 기술: 5.7. VS.NET 2005를 이용한 미니덤프 파일 분석 (2) [1]
320정성태8/12/200631932    답변글 디버깅 기술: 5.8. WinDBG를 이용한 미니덤프 파일 분석 [1]
321정성태8/13/200636364    답변글 디버깅 기술: 5.9. Microsoft의 PDB 파일 관리
323정성태8/15/200637780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0. Symbol Server 생성 [4]
324정성태8/15/200634614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1. PDB 파일과 소스 코드
325정성태9/8/200627292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2. CCP를 이용한 Windows Source Code 수준의 디버깅
329정성태8/19/200626326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3. 소스 서버 구성 [1]
332정성태8/20/200627792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4. GAC 에 등록된 Assembly 디버그 [2]
341정성태9/16/200620142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5. [내용 예약]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