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Team Foundation Server: 32. 팀 빌드 오류 확인 방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9337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TFS - 팀 빌드 오류 확인 방법


지난 이야기에 이어서.

TFS - 팀 빌드 스케줄 확인 방법
; https://www.sysnet.pe.kr/2/0/731

스케줄링된 팀 빌드(또는 임의로 실행)에서 오류가 발생했다면 어떻게 확인할까요?




1. Team Explorer를 열고 속해 있는 팀 프로젝트의 "Builds" 노드를 확장합니다.

2. 팀 빌드 이름을 마우스로 두 번 클릭하면 "Build Explorer"가 실행됩니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의 글에서도 이미 설명드렸지요.

VSTS 2008의 Build Explorer
; https://www.sysnet.pe.kr/2/0/597

참고로, 원하는 "Date filter"를 설정하면 팀 빌드 기록을 필터링할 수 있습니다. (보통 "Today" 설정이 가장 무난합니다.)

[그림 1: 빌드 탐색기 - Date Filter]
team_build_check_error_1.png

3. "X" 마크는 누가 봐도 팀 빌드 오류가 발생했음을 알 수 있게 합니다. 해당 항목을 마우스로 두 번 누르면 다음과 같이 빌드 결과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담은 창이 뜨게 됩니다. (여기서부터는 Visual Studio 2010과 2008의 동작이 다르기 때문에 2008 기준으로 다시 화면 갈무리를 합니다.)

[그림 2: 빌드 결과]
team_build_check_error_2.png

보시는 것처럼, 링크가 "Build name"과 "Log" 2군데에서 제공됩니다. "Log"에 해당하는 "\\dxtfs2008\BuildRoot\INS\Debug_20090527.1\BuildLog.txt" 링크를 누르면 자세한 정보를 담은 로그 기록 파일이 열립니다. 이것 외에 동일한 폴더에 오류와 경고 로그만을 포함한 "ErrorsWarningsLog.txt" 파일도 있으므로 간단하게 그 파일을 참조하는 것도 도움이 되겠습니다. (UNC 경로이기 때문에, 당연히 네트워크 파일 공유가 가능해야 합니다.)

어쨌든, 로그 파일을 살펴보면 오류가 나옵니다.

예를 들어 보면, 아래의 로그는 개발자가 자신의 PC에만 설치된 전역 어셈블리를 참조해서 무책임하게 프로젝트를 체크인한 경우를 보여줍니다.

[Any CPU/Release] D:\BuildWorkDir\....xaml(37,45): error MC1000: Unknown build error, 'Cannot resolve dependency to assembly 'Infragistics3.Wpf.Editors.v9.1, Version=9.1.20091.1006,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7dd5c3163f2cd0cb' because it has not been preloaded. When using the ReflectionOnly APIs, dependent assemblies must be pre-loaded or loaded on demand through the ReflectionOnlyAssemblyResolve event. Line 37 Position 45.'
[Any CPU/Release]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v3.5\Microsoft.Common.targets(0,0): warning MSB3245: Could not resolve this reference. Could not locate the assembly "Infragistics3.Wpf.DockManager.v9.1". Check to make sure the assembly exists on disk. If this reference is required by your code, you may get compilation errors.
[Any CPU/Release]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v3.5\Microsoft.Common.targets(0,0): warning MSB3245: Could not resolve this reference. Could not locate the assembly "Infragistics3.Wpf.v9.1". Check to make sure the assembly exists on disk. If this reference is required by your code, you may get compilation errors.
[Any CPU/Release] WPFSpecific\ViewManager.cs(7,7): error CS0246: The type or namespace name 'Infragistics' could not be found (are you missing a using directive or an assembly reference?)



그 외에 심심치 않게 나오는 오류로 파일명이 너무 긴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방법이 없습니다. 어떻게 해서든지 파일 경로를 단축시켜야 합니다. ^^

"D:\...\TFSBuild.proj"(EndToEndIteration 대상)(1) ->
(CoreGet 대상) ->
C:\Program Files\MSBuild\Microsoft\VisualStudio\TeamBuild\Microsoft.TeamFoundation.Build.targets(755,5,755,5): error : TF10128: D:\TeamBuildWorkingDirectory\TestPackage\Debug\Sources\TestPackage\TestMockupProjects\Mockup.CPP\Service References\HistoryServiceRef\Mockup.CPP.HistoryServiceRef.ArrayOfKeyValueOfChartDisplayProjectSettingTypeanyTypexS7gyJOuKeyValueOfChartDisplayProjectSettingTypeanyTypexS7gyJOu.datasource 경로가 최대 길이인 259자보다 깁니다. 더 짧은 경로를 입력하거나 선택하십시오.
C:\Program Files\MSBuild\Microsoft\VisualStudio\TeamBuild\Microsoft.TeamFoundation.Build.targets(755,5,755,5): error : TF10128: D:\TeamBuildWorkingDirectory\TestPackage\Debug\Sources\TestPackage\TestMockupProjects\Mockup.CPP\Service References\HistoryServiceRef\Mockup.CPP.HistoryServiceRef.ArrayOfKeyValueOfChartDisplaySettingTanyTypexS7gyJOuKeyValueOfChartDisplaySettingTanyTypexS7gyJOu.datasource 경로가 최대 길이인 259자보다 깁니다. 더 짧은 경로를 입력하거나 선택하십시오.



TFS 2010에서는 259글자 제한이 좀 없어졌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30/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350정성태9/25/202025886Windows: 175. 윈도우 환경에서 클라이언트 소켓의 최대 접속 수 [2]파일 다운로드1
12349정성태9/25/202019347Linux: 32. Ubuntu 20.04 - docker를 위한 tcp 바인딩 추가
12348정성태9/25/202019736오류 유형: 658. 리눅스 docker - Got permission denied while trying to connect to the Docker daemon socket at unix:///var/run/docker.sock
12347정성태9/25/202035804Windows: 174. WSL 2의 네트워크 통신 방법 [4]
12346정성태9/25/202018109오류 유형: 657. IIS - http://localhost 방문 시 Service Unavailable 503 오류 발생
12345정성태9/25/202018800오류 유형: 656. iisreset 실행 시 "Restart attempt failed." 오류가 발생하지만 웹 서비스는 정상적인 경우파일 다운로드1
12344정성태9/25/202020875Windows: 173. 서비스 관리자에 "IIS Admin Service"가 등록되어 있지 않다면?
12343정성태9/24/202032061.NET Framework: 945. C# - 닷넷 응용 프로그램에서 메모리 누수가 발생할 수 있는 패턴 [5]
12342정성태9/24/202020689디버깅 기술: 171. windbg - 인스턴스가 살아 있어 메모리 누수가 발생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
12341정성태9/23/202018546.NET Framework: 944. C# - 인스턴스가 살아 있어 메모리 누수가 발생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340정성태9/23/202018565.NET Framework: 943. WPF - WindowsFormsHost를 담은 윈도우 생성 시 메모리 누수
12339정성태9/21/202018693오류 유형: 655. 코어 모드의 윈도우는 GUI 모드의 윈도우로 교체가 안 됩니다.
12338정성태9/21/202020022오류 유형: 654. 우분투 설치 시 "CHS: Error 2001 reading sector ..." 오류 발생
12337정성태9/21/202019941오류 유형: 653. Windows - Time zone 설정을 바꿔도 반영이 안 되는 경우
12336정성태9/21/202023206.NET Framework: 942. C# - WOL(Wake On Lan) 구현
12335정성태9/21/202033921Linux: 31. 우분투 20.04 초기 설정 - 고정 IP 및 SSH 설치
12334정성태9/21/202018451오류 유형: 652. windbg - !py 확장 명령어 실행 시 "failed to find python interpreter"
12333정성태9/20/202018690.NET Framework: 941. C# - 전위/후위 증감 연산자에 대한 오버로딩 구현 (2)
12332정성태9/18/202021556.NET Framework: 940. C# - Windows Forms ListView와 DataGridView의 예제 코드파일 다운로드1
12331정성태9/18/202021014오류 유형: 651. repadmin /syncall - 0x80090322 The target principal name is incorrect.
12330정성태9/18/202022038.NET Framework: 939. C# - 전위/후위 증감 연산자에 대한 오버로딩 구현 [2]파일 다운로드1
12329정성태9/16/202024064오류 유형: 650. ASUS 메인보드 관련 소프트웨어 설치 후 ArmouryCrate.UserSessionHelper.exe 프로세스 무한 종료 현상
12328정성태9/16/202021415VS.NET IDE: 150. TFS의 이력에서 "Get This Version"과 같은 기능을 Git으로 처리한다면?
12327정성태9/12/202020490.NET Framework: 938. C# - ICS(Internet Connection Sharing) 제어파일 다운로드1
12326정성태9/12/202020202개발 환경 구성: 516. Azure VM의 Network Adapter를 실수로 비활성화한 경우
12325정성태9/12/202018789개발 환경 구성: 515. OpenVPN - 재부팅 후 ICS(Internet Connection Sharing) 기능이 동작 안하는 문제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