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142. WPF - Grid 컨트롤의 ShowGridLine 개선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37347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WPF - Grid 컨트롤의 ShowGridLine 개선


지난번에는 HTML 테이블의 Cell Padding에 해당하는 기능을 구현해 보았는데요.

WPF - CellPadding 속성을 구현하는 Grid Layout
; https://www.sysnet.pe.kr/2/0/734

역시나, HTML Table 태그를 사용해보신 분들은 또 한 가지 아쉬운 기능이 있을 것입니다. 바로 Cell 간의 Border 속성이 그것인데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HTML Table의 경우,

<table style="width: 300px; height: 300px;" border="1">
    <tr>
        <td>&nbsp;</td>
        <td>&nbsp;</td>
        <td rowspan=2>&nbsp;</td>
    </tr>
    <tr>
        <td>&nbsp;</td>
        <td>&nbsp;</td>
    </tr>
    <tr>
        <td>&nbsp;</td>
        <td colspan=2>&nbsp;</td>
    </tr>
</table>

아래와 같은 식으로 나오게 됩니다.

[그림 1: Border가 지정된 HTML Table]
wpf_grid_show_grid_line_1.png

이제 WPF에서 제공되는 Grid Panel과 비교해 볼까요?
다행히, WPF Grid 역시 Border와 비슷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ShowGridLines" 의존 속성을 지원하는데, 이를 지정하면 다음과 같은 식으로 보이게 됩니다.

[그림 2: ShowGridLines="True"가 지정된 Grid]
wpf_grid_show_grid_line_2.png

불행히도, 보시는 것처럼 ShowGridLines 속성이 왜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들 정도입니다. 사실, Microsoft에서는 이 기능을 사용하지 말라고 권고하고 있습니다.

.NET Framework Class Library - Grid.ShowGridLines Property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api/system.windows.controls.grid.showgridlines#System_Windows_Controls_Grid_ShowGridLines

Only dotted lines are available because this property is intended as a design tool to debug layout problems and is not intended for use in production quality code. If you want lines inside a Grid, style the elements within the Grid to have borders.



스타일로 해결하라는데, ... 그건 디자인 잘 하시는 분들이 해결해 주시고. ^^ 저는 프로그래밍으로 접근해 보겠습니다.

일단, 검색을 해보죠.

How can I change the color of the gridlines of a Grid in WPF?
;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606220/how-can-i-change-the-color-of-the-gridlines-of-a-grid-in-wpf

위의 글은 원인은 분석하였으나 답을 내주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좀 더 ^^ 찾아보면,

WPF Grid Question
; http://social.msdn.microsoft.com/Forums/en-US/wpf/thread/74e36c60-b93a-47c7-8214-79669ec6b121/

오... 그나마 괜찮은 대답입니다.

코드는 그저 Grid에 OnRender 부분만 다음과 같이 재정의해주면 됩니다.

public class CustomGrid : Grid  
{  
    Pen line = new Pen(Brushes.Black, 1);  
    protected override void OnRender(System.Windows.Media.DrawingContext dc)  
    {  
        base.OnRender(dc);  
        dc.DrawRectangle(null, line, new Rect(0,0,this.ActualWidth, this.ActualHeight));  
        double height = 0;  
        foreach (var r in this.RowDefinitions)  
        {  
            height += r.ActualHeight;  
            dc.DrawLine(line, new Point(0, height), new Point(this.ActualWidth,height));  
        }  
        double width = 0;  
        foreach (var c in this.ColumnDefinitions)  
        {  
            width += c.ActualWidth;  
            dc.DrawLine(line, new Point(width, this.ActualHeight), new Point(width, 0));  
        }  
    }  
}  

와~~~ 간단하지요. ^^ 그런데, 정작 적용해 보면 다양한 상황을 고려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래의 그림과 같이 나옵니다.

[그림 3: RowSpan/ColumnSpan이 고려되지 않은 Cell Border]
wpf_grid_show_grid_line_3.png

그럼, 이 부분을 다듬으면 문제는 해결이 되는데요. 생각 자체는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가로선을 그을 때(Row별로) 칼럼 단위만큼 그리며 진행하다가 다음번 그려야 될 곳이 RowSpan으로 되어 있으면 그 구획은 긋지 말고 건너뛰면 됩니다. 세로선도 마찬가지겠지요.

그렇게 생각한 데로 구현해서 보정하면, 최종적으로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이 정도면... 괜찮지 않나요! ^^

[그림 4: RowSpan/ColumnSpan 영역을 고려한 Cell Border]
wpf_grid_show_grid_line_4.png

보정된 소스 코드는 첨부된 솔루션 압축 파일에 있습니다. (2023-04-20: 덧글의 Lyn 님의 소스코드가 반영됐습니다.)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20/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7-08-27 06시16분
[Lyn] 안녕하세요. 해당 코드 잘 참고 하여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제가 사용하기 위해 수정 한 코드를 https://lunapiece.net/Article/14007914 에 올려놓았습니다
[guest]
2017-08-28 08시34분
[정환나라] 성태님 혹시나 해서 말씀드리는데 코드같은것들을 첨부하지마시고 Github에 공개해서 진행하시는건 어떨지 여쭤봅니다.
[guest]
2017-08-28 09시23분
@Lyn 글 잘봤습니다. ^^ 그러고 보니, 벌써 8년 가량이 흘렀군요.

@정환나라 이게 워낙 별다르게 큰 묶음이 아니라서... ^^; 일일이 올리는 것도 참 애매합니다. repo 생성도 그렇고.
정성태
2021-03-11 08시50분
[Wow User] 덕분에 좋은 오픈소스 받아갑니다. 감사합니다.
[guest]
2021-06-13 04시08분
[Lyn] 블로그가 옮겨져서 혹시 찾으시는분 계실까봐 링크 옮겨 달아둡니다

http://blog.lunapiece.net/posts/WPF-Border-Grid/
[guest]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972정성태1/7/201124129개발 환경 구성: 95. SQL Server 2008 R2 이하 버전 정보 확인
971정성태1/5/201133710.NET Framework: 199. .NET 코드 - Named Pipe 닷넷 서버와 VC++ 클라이언트 제작 [2]파일 다운로드1
970정성태1/4/201134241.NET Framework: 198. 윈도우 응용 프로그램에 Facebook 로그인 연동 [1]파일 다운로드1
969정성태12/31/201040350VC++: 45. Winsock 2 Layered Service Provider - Visual Studio 2010용 프로젝트 [1]파일 다운로드1
968정성태12/30/201026597개발 환경 구성: 94. 개발자가 선택할 수 있는 윈도우에서의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기술 [2]
967정성태12/27/201028385.NET Framework: 197. .NET 코드 - 단일 Process 실행파일 다운로드1
966정성태12/26/201026348.NET Framework: 196. .NET 코드 - 창 흔드는 효과파일 다운로드1
965정성태12/25/201027836개발 환경 구성: 93. MSBuild를 이용한 닷넷 응용프로그램의 다중 어셈블리 출력 빌드파일 다운로드1
964정성태12/21/2010142998개발 환경 구성: 92. 윈도우 서버 환경에서, 최대 생성 가능한 소켓(socket) 연결 수는 얼마일까? [14]
963정성태12/13/201027871개발 환경 구성: 91. MSBuild를 이용한 닷넷 응용프로그램의 플랫폼(x86/x64)별 빌드 [2]파일 다운로드1
962정성태12/10/201022757오류 유형: 110. GAC 등록 - Failure adding assembly to the cache: Invalid file or assembly name.
961정성태12/10/201099795개발 환경 구성: 90. 닷넷에서 접근해보는 PostgreSQL DB [5]
960정성태12/8/201045075.NET Framework: 195. .NET에서 코어(Core) 관련 CPU 정보 알아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959정성태12/8/201031907.NET Framework: 194. Facebook 연동 - API Error Description: Invalid OAuth 2.0 Access Token
958정성태12/7/201028899개발 환경 구성: 89. 배치(batch) 파일에서 또 다른 배치 파일을 동기 방식으로 실행 및 반환값 얻기 [2]
957정성태12/6/201031638디버깅 기술: 31. Windbg - Visual Studio 디버그 상태에서 종료해 버리는 응용 프로그램 [3]
953정성태11/28/201036867.NET Framework: 193. 페이스북(Facebook) 계정으로 로그인하는 C# 웹 사이트 제작 [5]
952정성태11/25/201025313.NET Framework: 192. GC의 부하는 상대적인 것! [4]
950정성태11/18/201076671.NET Framework: 191. ClickOnce - 관리자 권한 상승하는 방법 [17]파일 다운로드2
954정성태11/29/201048670    답변글 .NET Framework: 191.1. [답변] 클릭원스 - 요청한 작업을 수행하려면 권한 상승이 필요합니다. (Exception from HRESULT: 0x800702E4) [2]
949정성태11/16/201027216오류 유형: 109. System.ServiceModel.Security.SecurityNegotiationException
948정성태11/16/201036007.NET Framework: 190. 트위터 계정으로 로그인하는 C# 웹 사이트 제작 [7]파일 다운로드1
947정성태11/14/201041663.NET Framework: 189. Mono Cecil로 만들어 보는 .NET Decompiler [1]파일 다운로드1
946정성태11/11/201041500.NET Framework: 188. .NET 64비트 응용 프로그램에서 왜 (2GB) OutOfMemoryException 예외가 발생할까? [1]파일 다운로드1
945정성태11/11/201025029VC++: 44. C++/CLI 컴파일 오류 - error C4368: mixed types are not supported
944정성태11/11/201031509VC++: 43. C++/CLI 컴파일 오류 - error C2872: 'IServiceProvider' : ambiguous symbol could be ...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