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19. VS.NET 2005 Team Foundation Server 설치오류 - 26204 예외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1395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우선, 해당 오류가 발생했을 시에 다음의 Blog 토픽을 참조하십시오.
http://blogs.msdn.com/askburton/archive/2004/09/03/225386.aspx

저 같은 경우에는, 위의 상황이외에서 오류가 발생했는데요.
다른 분들도 저와 같은 시행착오가 있지 않을까 싶어서 한번 올려봅니다.


[현상]
1. VS.NET TFS 설치 파일 vstf\install.exe 로 진행중에 다음과 같은 오류 메시지 창과 함께 더 이상 진행이 되지 않습니다.



2. 이 때, 다음과 같은 위치의 로그 파일을 확인해 보면.
위치 : C:\Documents and Settings\[로그인한 사용자]\Local Settings\Temp
파일 : dd_entservermSI0C23.txt
내용 : 마지막 부분에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해서 Roll-back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음.

CustomActionSchedule(Action=ExecuteSqlStrings,ActionType=25601,Source=BinaryData,Target=**********,CustomActionData=**********)
MSI (s) (E0:5C): Invoking remote custom action. DLL: C:\WINDOWS\Installer\MSI74.tmp, Entrypoint: ExecuteSqlStrings ExecuteSqlStrings: Error 0x80040e14: failed to execute SQL string: exec sp_grantlogin @loginame= 'ad.sysnet.pe.kr\TFSAdmin' if not exists (select * from SysUsers where Name = 'ad.sysnet.pe.kr\TFSAdmin') exec sp_grantdbaccess 'ad.sysnet.pe.kr\TFSAdmin' EX EC sp_addrolemember 'db_owner', 'ad.sysnet.pe.kr\TFSAdmin'

이 시점이 SQL Server 2005 에 생성된 psshared 데이터 베이스를 처리하는 도중이었습니다.

[해결방법]
1. 저 같은 경우에는 위의 오류에 대해서 맨 위에 예시한 블로그로는 해결할 수가 없어서 상당히 난감했는데요. 몇번의 시행착오 끝에 해결하긴 했지만... 의외로 상당히 간단한 문제였습니다. 일단, VS.NET 2005 TFS 설치를 시작하면 다음과 같이 Database 및 AppPool 에 설정한 계정 정보를 물어보게 되는데요.



보시는 것처럼, 도메인에 흔히 아는 FQDN 식의 "ad.sysnet.pe.kr" 처럼 입력하면 안되고, 이전 NT4 버전과 같은 형식의 도메인 명 ( 여기서는 AD ) 을 입력해야 합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Active Directory 설치시에 도메인 설정을 "ad.sysnet.pe.kr" 로 했는데요. 로그인 시에 다음과 같이 "로그온 대상" 에 나오는 도메인 명을 입력해야 정상적으로 VS.NET 2005 TFS 가 설치되어집니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9/2018]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334정성태4/29/202317111Windows: 250. Win32 C/C++ - Modal 메시지 루프 내에서 SetWindowsHookEx를 이용한 Thread 메시지 처리 방법
13333정성태4/28/202313671Windows: 249. Win32 C/C++ - 대화창 템플릿을 런타임에 코딩해서 사용파일 다운로드1
13332정성태4/27/202314499Windows: 248. Win32 C/C++ - 대화창을 위한 메시지 루프 사용자 정의파일 다운로드1
13331정성태4/27/202313743오류 유형: 856. dockerfile - 구 버전의 .NET Core 이미지 사용 시 apt update 오류
13330정성태4/26/202316607Windows: 247. Win32 C/C++ - CS_GLOBALCLASS 설명
13329정성태4/24/202315803Windows: 246. Win32 C/C++ - 직접 띄운 대화창 템플릿을 위한 Modal 메시지 루프 생성파일 다운로드1
13328정성태4/19/202315330VS.NET IDE: 184. Visual Studio - Fine Code Coverage에서 동작하지 않는 Fake/Shim 테스트
13327정성태4/19/202315994VS.NET IDE: 183. C# - .NET Core/5+ 환경에서 Fakes를 이용한 단위 테스트 방법
13326정성태4/18/202319684.NET Framework: 2109. C# - 닷넷 응용 프로그램에서 SQLite 사용 (System.Data.SQLite) [1]파일 다운로드1
13325정성태4/18/202316152스크립트: 48. 파이썬 - PostgreSQL의 with 문을 사용한 경우 연결 개체 누수
13324정성태4/17/202317745.NET Framework: 2108. C# - Octave의 "save -binary ..."로 생성한 바이너리 파일 분석파일 다운로드1
13323정성태4/16/202316605개발 환경 구성: 677. Octave에서 Excel read/write를 위한 io 패키지 설치
13322정성태4/15/202318518VS.NET IDE: 182. Visual Studio - 32비트로만 빌드된 ActiveX와 작업해야 한다면?
13321정성태4/14/202316088개발 환경 구성: 676. WSL/Linux Octave - Python 스크립트 연동
13320정성태4/13/202315650개발 환경 구성: 675. Windows Octave 8.1.0 - Python 스크립트 연동
13319정성태4/12/202316671개발 환경 구성: 674. WSL 2 환경에서 GNU Octave 설치
13318정성태4/11/202315900개발 환경 구성: 673. JetBrains IDE에서 "Squash Commits..." 메뉴가 비활성화된 경우
13317정성태4/11/202317044오류 유형: 855. WSL 2 Ubuntu 20.04 - error: cannot communicate with server: Post http://localhost/v2/snaps/...
13316정성태4/10/202312858오류 유형: 854. docker-compose 시 "json.decoder.JSONDecodeError: Expecting value: line 1 column 1 (char 0)" 오류 발생
13315정성태4/10/202315577Windows: 245. Win32 - 시간 만료를 갖는 컨텍스트 메뉴와 윈도우 메시지의 영역별 정의파일 다운로드1
13314정성태4/9/202316584개발 환경 구성: 672. DosBox를 이용한 Turbo C, Windows 3.1 설치 [1]
13313정성태4/9/202316475개발 환경 구성: 671. Hyper-V VM에 Turbo C 2.0 설치 [2]
13312정성태4/8/202315263Windows: 244. Win32 - 시간 만료를 갖는 MessageBox 대화창 구현 (개선된 버전)파일 다운로드1
13311정성태4/7/202316906C/C++: 163. Visual Studio 2022 - DirectShow 예제 컴파일(WAV Dest)
13310정성태4/6/202315420C/C++: 162. Visual Studio - /NODEFAULTLIB 옵션 설정 후 수동으로 추가해야 할 library
13309정성태4/5/202317626.NET Framework: 2107. .NET 6+ FileStream의 구조 변화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