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144. WPF - FrameworkElement.Parent 속성이 null이라면?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7003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FrameworkElement.Parent 속성이 null이라면?


예를 들어서, "Mole debugger visualizer"를 이용해서 ContentPresenter의 Content에 지정된 Button.Parent 속성을 확인해 보면 아래와 같이 "null"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XAML ===

<ContentPresenter>
    <ContentPresenter.Content>
        <Button>Test</Button>
    </ContentPresenter.Content>
</ContentPresenter>

[그림 1: Button.Parent == null]
logical_and_visual_tree_1.png

WPF를 처음 하시는 분들은 어리둥절할 텐데요. 보는 것처럼 왼쪽 패널에는 트리 구조로 분명 Parent/Child 관계가 성립되어 있는데, 정작 Button.Parent에는 null이라는 것은 납득이 안됩니다.




이유인 즉, WPF는 Logical Tree와 Visual Tree라는 2개의 Parent/Child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데, Button.Parent 속성이 정의된 FrameworkElement.Parent 속성은 Visual 트리상에서의 부모가 아닌 Logical 트리 상에서의 부모를 반환하기 때문에 위와 같은 결과가 나오는 것입니다. (사실, 왼쪽 패널의 트리 뷰 탭을 보면 "Visual Tree"라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이런 경우에 부모를 찾고 싶다면 Visual Tree에서 찾아야 하고, 바로 이럴 때 VisualTreeHelper.GetParent 메서드를 이용하면 되는 것입니다.

이미 Logical Tree와 Visual Tree에 관해서는 많은 글에서 설명하고 있으므로 링크로 떼우겠습니다.

Exploring the WPF Logical and Visual TreesFebruary 10th, 2006 
; http://blog.lab49.com/archives/217

Of logical and visual trees in WPF 
; http://blogs.msdn.com/mikehillberg/archive/2008/05/23/Of-logical-and-visual-trees-in-WPF.aspx

Visual Level Programming vs Logical Level Programming
; http://shevaspace.spaces.live.com/?_c11_BlogPart_BlogPart=blogview&_c=BlogPart&partqs=amonth%3d2%26ayear%3d2007

위의 글 중에서 첫 번째 글을 보면... 재미있는 내용이 나옵니다. ^^

Note the difference in API between the LogicalTreeHelper and VisualTreeHelper. LogicalTreeHelper supports the GetChildren(FrameworkElement parent) method to give you an IEnumerable. In constrast VisualTreeHelper makes you use GetChildrenCount(Visual parent) and then iterate through that count using GetChild(Visual parent, int childIndex). Why the API difference for something which is essentially the same thing? My answer from Microsoft, "It was probably coded by two different developers."



그건 그렇고.

이 관계를 이해하면 ContentControl과 ContentPresenter의 다른점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이미 다음의 글에서 차이점을 설명하고 있는데요.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
-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ContentPresenter and ContentControl?
; http://www.beacosta.com/blog/?p=38

위의 설명에 나오지 않는 것을 하나 첨언하자면.

  • ContentControl의 경우 Logical Tree상의 Parent/Child 관계를 유지하고.(예외, 템플릿 안에 있을 때는 유지하지 않음)
  • ContentPresenter의 경우 Logical Tree상의 Parent/Child 관계를 유지하지 않음.

처음 Visual/Logical 트리라는 단어를 보았을 때, 왜 이런 것을 만들어 놓았어...? 라고 내심 생각했지만 Win32/WinForm 시절의 Window Handle 기반으로 고정된 Parent/Child 관계를 HWND가 없는 상태에서 나름 훌륭하게 구성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




마지막으로, 위에서 소개한 글 중에 포함된 멋진 퀴즈 하나!

<Button FontWeight='bold'>
    <StackPanel>
        <Image />
        <TextBlock>Clack</TextBlock>
    </StackPanel>

    <Button.Template>
        <ControlTemplate TargetType='Button'>
            <ContentPresenter Content='{TemplateBinding Content}'
             TextBlock.FontWeight='normal'/>
        </ControlTemplate>
    </Button.Template>
</Button>

위와 같은 상태에서 ContentPresenter안에 놓인 텍스트는 "normal"일까요? "bold"일까요?
만약, 이 문제에 대한 답을 설명하지 못한다면 Logical/Visual Tree에 대한 이해가 완전하지 못한 것이니 ^^ 위에서 소개한 글을 시간 내서 꼭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정답은 두 번째 글에 있습니다.)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6/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09-06-18 01시57분
[사이] 아 멋지네요~ ^^ 궁금했던 의문점들이 투명해 졌습니다. 감사합니다.^^
[guest]
2009-06-18 02시52분
그쵸... 저 위에 있는 링크들의 글들이... 꽤나 잘 설명해 주고 있어서. ^^ 별로 쓸 말이 없습니다.
kevin25
2016-06-07 01시21분
정성태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603정성태1/23/201433569개발 환경 구성: 211. Hyper-V - Generation 2 유형의 VM 생성 시 ISO 부팅이 안된다면? [1]
1602정성태1/22/201423670디버깅 기술: 62. windbg - 사용자 모드 원격 디버깅
1601정성태1/22/201427241오류 유형: 215. windbg - Symbol file could not be found. Defaulted to export symbols
1600정성태1/19/201423911.NET Framework: 410. C# - 재귀호출을 스택 자료구조와 반복문을 이용해 대체하는 방법을 Paralle.For와 함께? [1]파일 다운로드1
1599정성태1/18/201432011.NET Framework: 409. C# - 재귀호출을 스택 자료구조와 반복문을 이용해 대체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598정성태1/17/201425362디버깅 기술: 61. NT 서비스 시작 단계에서 닷넷 메서드에 BP를 걸어 디버깅하는 방법
1597정성태1/17/201423931Phone: 9. Xamarin Android에 구글 AdMob 사용하는 방법 [1]
1596정성태1/17/201422878오류 유형: 214. Local SYSTEM 계정으로 실행된 IE에서 다운로드가 안 되는 문제
1595정성태1/16/201419850오류 유형: 213. attrib - Not resetting system file
1594정성태1/15/201422061오류 유형: 212. 마이크로소프트 라이브 계정 로그인 실패하는 경우
1593정성태1/14/201420621오류 유형: 211. ASP.NET 응용 프로그램을 IIS Express에서 디버깅할 때 "Requested registry access is not allowed" 오류 발생
1592정성태1/14/201420949오류 유형: 210. 2대의 AD가 있는 경우 도메인에 컴퓨터 추가를 실패한다면? [1]
1591정성태1/14/201423149오류 유형: 209. DebugDiag: Unable to find mscordacwks_x86_x86_[...version...].dll
1590정성태1/14/201423735오류 유형: 208. VSS Writer - NTDS 오류
1589정성태1/14/201432680Windows: 85. 컴퓨터를 껐는데도 어느 순간 자동으로 켜진다면? [2]
1588정성태1/14/201429484Windows: 84. 윈도우 7/8 - 메뉴 항목이 잔상으로 남는 문제
1587정성태1/14/201425403디버깅 기술: 60. NT 서비스가 시작하자마자 디버거를 연결시키는 방법 (2)
1586정성태1/14/201427114디버깅 기술: 59. NT 서비스가 시작하자마자 디버거를 연결시키는 방법 (1) [1]
1585정성태1/14/201430048VS.NET IDE: 84. Visual Studio를 이용한 파일 비교(diff)
1584정성태1/13/201432373Windows: 83. 윈도우 8 - UI가 있는 프로그램을 Local SYSTEM 권한의 세션 0 데스크톱에서 실행하는 방법
1583정성태1/13/201430318Windows: 82. 윈도우 8 - "Interactive Services Detection" 서비스 시작하는 방법 [1]
1582정성태1/12/201428772개발 환경 구성: 210. 원격 데스크톱(RDP) 접속 프로그램 - Royal TS [1]
1581정성태1/12/201430116.NET Framework: 408. 자바와 닷넷의 제네릭 차이점 - 중간 언어 및 공변/반공변 처리 [8]
1580정성태1/12/201440172.NET Framework: 407. 닷넷 사용자 정의 예외 클래스의 최소 구현 코드 [1]
1579정성태1/12/201422169오류 유형: 207. System.ArgumentException was unhandled - Message=[net_WebHeaderInvalidControlChars]
1578정성태1/11/201433728개발 환경 구성: 209. Fiddler에서 WebSocket 통신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1]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