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글 보이기/감추기 AD BLOCK 해제 요청 이 글에는 광고가 많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adblock을 해제하셔도 글을 읽는데 그다지 부담이 없으니 해제를 부탁드립니다. TFS 작업 항목 보기 오류 - WorkItemTypeDeniedOrNotExistException Windows 7로 설치한 이후 ^^ 재미있는 일이 많이 생기는군요. 이번에는 TFS 작업 항목을 Team Explorer에서 보는데, 해당 항목을 선택하면 다음과 같은 오류 창이 나타납니다. [그림 1: WorkItemTypeDeniedOrNotExistException] 원인은 알 수 없지만, 분명히 GAC에는 정상적으로 Microsoft.TeamFoundation.WorkItemTracking.Client가 버전 정보와 공개키가 일치하는 버전으로 있습니다. [그림 2: Microsoft.TeamFoundation.WorkItemTracking.Client] 일단, 구글 검색을 해보니 아래와 같은 토픽들이 나옵니다. TFS WorkItem Error - Could not load type ‘Microsoft.TeamFoundation.WorkItemTracking.Client.WorkItemTypeDeniedOrNotExistException’ ; http://blog.ctsoftwares.com/post/2009/06/24/TFS-WorkItem-Error-e28093-Could-not-load-type-e28098MicrosoftTeamFoundationWorkItemTrackingClientWorkItemTypeDeniedOrNotExistExceptione28099.aspx Could not load type 'Microsoft.TeamFoundation.workitemTracking.Client.WorkItemTypeDeniedOrNotExistException' ; http://connect.microsoft.com/VisualStudio/feedback/ViewFeedback.aspx?FeedbackID=356083 Could not load type 'microsoft.teamfoundation.workitemtracking.client.workitemtypedeniedornotexistexception' ; http://netindonesia.net/blogs/cipto/archive/2009/01/15/could-not-load-type-microsoft-teamfoundation-workitemtracking-client-workitemtypedeniedornotexistexception.aspx 대강 원인을 정리해 보니, Visual Studio 설치 후에 Team Explorer보다 Visual Studio SP1을 먼저 설치해서 나타나는 현상이었습니다. 아무래도 Team Explorer 구성 요소 역시 SP1에서 업데이트 되는 내용이 있을 테니 그 부분에서 충돌이 있는 듯합니다. 따라서. 가장 간단한 해결 방법은? 그냥 Visual Studio 2008 SP1을 다시 한번 설치하는 것. 다시 설치하면서 자세히 보니 업데이트로 영향을 받는 제품군 중에서 "Microsoft Visual Studio 2008 Team Explorer"가 포함되어 있군요. ^^ [그림 3: SP1 업데이트로 영향받는 제품군]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다음 글] VS.NET IDE: 65. WPF 프로젝트용 Visual Studio 패치들[이전 글] 오류 유형: 83. A revocation check could not be performed for the certificate. [최초 등록일: 8/12/2009] [최종 수정일: 4/11/2022]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493정성태5/26/200728310오류 유형: 34. Windows Server 2008 : CA 인증서 발급 실패492정성태5/23/200727801.NET Framework: 89. ManagedThreadId - 두 번째 이야기 [5]1491정성태5/21/200728043.NET Framework: 88. ManagedThreadId ? [4]490정성태5/19/200736844오류 유형: 33. error MSB6003: SxS DLL 로딩 오류 [2]489정성태5/14/200724546.NET Framework: 87. .NET 2.0에서 C# 3.0 기능 사용하기488정성태5/14/200722764Windows: 25. Multiple Input Queues487정성태4/24/200728486VC++: 32. VC++에서 bool이 가지는 의미 [3]486정성태3/22/200727515Windows: 24. DreamScene과 DWM(Desktop Window Manager)의 관계 [1]485정성태3/17/200722751오류 유형: 32. VS.NET 2005 - x64 환경에서의 mixed 디버깅 환경 구성484정성태3/17/200721886오류 유형: 31. SQL Compact Edition 설치 후 오류483정성태3/17/200743284오류 유형: 30. x64 환경: .NET + COM 프로젝트 실행 시 오류 - 80040154 [2]482정성태3/17/200732671Team Foundation Server: 17. 팀 프로젝트 접속 및 사용481정성태3/17/200726573Team Foundation Server: 16. 팀 프로젝트 읽기 전용 사용자 등록480정성태3/14/200725085.NET Framework: 86. GC(Garbage Collector)의 변화479정성태3/14/200728822개발 환경 구성: 25. D820 - ReadyBoost 구동478정성태3/14/200728368개발 환경 구성: 24. D820 고주파음 문제477정성태3/14/200737720개발 환경 구성: 23. 비스타 x64 버전에서 서명되지 않은 드라이버 사용 [4]476정성태3/9/200733041개발 환경 구성: 22. D820 노트북 - 설치 및 BitLocker 구성 [1]475정성태3/6/200727268.NET Framework: 85. 공용 프로퍼티 자동 생성474정성태3/5/200725436.NET Framework: 84. Lambda 표현식 응용 사례 [1]473정성태3/4/200732661디버깅 기술: 14. TFS 오류 추적(TF53010, TF14105)472정성태3/3/200731922디버깅 기술: 13. 예외 발생 시 Minidump 생성 - WinDBG [3]1471정성태3/1/200720706디버깅 기술: 12. Managed Method에 Break Point 걸기469정성태2/28/200732566디버깅 기술: 11. (Managed) Main Method에 Break Point 걸기 [3]1470정성태3/1/200723972 디버깅 기술: 11.1. (Managed) Main Method에 Break Point 걸기 - 내용 보강468정성태2/25/200733718COM 개체 관련: 20. 탭 브라우저의 윈도우 핸들 구하기 [3]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