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Windows: 47. Windows Virtual PC에 설치된 Windows 7 VPC에서 Aero 효과 사용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2837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Windows Virtual PC에 설치된 Windows 7 VPC에서 Aero 효과 사용


이전 버전의 Virtual PC에 비해서 Windows Virtual PC는 확실히 월등한 ^^ 가상 환경을 제공해줍니다. 그중의 하나가 바로 Aero 효과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

아래의 글에 친절하게 설명되어 있습니다.

Enable Aero Glass in Windows Virtual PC
; http://keznews.com/6064_Enable_Aero_Glass_in_Windows_Virtual_PC

오호... 그런데 위와 같이 따라했는데 여전히 Windows 7 VPC는 투명 효과가 없는 Aero 테마를 보여주는 데... ^^;

[그림 1: 투명효과가 없는 Aero 테마]
how_to_enable_aero_effect_1.png

이상하다... 이상하다... 싶어서 좀 더 검색을 해보았습니다. ^^ 다행히 위의 글에서는 빼먹은 방법이 하나 나옵니다.

Enable Aero Glass in Windows Virtual PC
; http://www.redmondpie.com/enable-aero-glass-in-windows-virtual-pc/

무엇이냐면? "Integration Features"는 설치해 준 후에, 별도로 "Tools" / "Enable Integration Features" 메뉴를 이용해서 명시적으로 활성화시켜 주어야 한다는 것!

[그림 2: 투명 효과가 적용된 Aero 테마]
how_to_enable_aero_effect_2.png

우오~~~~ Windows 7에 반해버렸습니다. ^^ (하지만, 역시나 에어로를 켜 놓으니 성능이 떨어지는군요.)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0/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09-08-23 09시52분
Enable Aero in Windows 7 with Registry Tweak
; http://forums.techarena.in/customize-desktop/1169667.htm

소프트웨어적으로 Aero 효과를 켤 수 있다고 하더니, 아마도 위의 방법이 그것이 아닌가 싶네요. ^^
kevin25
2009-10-30 09시52분
Virtualized Aero Goodness
; http://feedproxy.google.com/~r/MartinWoodward/~3/v5pzDNzTjyE/virtualized_aer.html

VMWare에서도 Aero 지원이 된다고 하는군요. ^^
kevin25
2010-03-13 01시03분
정확하지는 않지만, 호스트 운영체제의 시스템 자원이 많이 점유되어 있는 경우인 듯한데 ... 위와 같이 설정했음에도 불구하고 Aero 테마가 적용되지 않은 체로 Windows 7이 올라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테스트한 바로는, 호스트 운영체제를 재부팅하고 곧바로 Windows 7 VPC를 올리면 100% Aero 테마가 적용됩니다.
kevin25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87정성태1/23/200517567VS.NET IDE: 18. VS.NET 2005 Beta 1 - VC++ 프로젝트에서 Connection Point 구현시 버그
88정성태1/23/200517291    답변글 VS.NET IDE: 18.1. VS.NET 2003 : VC++ 프로젝트에서 Connection Point 추가시에도 버그
86정성태1/23/200522996.NET Framework: 21. Code Snippet - Enum과 관련된 다양한 형변환 [1]
85정성태1/23/200521175스크립트: 4. Windows 2003에서 BHO(Browser Helper Objects) 동작 안하는 현상 [1]
83정성태1/18/200526312.NET Framework: 20. System.AccessViolationException 예외가 발생한 한 예.
82정성태1/3/200519777VS.NET IDE: 17. Windows 운영 - 특정 사용자 또는 그룹에 대해서 파일 공유 접근 금지
79정성태1/20/200527738기타: 8. DELL Latitude D800 노트북 컴퓨터의 PC Beep 소음(!) 문제.
78정성태12/27/200420077VS.NET IDE: 16. MS 제품 관련 사용되는 TCP/IP 포트 열거파일 다운로드1
77정성태12/27/200420352VS.NET IDE: 15. Virtual CD-ROM Control Panel - ISO 이미지를 CD-ROM 드라이브처럼 접근하게 해주는 EXE 프로그램 [1]파일 다운로드1
76정성태12/27/200421396VS.NET IDE: 14. VPN 접속시 IP를 고정적으로 할당받는 방법 [1]
75정성태12/27/200417621VS.NET IDE: 13. VS.NET 2005 Beta 1 - Portfolio Explorer 에 등록된 Team Server 항목 삭제 방법
84정성태1/19/200518469    답변글 VS.NET IDE: 13.1. VS.NET 2005 Beta 1 : Team Server 에 등록된 포트폴리오 프로젝트 삭제 방법
74정성태12/26/200419065VS.NET IDE: 12. [시나리오] VS.NET 2005 Team Foundation Server을 Virtual Server에 설치 [1]
80정성태12/31/200418405    답변글 VS.NET IDE: 12.1. Client Tier, 즉 VS.NET 2005가 설치된 컴퓨터도 ActiveDirectory에 참여를 해야 합니다.
81정성태12/31/200420295    답변글 VS.NET IDE: 12.2. Tier 컴퓨터를 모두 영문으로 재구성
109정성태3/4/200515528    답변글 VS.NET IDE: 12.3. [보완] MS 공식 아티클 - Installing the December CTP Release of Visual Studio Team System
73정성태11/14/200517357.NET Framework: 19. VS.NET 2005 Team Foundation Server 설치오류 - 26204 예외
72정성태12/26/200418798.NET Framework: 18. .NET Framework 2.0 Beta 설치 후에 Windows SharePoint Service 오류 [1]
136정성태3/31/200518674    답변글 .NET Framework: 18.1. Windows Sharepoint Services 를 설치한 이후 ASP.NET 오류 문제
71정성태12/26/200417051VS.NET IDE: 11. SQL Server 2005 Beta 2 를 네트워크 드라이브로부터 설치시 오류
70정성태12/26/200419859VS.NET IDE: 10. WSS 설치 후 localhost 접근 보안 오류
69정성태12/5/200416944VS.NET IDE: 9. 다른 컴퓨터(방화벽 설치)에 설치된 SQL Server에 통합 인증을 할 때 필요한 포트
68정성태10/31/200421912.NET Framework: 17. Win32_NTLogEvent를 c#에서 wmi 쿼리할 때..에러..
67정성태10/22/200419118COM 개체 관련: 12. Microsoft.XMLHTTP 개체에서 Microsoft.XMLDOM 개체를 전송할 때 charset 지정 문제?
66정성태10/16/200420278.NET Framework: 16. [닷넷 리모팅] 프록시가 죽은 것을 원격 개체가 알 수 있는 방법은?
65정성태10/16/200419251VS.NET IDE: 8. Windows 가상 메모리 사용 해제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