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157. C# 4.0 - dynamic 키워드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34765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0개 있습니다.)

C# 4.0 - dynamic 키워드



아래의 재미있는 글이 있네요. ^^

Welcome to Dynamic C#(4) - 극과극 비교체험.
; http://vsts2010.net/114

Reflection을 조금 깊게 아시는 분들이라면, 왠지 실험 결과가 그다지 공평한 것 같진 않음을 눈치채셨을 것입니다.

그래서, 저도 한번 테스트해보기로 했습니다.
제가 구성한 VPC에서 위의 소스 코드에서 제시한 대로 실행했을 때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왔습니다.

Ctrl + F5 DEBUG빌드
 
Normal Time : 00:00:00.1815792
Dynamic Time : 00:00:00.4464240
Reflection Time : 00:00:11.3110800

자, 이제 Reflection 부분을 개선해 보겠습니다. 우선, Dynamic(초기 프로토타입) 메서드 호출 부분을 Reflector로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dynamic test = new Test();
test.FivePlusFive();

==> 컴파일러에 의해서 다음과 같이 변경되어 출력

public void DynamicCall()
{
    object test = new Test();
    if (<DynamicCall>o__SiteContainer0.<>p__Site1 == null)
    {
        <DynamicCall>o__SiteContainer0.<>p__Site1 = CallSite<Action<CallSite, object>>.Create(Binder.InvokeMember(0, "FivePlusFive", null, typeof(Program), new CSharpArgumentInfo[] { CSharpArgumentInfo.Create(0, null) }));
    }
    <DynamicCall>o__SiteContainer0.<>p__Site1.Target.Invoke(<DynamicCall>o__SiteContainer0.<>p__Site1, test);
}

가만히 보면, 별도의 dynamic 호출을 래퍼해주는 클래스를 컴파일 시에 생성해 주고 static으로 인스턴스를 보관해 두었다가 실행하고 있습니다.

오호... 거기서 벌써 ReflectionCall이 손해를 보고 있지요. 그래서 ReflectionCall도 다음과 같이 보정해 줄 수 있습니다.

static MethodInfo methodInfo;
public void ReflectionCall()
{
    Test test = new Test();
    if (methodInfo == null)
    {
        Type type = test.GetType();
        methodInfo = type.GetMethod("FivePlusFive");
    }

    methodInfo.Invoke(test, 
        BindingFlags.Instance | BindingFlags.InvokeMethod | BindingFlags.Public,
        null, new object[] { }, CultureInfo.InvariantCulture);
}

이렇게 해서 실행한 결과는?

Normal Time : 00:00:00.2387616
Dynamic Time : 00:00:00.4895616
Reflection Time : 00:00:06.9832752

오호... 거의 절반으로 줄었습니다. 그래도 성능이 dynamic에 비하면 한참 떨어집니다. 개선의 여지가 있을까요?

조금 더 자세히 보면, dynamic method 호출은 그에 해당하는 다음과 같은 private static class를 만들어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CompilerGenerated]
private static class <DynamicCall>o__SiteContainer0
{
    // Fields
    public static CallSite<Action<CallSite, object>> <>p__Site1;
}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CallSite가 관여하는 것을 보면, 아마도 컴파일러에 의한 동적 코드 생성이 관여되지 않을까 예상이 됩니다. 요즘 많이들 사용하는 Unity나 Spring.NET 같은 유의 IoC컨테이너들이 Reflection으로 로드한 타입의 메서드 호출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하여 동적으로 코드를 생성하는 것과 같은 방식이 사용되지 않을까 싶은데요.

이를 위해 .NET 2.0에 이미 소개되어 있는 Lightweight Code Generator(이하, LCG)를 사용해서 Reflection API를 좀 더 공평하게 개선을 해보겠습니다. (압니다... 알아요. LCG 사용하면 코드가 더 복잡해진다는 거. ^^;)

delegate int FivePlusFiveDelegate(object Instance);
static FivePlusFiveDelegate funcFivePlusFIve;

public void ReflectionCall()
{
    Test test = new Test();

    if (funcFivePlusFIve == null)
    {
        MethodInfo myMethodHandle = typeof(Test).GetMethod("FivePlusFive");

        DynamicMethod dm = new DynamicMethod(
            Guid.NewGuid().ToString(),
            typeof(int), new Type[]{ typeof(object) },
            typeof(Program), false);
            
        ILGenerator il = dm.GetILGenerator();
        il.Emit(OpCodes.Ldarg_0);
        il.Emit(OpCodes.Call, myMethodHandle);
        il.Emit(OpCodes.Ret);

        funcFivePlusFIve = (FivePlusFiveDelegate)
                dm.CreateDelegate(typeof(FivePlusFiveDelegate));
    }

    funcFivePlusFIve(test);
}

결과는?

Normal Time : 00:00:00.1484736
Dynamic Time : 00:00:00.4454208
Reflection Time : 00:00:00.2798928

이번엔, 오히려 dynamic 키워드가 2배 가까이 느린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엄밀히, LCG는 Reflection 범주라기보다는 동적 코드 생성에 가깝지요. 그렇긴 하지만, dynamic 키워드가 .NET 2.0에 소개된 LCG를 사용한 호출보다는 느리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결론이 바뀌죠? "Welcome to Dynamic C#(4) - 극과극 비교체험." 글에서는 결론이 다음과 같이 나왔지요.


다이나믹이 리플렉션에 비해서는 월등히 빠르군요. 아마도 DLR의 힘을 빌려서 리플렉션 보다 훨씬 빠른 방식을 이용하는 것 같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좀 조사를 해봐야 할거 같네요.



반면에, 제가 말하고자 하는 결론은 오히려,


dynamic 키워드가 DLR과의 호환을 위해 속도에서 손해를 보는 것일 뿐, DLR의 힘을 빌려서 리플렉션보다 훨씬 빠른 방식이 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단순히 리플렉션의 속도를 개선하고자 하는 것이었다면, C# 컴파일러가 컴파일 시에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CallSite 등의 코드를 삽입하기보다는 오히려 LCG에 해당하는 코드를 넣었을 것입니다. (그런데, (아마 범용성을 갖기 위한 래퍼 부분을 제외하고) 내부는 dynamic 역시 LCG로 처리할 것입니다.)



*** 첨부한 코드는 제가 변경한 프로젝트 파일입니다. (물론, VS 2010에서 열어야 합니다.)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9/25/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09-08-24 03시31분
[워너비] 좋은 지적 감사합니다~. ㅋ
[guest]
2009-08-24 06시29분
워너비 님 강좌 잘 보고 있습니다. ^^ 웹상에서 서로들 그렇게 독립적으로 공부한 자료를 올려주시니 제 시간도 많이 절약되고.
제 글에 별 신경쓰지 마시고 앞으로도 많은 정보 공유 부탁드립니다. 저야 뭐... 이런 기회에 글 한번 올리는 거죠. ^^
kevin25
2009-08-27 01시16분
[[손님]] 헉.. 대단한 반전인데요.
정말 좋은 내용입니다. 리플렉션사용을 개선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서 손색이 없군요.
저도 한번 따라서 코딩 해봐야 겠네요.
[guest]
2009-09-10 10시19분
[맨날맑음] 재미있는 포스트 잘 보았습니다..!!
문득.. '뛰는놈위에 나는놈있다' 라는 속담이 생각난건 저뿐일까요^^
(워너비님의 실력이 낮다고 하는 말은 아닙니다ㅜ)
여러 사람의 토론속에 좀더 낳은 코드를 배우는군요 감사합니다,.
[guest]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87정성태1/23/200517566VS.NET IDE: 18. VS.NET 2005 Beta 1 - VC++ 프로젝트에서 Connection Point 구현시 버그
88정성태1/23/200517286    답변글 VS.NET IDE: 18.1. VS.NET 2003 : VC++ 프로젝트에서 Connection Point 추가시에도 버그
86정성태1/23/200522992.NET Framework: 21. Code Snippet - Enum과 관련된 다양한 형변환 [1]
85정성태1/23/200521167스크립트: 4. Windows 2003에서 BHO(Browser Helper Objects) 동작 안하는 현상 [1]
83정성태1/18/200526308.NET Framework: 20. System.AccessViolationException 예외가 발생한 한 예.
82정성태1/3/200519776VS.NET IDE: 17. Windows 운영 - 특정 사용자 또는 그룹에 대해서 파일 공유 접근 금지
79정성태1/20/200527735기타: 8. DELL Latitude D800 노트북 컴퓨터의 PC Beep 소음(!) 문제.
78정성태12/27/200420071VS.NET IDE: 16. MS 제품 관련 사용되는 TCP/IP 포트 열거파일 다운로드1
77정성태12/27/200420351VS.NET IDE: 15. Virtual CD-ROM Control Panel - ISO 이미지를 CD-ROM 드라이브처럼 접근하게 해주는 EXE 프로그램 [1]파일 다운로드1
76정성태12/27/200421393VS.NET IDE: 14. VPN 접속시 IP를 고정적으로 할당받는 방법 [1]
75정성태12/27/200417616VS.NET IDE: 13. VS.NET 2005 Beta 1 - Portfolio Explorer 에 등록된 Team Server 항목 삭제 방법
84정성태1/19/200518467    답변글 VS.NET IDE: 13.1. VS.NET 2005 Beta 1 : Team Server 에 등록된 포트폴리오 프로젝트 삭제 방법
74정성태12/26/200419063VS.NET IDE: 12. [시나리오] VS.NET 2005 Team Foundation Server을 Virtual Server에 설치 [1]
80정성태12/31/200418401    답변글 VS.NET IDE: 12.1. Client Tier, 즉 VS.NET 2005가 설치된 컴퓨터도 ActiveDirectory에 참여를 해야 합니다.
81정성태12/31/200420293    답변글 VS.NET IDE: 12.2. Tier 컴퓨터를 모두 영문으로 재구성
109정성태3/4/200515526    답변글 VS.NET IDE: 12.3. [보완] MS 공식 아티클 - Installing the December CTP Release of Visual Studio Team System
73정성태11/14/200517351.NET Framework: 19. VS.NET 2005 Team Foundation Server 설치오류 - 26204 예외
72정성태12/26/200418789.NET Framework: 18. .NET Framework 2.0 Beta 설치 후에 Windows SharePoint Service 오류 [1]
136정성태3/31/200518672    답변글 .NET Framework: 18.1. Windows Sharepoint Services 를 설치한 이후 ASP.NET 오류 문제
71정성태12/26/200417037VS.NET IDE: 11. SQL Server 2005 Beta 2 를 네트워크 드라이브로부터 설치시 오류
70정성태12/26/200419853VS.NET IDE: 10. WSS 설치 후 localhost 접근 보안 오류
69정성태12/5/200416942VS.NET IDE: 9. 다른 컴퓨터(방화벽 설치)에 설치된 SQL Server에 통합 인증을 할 때 필요한 포트
68정성태10/31/200421911.NET Framework: 17. Win32_NTLogEvent를 c#에서 wmi 쿼리할 때..에러..
67정성태10/22/200419109COM 개체 관련: 12. Microsoft.XMLHTTP 개체에서 Microsoft.XMLDOM 개체를 전송할 때 charset 지정 문제?
66정성태10/16/200420277.NET Framework: 16. [닷넷 리모팅] 프록시가 죽은 것을 원격 개체가 알 수 있는 방법은?
65정성태10/16/200419244VS.NET IDE: 8. Windows 가상 메모리 사용 해제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